• Title/Summary/Keyword: 수분영향

Search Result 3,66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vailable Soil Water for Textural Class of Korean Soils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有效水分))

  • Jung, Sug-Jae;Moon, Joon;Kim, Tai-Soon;Hyeon, Geun-Soo;Park, Chang-Se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3 no.3
    • /
    • pp.167-172
    • /
    • 1990
  • Some of soil properties already known were selec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effect on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Total number of 2,808 representative samples from all over Korea with the exception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1. Available water contents were 4.7 for S, 7.7 for LS, 13.2 for SL, 17.7 for L, 19.2 for SiL, 15.9 for CL, 14.5 for SCL, 18.7 for SiCL, 17.3 for SiC, and 14.9% for C, respectively. 2.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ield capacity and available water content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sand content in coarse-textured soils, and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n fine-textured soils, whereas permanent wilting poin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lay content. 3. Available water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silt content and also significantly with field capacity, but either not at all or negatively with permanent wilting point. 4. Prediction equations for available water and field capacity were drown out from known soil properties, which can be used for each textural class.

  • PDF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Hill-slope area using GSSHA model (분포형 수문모형(GSSHA)을 이용한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모의)

  • Jang, Cheol-Hee;Kim, Hyeon-Jun;Kim, Sang-Hyeo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14-1618
    • /
    • 2007
  •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의 증발 및 침투, 유출은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미터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분포 등을 지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강우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 2005)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에 대한 정밀측정 자료가 있는 설마천 유역 범륜사 사면에 대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의 토양수분 해석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양수분 모의에 사용된 격자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GSSHA(USACE, 2006) 모형이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정밀토양도와 현장측정에 의한 토양매개변수를 반영하여 구축하였고, 강우 및 기상자료는 2003년 1월 1일 ${\sim}$ 2004년 12월 31일의 1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의기간 중 2003년은 초기 토양수분값 등 초기조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웜업 (Warm-up)기간으로 설정하였고, 2004년의 모의결과를 토양수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업지역, 상업지역 등과 같이 지형적 특성에 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 PDF

A Review on Measurement Techniques and Constitutive Models of Suction in Unsaturated Bentonite Buffer (불포화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 측정기술 및 구성모델 고찰)

  • Lee, Jae Owan;Yoon, Seok;Kim, Geon Young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7 no.3
    • /
    • pp.329-338
    • /
    • 2019
  • Suction of unsaturated bentonite buffers is a very important input parameter for hydro-mechanical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sign of an engineered barrier system. This study analyzed suction measurement techniques and constitutive models of unsaturated porous media reported in the literature, and suggested suction measurement techniques and constitutive models suitable for bentonite buffer in an HLW repository.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e suction of bentonite buffer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soil, as measured by total suction including matric suction and osmotic suction. The measurement methods (RH-Cell, RH-Cell/Sensor) using a relative humidity sensor were suitable for suction measurement of the bentonite buffer; the RH-Cell /Sensor method was more preferred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radioactive decay heat and measurement time. Various water retention models of bentonite buffers have been proposed through experiments, but the van Genuchten model is mainly used as a constitutive model of hydro-mechanical performance assessment of unsaturated buffers. The water characteristic curve of bentonite buffer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according to bentonite type, dry density, temperature, salinity, sample state and hysteresis. Selection of water retention models and determination of model input parameters should consider the effects of these controlling factors so as to improve overall reliability.

Soil Residual Activity of Surfactant Mixtures Containing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and Their Effect on Initial Wetting and Water Movement in Container Media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를 포함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토양 잔류성 및 상토의 초기습윤화와 수분이동에 미치는 영향)

  • Choi, Jong Myung;Min, Kyung Rae;Choi, Jong Seu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8 no.5
    • /
    • pp.612-620
    • /
    • 2000
  • In developing soil wetting agent using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C_8H_{17}O(C_2H_4O)_{10}H$, POE], the effect of mixtures of POE and polyoxyethylene+polypropyleneoxide tridecylether (1:1, w/w, CM-1), polyoxyethylene+polypropyleneoxide tridecylether+propyleneglycol monomethylether (1:1:2, w/w/w, CM-2) or glycerin+ditridecyl phthalate (1:1, w/w, CM-3) on changes of concentration of POE, initial wetting, evaporative water loss, water infiltration, and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in root media were determined. The mixtures of POE and CM-1, 2, or 3 with zeolite or vermiculite as carrier had high concentrations of POE in root media during 6 elution times, but those after 6 times decreased rapidly indicating unstable elution of POE. The commercial AquaGro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ixtures of POE+CM-1, 2, or 3 in water retention during 18 hours. Root media incorporated with POE+CM-2 held more water than any other treatments at 84 hours after watering, but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xcept control were not significant. In the treatments with zeolite as a carrier, POE+CM-3 had the greatest evaporative water loss followed by POE+CM-2, AquaGro, control, and POE+CM-2. In the treatments with vermiculite as a carrier, POE+CM-1 had the highest evaporative water loss followed by POE+CM-3, AquaGro, control, and POE+CM-2. In the effect of mixtures with zeolite as a carrier on infiltration of water into root media, the treatment of POE+CM-1 had the highest amount of water infiltrated followed by POE+CM-3, AquaGro, POE+CM-2, and control. In the effect of mixtures with vermiculite as a carrier on infiltration of water into root media, the treatment of POE+CM-3 had the highest amount of water infiltrated followed by AquaGro, POE+CM-1, POE+CM-2, and control.

  • PDF

Influence of Water and Surfactants on Wheat Starch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수분과 계면활성제가 밀전분의 호화와 노화에 미치는 영향)

  • Shin, Mal-Shic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1
    • /
    • pp.116-121
    • /
    • 1991
  • The effects of water contents and surfactants, sodium stearoyl-lactylate, sucrose ester and distilled monoglyceride(Dimodan) on wheat starch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were studi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endothermic peak patterns of starch varied with water content of starch. When water content was less than 30%, gelatinization did not occur. The onset temperature of gelatinization peak of native starch was $59{\sim}60^{\circ}C$ and that of endothermal peak of retrograded starch was $50{\sim}55^{\circ}C$. The enthalpy value of retrograded starch were greatest in the $40{\sim}50%$ water content. In the presence of surfactants, gelatinization temperatures shifted slightly to higher temperatures. DSC endothermal enthalpies of the amylose-lipid complex increased.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in starch was lower with surfactant than without surfactant, but enthalpy of amylose-lipid complex did not change during storage.

  • PDF

Moisture Absorption Behavior of CNT Reinforced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CNT 강화 불포화 폴리에스터 복합재료의 수분흡수 거동에 관한 연구)

  • Park, Ji-Hye;Yoon,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536-538
    • /
    • 2011
  • In this study, the moisture absorption behaviors of the CNT reinforced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exposure temperature and time. The tensile properties of the specimens were evalua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bsorbed mois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exposure temperatures of $25^{\circ}C$ and $75^{\circ}C$ were considered and the exposure time up to 600 hours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moisture absorption rate was increased as CNT content and exposure temperature were increased. The rate of decrease in tensile strength of the CNT reinforced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was reduced due to the reinforcing effect of CNT compared to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 PDF

Effect of water vapor on the growth of carbon nanotubes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탄소나노튜브의 열화학기상 합성에 미치는 수분 첨가의 영향)

  • Jeon, Hong-Jun;Kim, Young-Rae;Lee, N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415-415
    • /
    • 2008
  • 수분을 첨가한 열화학기상증착으로 $850^{\circ}C$에서 길게 수직 성장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실리콘 웨이퍼에 열 증착기로 Al 15 nm를 입히고 그 위에 촉매 층으로 Fe 0.5 nm 를 증착한 기판을 사용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성장에는 분위기 가스로 Ar을, 성장 가스로 $C_2H_2$를 사용하였다. 이들 가스를 이용한 합성 중에 약 100 ppm 전후의 수분을 첨가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성장 길이를 10 배 가량 증가시켰다. 이것은 합성 중의 수분 첨가로 인해 금속촉매 입자들의 활동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수분의 첨가량를 달리하여 합성한 탄소나노튜브의 길이와 정렬도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하였고, 탄소나노튜브의 정확한 지름과 벽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결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Raman 분광기를 사용하였다.

  • PDF

Extraction of Resveratrol Containing Grade Seed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초임계 이산와탄소를 이용한 Resveratrol 함유 포도씨유 추출)

  • Woo Moon Jae;Seo Jang-Won;Byun Sang Yo
    • KSBB Journal
    • /
    • v.20 no.5 s.94
    • /
    • pp.383-386
    • /
    • 2005
  • Grape seed oil made by press or organic solvent extraction does not contain resveratrol, a bioactive compou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ould extract oil containing resveratrol from grape seed. The extraction efficiency was mainly dependent on the water content in grape seed. More resveratrol was contained in the oil extracted with un-dried grape seed. No resveratrol was extracted with dried grape seed. Time course changes of grape seed oil extraction also resulted that resveratrol could be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the positive influence of water.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flash drought using Flash Drought Intensity Index based on soil moisture (토양수분 기반 FDII를 활용한 돌발가뭄의 시공간적 정량화)

  • Hee-Jin Lee;Won-Ho Nam;Jason A. Otkin;Yafang Zhong;Mark D. Svobod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46
    • /
    • 2023
  • 돌발가뭄 (Flash drought)은 일반적인 가뭄과 달리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이상으로 인해 단기간 급속하게 발생하는 가뭄이다. 짧은 기간에 식생 스트레스가 증가하며, 작물생산량의 감소로 인해 농업 생태계에 피해를 야기하며, 과도한 증발 수요 및 급격한 토양수분의 감소는 수문학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Flash Drought Intenisty Index (FDII, 2021)를 활용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발생한 돌발가뭄에 분석하였다. FDII는 가뭄 심화속도, 평균 심각도의 두 가지 요소를 곱하여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가뭄 및 비가뭄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아노말리 (Anomaly) 대신 백분위수 (Percentile)를 활용한다. 국내 돌발가뭄 분석을 위하여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위성영상 기반 근역층 토양수분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8도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를 대상으로 돌발가뭄 사상에 대하여 토양수분 백분위수의 월별 공간분포 및 FDII를 산정하여 국내 돌발가뭄의 강도를 정량화하였다. 지역 및 시기별로 다르게 발생하는 돌발가뭄을 대상으로 FDII를 활용하여 돌발가뭄의 초기 발생, 가뭄 전이 현상 등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향후 대상 지역의 세분화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FDII 적용으로 신뢰성 높은 국내 돌발가뭄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nveiling the intricacies of urban heat island dynamics through soil moisture variability modulated by meteorological drought: Focusing on the ENVI-met (기상학적 가뭄 기반 토양수분량 변화에 따른 도시 열섬 변동성 분석: ENVI-met 모형을 중심으로)

  • Kihong Park;Jongjin Baik;Hyeon-Joon Kim;Hoyoung Cha;Chang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4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및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기상학적 가뭄 발생 여부에 따른 토양수분량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열섬 현상의 변동 정도를 분석·평가하였다. 먼저, 대상 지역 내 기상학적 가뭄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위성, 재분석 자료 및 지상 관측 정보를 활용하여 SPI (Standard Precipitation Index)와 SPEI (Standar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등 두 가지의 가뭄 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ERA5 (The Fifth Generation ECMWF Atmospheric Reanalysis)와 GLDAS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등의 재분석 자료 및 지상 관측 정보를 활용하여 토양수분 자료 및 기타 기상 관련 주요 정보들을 얻고, 이를 ENVI-met 모형의 초기 입력자료로 고려하였다.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모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복합 재난의 관점에서 가뭄-토양수분량-열섬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주요 영향 인자 및 극한 사상 유발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