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문특성분석

Search Result 1,28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Settlement of Complication in Water Resources Project (수자원 사업분야의 갈등해결 방안)

  • Park, Joo-Bum;Kim, Ma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45-1649
    • /
    • 2007
  • 수자원사업분야 특히, 댐건설사업은 사업시행지역이 유역의 상류인 반면 댐건설의 편익은 주로 하류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류지역을 중심으로 극심한 반대가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 하류 지역 주민과 지자체 간에도 댐건설에 대한 입장이 상충되고, 이런 갈등을 정치적으로만 해결하려고 함으로써 갈등의 해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갈등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그 합의 결과에 대한 승복의 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갈등해결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7년 동안 사회적인 찬반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한탄강홍수조절댐건설에 따른 갈등의 전개과정과 해결노력을 평가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수자원사업 분야의 갈등해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한탄강홍수조절댐은 지난 1999년 결정 이후 2004년 1월부터 11월까지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와 이해 당사자가 참여하는 중재적 갈등조정과정을 거쳤으나, 조정 결과에 대해 승복하지 않음으로써 당사자 합의에 의한 최초의 갈등조정 시도가 무산되었으나 그 해결 노력은 정당하게 평가 받을 만하다. 이후 한탄강댐건설사업은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임진강유역홍수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이해 당사자를 배제하고 관련학회의 전문가 등으로 1년 동안 검증평가한 결과 2006년 8월 한탄강홍수조절댐과 천변저류지로 최종 대안을 제시하였으나, 댐건설 반대지역에서는 아직도 완전히 승복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결국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 수립단계부터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협의회 운영으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한탄강홍수조절댐 갈등해결에 있어서 부족했던 사회적 합의와 승복문화가 정착되도록 제도적인 장치보완과 함께 성숙된 시민의식의 전환이 있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

  • PDF

Estimation of soil moisture based on sentinel-1 SAR data: focusing on cropland and grassland area (Sentienl-1 SAR 토양수분 산정 연구: 농지와 초지지역을 중심으로)

  • Cho, Seongkeun;Jeong, Jaehwan;Lee, Seulchan;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1
    • /
    • pp.973-983
    • /
    • 2020
  • Recently,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s being highlighted as a solution to the coarse spatial resolution of remote sensing data in water resources research field. Spatial resolution up to 10 m of SAR backscattering coefficient has facilitated more elaborate analyse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compared to existing satellite-based coarse resolution (>10 km) soil moisture data. It is essential, however, to multilaterally analyze how various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to utilize the data. In this study, soil moisture estimated by WCM (Water Clou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is compared with in-situ soil moisture data at 5 soil moisture observatories in the Korean peninsula. WCM shows suitable estimates for observing instant changes in soil moisture. However, it needs to be adjusted in terms of errors. Soil moisture estimated from linear regression shows a stable error range, but it cannot capture instant changes.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soil moisture on backscattering coefficients differs greatly by land cover,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water content of vegetation, hence that there're still limitations to apply preexisting models directly. Therefore, it is crucial to analyze variable effects from different environments and establish suitable soil moisture model, to apply SAR to water resources fields in Korea.

A Root Cause Analysis for Drought in Taeback City, Kangwon-do in 2008 (강원도 태백지역 2008년 가뭄의 원인분석 연구)

  • Kim, Joo-Hwan;Choi, Gye-Woon;Park, Sa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4 no.3
    • /
    • pp.351-359
    • /
    • 2010
  • Recently, there have been flood damages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flash flood continuously in Korea and there are several flood disaster mitigation plans that are normally most of management plan for water related disasters even though drought disasters are as important as flood disasters. In this study, it is underlined that the research on solution of water shortness due to the drought disasters is currently required since the frequency of drought damage is not very many but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 was big drought damage in TaeBaek City of Kangwon province due to the serious lack of water during autumn, 2008 to spring, 2009. This study therefor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hydrometeorological conditions by rainfall frequency analysis and the operations of Gwangdong dam that is a source of multi-regional water supply by analysing water demand. As results of study, there was a drought with 20 years returning period which is not really available to fill the reservoir as usual and which could only filled 52% of reservoir. The rainfall during the dry season was less than normal, however, the water demand from the TaeBaek City was higher than normal. As researching several reasons of water shortness including the reasons described above,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drought mitigation plan.

Warm Season Hydro-Meteorological Variability in South Korea Due to SSTA Pattern Changes in the Tropical Pacific Ocean Region (열대 태평양 SSTA 패턴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여름철 수문 변동 분석)

  • Yoon, Sun-kwon;Kim, Jong-Suk;Lee, Tae-Sam;Moon, Yo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1
    • /
    • pp.49-63
    • /
    • 2016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regional hydrologic variability during warm season (June-September) in South Korea due to ENSO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pattern changes over the Tropical Pacific Ocean (TPO). We performed composite analysis (CA)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by Student's t-test using observed hydrologic data (such as,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in the 113 sub-watershed areas over the 5-Major River basin,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during the warm-pool (WP) El $Ni{\tilde{n}}o$ year shows a significant increasing tendency than normal years. Particularly, during the cold-tongue (CT) El $Ni{\tilde{n}}o$ decaying years clearly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normal years was appeared. In addition, the La $Ni{\tilde{n}}a$ years tended to show a slightly increasing tendency and maintain the average year state. In addition, from the result of scatter plot of the percentage anomaly of hydrologic variables during warm seas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inear increasing tendency. Also the center of the scatter plot shows during the WP El $Ni{\tilde{n}}o$ year (+17.93%, +26.99%), the CT El $Ni{\tilde{n}}a$ year (-8.20%, -15.73%), and the La $Ni{\tilde{n}}a$ year (+8.89%, +15.85%),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s a methodology of the tele-connection based long-range water resources prediction for reducing climate forecasting uncertainty, when occurs the abnormal SSTA (such as, El $Ni{\tilde{n}}o$ and La $Ni{\tilde{n}}a$) phenomenon in the TPO region. Furthermore, it can be a useful data for water managers and end-users to support long-range water-related policy making.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특성)

  • Kang, Jung-Hoon;Kim, Min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1-11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and the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May and early October shortly after passage of the typhoon "DUJUAN" in 2015.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was dominated by barnacle nauplii, foraminiferans, and Noctiluca scintillans,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characterized by freshwater inflow through the Nakdong River barrage, the intrusion of warm currents, and the effect of typhoon passage in October. In May, cladocerans, such as Evadne nordmanni and Podon polyphemoides, as indicator species of brackish water, prevailed throughout the study area. The surface salinity was lowest on the inner side of the barrier-islands and increased gradually to the outer side during the study.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solids in October was higher than that in May, while the averaged concentration of nitrate and chlorophyll-a in May was higher than those in Octob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temporal difference in the total averaged abundance of mesozooplankton. In contrast,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was associated with the salinity gradient in both seas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mporal difference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depended on the extent of freshwater inflow by barrage opening, the intrusion intensity of warm currents, and typhoon passag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2015.

단면조도계수를 이용한 자연하천 유량 산정

  • Lee Sang Jin;Hwang Man Ha;Ko Ick Whan;Lee B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59-1163
    • /
    • 2005
  • 자연하천에서의 유량측정은 직$\cdot$간접유속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홍수기는 주로 봉부자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고 평$\cdot$갈수기에는 파샬플룸이나 유속계에 의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측정지점의 상태 또는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시키고 연속적인 관측의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자연하천의 기본적인 수리학적 정보와 하천의 수리특성을 나타내는 조도계수를 유량규모별로 추정하여 유량을 산정하는 기법을 활용하여 자연하천 유량자료의 연속적인 획득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상지점으로 금강 대청댐 하류 공주지점을 선정하여 2003년$\~$2004년의 유량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유량 측정하고, 단면의 적절한 조도계수를 추정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실측값에 근사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향후 수문해석, 유출분석등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Riverbed Variation in Upstream of Dam (댐 상류 지역의 하상변화에 대한 연구)

  • Choi, Gye-Woon;Chang, Yun-Gyu;Ham, Myeong-Soo;Hwang, Yo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67-971
    • /
    • 2008
  • 하상변화는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 중에 하나이다. 이는 하상의 변화가 이 치수 및 생태계에 있어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적절하지 못한 하상변화의 예측은 기 축조된 하천구조물의 기능과 안정성을 위협하며, 이는 직접적으로 큰 경제적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인공적으로 지어지는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축조는 하천의 상 하류간의 연결성을 끊어놓음으로서 자연상태에서의 유사이송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하천의 급격한(자연상태와 비교하여 비교적 단시간동안 일어나는) 하상변화의 주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댐 축조에 의해 상류지역의 하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상지역으로 충주댐 상류 지역을 설정하였으며, 충주댐 축조 후 1996년 측량자료와 최근의 2007년 측량자료를 수집하여 충주댐 상류구간의 하상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하상토 입도분포 자료와 관련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Hec-Ras 와 Hec-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상변화에 대한 모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측량자료와 비교하여 댐 상류지역의 하상변화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wo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odels Using Satellite Imagery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한 두 공간 증발산 산정 모형의 비교 분석)

  • Hwang, Kyo-Taek;Sur, Chan-Yang;Kim, Hyun-Woo;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39
    • /
    • 2011
  • 토양과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증발산은 주로 증발접시, 침루계 등을 이용하여 실측하거나 에디 공분산, Bowen 비 등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지점별 실측 자료는 공간적인 변동성이 큰 수문기상인자 특성상 지역적인 대표값으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증발산 관측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한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Penman-Monteith (PM)와 Priestley-Taylor (PT) 공간 증발산 산정 모형을 적용, 우리나라 증발산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산정하였다. Terra 인공위성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에 연구된 증발산 모형을 이용하여 증발산을 산정하고 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양 및 식생이 소비하는 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시공간적으로 파악하여 정부 차원의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도시화에 따른 갑천유역의 지하 수문 특성 변화 분석

  • Kim Jeong-Gon;Son Gyeong-Ho;Go I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64-67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banization on the groundwater system in the Gap river basin, a sub-basin of the Geum river basin. In this analysis, we constructed a water cycle analysis system using SWAT. Then, changes in soil moisture and recharge rate due to land-use changes were investigated using different land-use data estimated in 1975 and 2000. Simulation results were analyzed for both draught (2001) and flood (2003) years to take into account different hydrologic conditions. It was shown that recharge rate in the most urbanized area (31% change) was reduced by 17% for both periods due to urbaniza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oil moisture decrease due to urbanization was more sensitive in the drought year (2001) than in the flood year (2003),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managing urban rivers considering river restoration and flood control.

  • PDF

Analysis of Runoff in Han Stream through Optimization of Parameter on HEC-1 connected with WMS (WMS와 연계된 HEC-1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통한 한천 유역의 유출해석에 관한 연구)

  • Kang, Jeong Hoon;Lee, Eun Tae;Lee, Joo Heon;Park, Sang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62-116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Environmental Modeling Research Laboratory(EMRL)에서 개발한 지리정보시스템과 수문유출모형이 접목된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Ver.6.1 모형을 HEC-1모형과 연계하여 한강수계 안성천의 제1지류인 한천의 유출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역내의 지형특성인자 추출 및 하천망 구성(WMS), 재현기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 산정(FARD2002), Huff분포법을 이용한 시간분포, ARF(Area Reduction Factor)적용, HEC-1내의 SCS단위도법, Snyder 단위도법, Clark의 유역추적법에 포함된 각각의 매개변수의 최적화를 시도하여 분석하고, 설계 홍수량 산정시 이용될 수 있는 지침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