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목 관리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Tree Roughness E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Depth-Dependent Roughness Coefficient Variation (수심별 조도계수 변화를 고려한 수목 조도공식 특성 분석)

  • Du Han Lee;Dong Sop Rh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3
    • /
    • pp.51-63
    • /
    • 2023
  • Riverine tree management is crucial in realizing a balance between flood control and ecological preservation, which requires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impact of trees on river water elevations. In this study, eight different formulas for evaluating vegetation roughness considering the drag force acting on trees,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were evaluated from a practical engineering perspective. The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roughness measurement methods for calculated roughness coefficients at different water depths and analyzed factors such as effects of tree canopy width, tree density and diameter, and tree stiffness coefficient, and water level estimation results. A comparison of roughness coefficients at the same water depths revealed that the Kouwen and Fathi-Moghadam formulas and the Fischenich formula yield excessive drag coefficients compared to other formulas. Factors such as channel geometry, tree diameter, and tree density showed varying trends depending on the formula but did not exhibit excessive outliers. Formulas considering the tree stiffness coefficient, such as the Freeman et al.'s formula and the Whittaker et al.'s formula,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in drag coefficients depending on the stiffness coefficient. When applied to small- and medium-sized virtual rivers in South Korea using the drag coefficient results from the eight formulas, the results indicated a maximum increase in water level of approximately 0.2 to 0.4 meters. Based on this review, it was concluded that the Baptist et al., Huthoff et al., Cheng, Luhar, and Nepf's formulas, which exhibit similar characteristics and low input data uncertainties, are suitable for practical engineering applications.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at Mt. Naeyon (내연산 망개나무 임분의 군집구조와 생태적 특성)

  • Yong Sik, Hong;I-Seul, Yun;Dong Pil, Jin;Chan Beom, Kim;Hak Koo, Kim;Jin Woo, Lee;Shin Koo, K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1 no.4
    • /
    • pp.538-547
    • /
    • 2022
  • In this study, the popula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located at Mt. Naeyon (Gyeongbuk, Korea) were quantified,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don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vegetation group typ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o have reference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is species. In total, there were 164 B. berchemiaefolia trees in Mt. Naeyon. The average DBH of the trees was 24.5 cm, forming a normal distribution. It rarely appeared in an understory vegetation height of 3 m. About37.1% of the trees were branched. B. berchemiaefolia stand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 berchemiaefolia-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B. berchemiaefolia-Carpinus laxiflora community. Canopy gap, organic matter, exchangeable Ca,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the major sit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tands. Currently, B. berchemiaefolia trees dominate in Mt. Naeyon, but depending on different habitat positions, the species was in a natural successional stage to C. laxiflora or C. cordata, which is a shade-tolerant species.

Proteomic Approach at the Seed Dormancy Breaking of Aconitum Austrokoreense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 종자 휴면타파의 단백질 변화 분석)

  • Hayan Lee;Hayan Lee;Se-kyu Song;Jinki Kim;Chihyeon Song;Cheol 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10-10
    • /
    • 2023
  • 투구꽃속(Aconitum L.)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의 가장 큰 속(Genus) 중 하나로 300-400 여종(Species)이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Tamura, 1993). 둥근 투구모양의 꽃받침이 특징적이며, aconitine과 같은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약용소재로서 활용되었다(Khorana, 1968).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 Koidz.)은 한국 경상도, 전라남도에만 국지적으로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자, IUCN에서 CR(Critical Endangered) 등급으로 지정된 희귀식물이다. 이 종은 다년생이지만, 서식지에서 개체수가 적거나 유묘의 발견이 어려운 등 자생지 축소 및 절멸의 우려가 높다. 세뿔투구꽃을 보호하고 종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종자 발아 · 휴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종자번식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뿔투구꽃의 종자의 휴면유형을 분석하고 호르몬에 의해 휴면타파를 유도하였으며, 특히 발아 2단계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를 단백질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세뿔투구꽃 종자는 미발달된 배를 가지고 있으며, 충분한 수분과 온도의 조건에서도 발아가 관찰되지 않아 형태 · 생리적 휴면으로 판단되었다. 종자는 BAP 처리에서 휴면이 타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BAP 농도에 따른 발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졌다 (F=23.208, P<0.01). 건조된 종자에 비해 BAP 처리된 종자는 발아 2단계에서 몇가지 단백질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종자는 30S ribosomal protein subunit으로, 휴면상태에서 발아상태로 변환이 일루어지는 생리적 변화의 증거로 확인된다. 특히 발아2단계를 지나는 세뿔투구꽃 종자에서는 cytochrome subunit과 photosystem II protein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배아의 발달 결과인 자엽이 발아 즉시 광합성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현 된 것으로 추정한다. 본 연구는 발아2단계에서 휴면타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휴면타파에 중요한 단계인 발아 2단계 종자의 생리학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Street Tree Rootage by Transplanting Methods - Photochemical Response Analysis of Different Cultivation for Sorbus alnifolia - (가로수의 이식방법에 따른 수목 활착 평가 - 재배방법별 팥배나무의 광화학적 반응 해석 -)

  • Yoo, Sung Young;Park, So Hyun;Park, Chung In;Kim, Tae 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1
    • /
    • pp.132-138
    • /
    • 2015
  • Trees, cultivated in containers, are appropriate in soil deformation such as road sites with cutting and filling. This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rees produced in containers for early rootage in street tree transplantation. For the study, Korean Mountain Ashes(Sorbus alnifolia) were used for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trees cultivated in containers with mulching treatment(group A), trees cultivated outdoors with mulching treatment (group B), and trees cultivated in containers with weeding treatment(group C). Each group consisted of ten trees of the same size and transplanted to the experimental site. In order to compare each group's rootage,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method by the analysis of photochemical re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group B had the lowest the maximum fluorescence amount(P). The amount of fluorescence increased by OJ transition of the process, and appeared to reduce the photosystem II electron transport efficiency. In photosystem II, electron transfer energy flux through photosystem I(RE1o/RC, RE1o/CS) was also reduced by more than 20% in group B.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transplantation of container-cultivated trees with mulching treatment provides the most rapid rootage among the groups. The weeding treatment is also more effective than mulching treatment for rapid rootage of street trees.

논단 - 조경수목 이식 후 관리

  • Ha, Tae-Ju
    • Landscaping Tree
    • /
    • s.128
    • /
    • pp.44-47
    • /
    • 2012
  • 수목은 이식 후 여러 원인에 의해 수분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특히 성토지역이거나 상식(上植)하여 식재된 경우 수분스트레스가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식재상황별 수분스트레스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PDF

A Study on the Positioning Strategies of Arboretum (수목원의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 Kang, Shin-Koo;Moon, Jong-Tae;Han, Sang-Yoe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8 no.6
    • /
    • pp.703-71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o establish more effective and differential management strategy of arboretum,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arboretum and representative forest recreational sit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t the six fields of forest recreational sit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447 people who visited these forest recreational sites took part in the questionnair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boretum was positively evaluated by the six strengths from the participants; natural area, experiences and observation activity,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promotion of health, reasonable charge of use and a lot of things to see and do. But there is the need for arboretum to develop characteristic rest culture and raise efficiency because arboretum is in keen competition with recreation forests and national parks by several characteristics.

Amorphopallus Paeoniifolius in Greenhouse Environment: Leaf Cycle (인공환경 생육조건에서의 Amorphopallus paeoniifolius: Leaf Cycle)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8-48
    • /
    • 2019
  •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는 영명으로 Elephant yam 또는 Whitespot giant arum 으로 불리는 천남성과(Araceae) 식물로 동아시아, 뉴기니, 오세아니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숲의 가장자리 또는 2차림에서 발견 된다. 다년생 식물로 덩이줄기는 어두운 갈색의 둥근모양으로 직경 20~25 cm로 자라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달린다. IUCN 적색목록(Red List)에 관심대상 종(LC: Least Concern)에 속하는 식물이다. 현지인들은 마(Dioscorea Polystachya Turcz.)처럼 채소로 먹기도 하며 약용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복부장애, 소화불량, 천식, 기관지염, 빈혈 등에 약효가 있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은 $25^{\circ}C{\sim}35^{\circ}C$, 연강수량 1,000~1,500 mm에서 잘 자란다. 가운데 눈이 올라오면서 생장을 시작하고 며칠이 지나서야 잎 또는 꽃으로 자라는지 알 수 있다. 잎의 생육주기는 잎눈이 생장을 시작하면 잎자루 끝에 소엽과 소잎자루가 접힌 채로 올라온다. 소엽들이 펴지면서 완전한 모습을 갖추는데 30일 이상의 생장기간을 갖는다. 잎의 형태는 우상복엽(pinnate compound leaf)으로 우산처럼 보이는 잎 하나로 광합성을 한다. 잎은 최대 높이 2.5~3 m, 너비 3 m까지 자라며, 잎자루의 색은 녹색과 청색으로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인공환경 조건에서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생활사 중 잎의 주기를 연구하기 위해서 광, 온도 등의 지상부 환경은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자생지와 유사하게 조성하였고, 지하부 환경은 인공 배합토를 사용하여 조성하였다. 평균온도는 $25{\sim}28^{\circ}C$, 겨울철 최저 $16^{\circ}C$, 여름철 최고 $33^{\circ}C$를 유지 관리 하였다. 자동 환경제어시스템으로 온도 및 환기를 유지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수동제어 관리를 병행하여 조절하였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을 먼저 생성하고 광합성으로 생산된 영양물질을 덩이뿌리에 저장을 하고 그 영양물질을 이용하여 꽃을 피우는 생육 특성을 지닌다. 실험에 사용된 공시 식물은 2018년 12월 미얀마에서 생체(덩이줄기) 형태로 도입되었다. 화분에 식재 후 약 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잎의 생장이 시작되었다. 2019년 7월 29일 기준으로 높이 80 cm, 너비 60 cm의 크기로 성장하였으며, 생육환경에 따라 3~5개월 뒤 잎이 지고 나면 다시 덩이줄기로 되돌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식물에 알려진 정보는 인공환경에서의 연구가 아닌 자연환경에서의 연구결과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온실 환경에서 자란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의 주기는 더 오래 갈 수도 있으며 꽃의 주기 또한 느리거나 빠를 수 있다. 잎의 생장주기(Leaf Cycle)시 잎자루가 낮과 밤의 방향을 달리 하여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광합성을 위해서 잎자루의 방향을 햇빛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를 실내 조경 식물 또는 식 약용의 소재식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꽃의 생장주기 등 추가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하다.

  • PDF

Preservation Value of Endangered Alpine Coniferous Species (멸종위기 고산지역 침엽수종 보전가치 평가)

  • Sang-Hyun Lee;Dong-Hyoung Lee;Jun-Gi B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2 no.3
    • /
    • pp.322-330
    • /
    • 2023
  • Amid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climate change, the decline of subalpine coniferous species is evident. Accordingly, the Korea Forest Service is conducting research to establish conservation measures, identify the causes of the decline of subalpine coniferous species, and establish conservation strategies for seven species of conifers in the alpine region. This study used an economic value evaluation method to present objective data to inform the need for and value of conservation of endangered coniferous speci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endangered coniferous species and evaluation of conservation value among coniferous species conservation strategies in endangered alpine areas.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applied. As a result, the estimated conservation value per household of endangered alpine coniferous species was 49,181 won.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 Jung, Su-Young;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