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명진단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39초

회전기기의 수명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Estimation of Rotation Machine)

  • 김기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3
    • /
    • 2005
  • 인버터 구동 회전기기의 운전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험 방법에 포함되지 않은 PWM 가변속 구동에 따른 고조파 손실과 과도전압 충격의 문제점을 고려한 새로운 장기 신뢰성 평가 기법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시험모델을 설정하고자 한다. 결과로는 종래는 비파괴시험에 의한 off-line 진단법이 주로 시행되었지만, 최근에는 상태량을 계측하는 신종 센서의 개발이 진행되어 모니터링법에 의한 on-line 진단법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 PDF

고압나트륨램프의 수명진단 알고리듬 (The Algorithm of Life Time Examination for High pressure Natrium Lamp)

  • 한태환;우천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323-2325
    • /
    • 2004
  • 고압방전등을 점등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의 시동전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동전압은 고 압력의 나트륨램프에서도 필요하게 된다. 자기장은 전기 방전튜브에서 만들어지게 되며 증기 원자에 대한 전자충돌이 가속화되면서 2차 전자가 발생하고 전기 방전튜브에 전류가 급속도로 흐르게 되며, 나트륨램프의 제자회사마다 서로 다른 램프의 수명 및 교환시점도 서로 다르게 다는 것을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발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LabVIEW 소프트웨어패키지를 사용해서 발견한 내용을 나트륨램프의 수명진단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불량용접을 갖는 트러스교의 피로수명 (Expectation of the Fatigue Life at the Truss Bridge Including Improper Welding)

  • 방명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91-198
    • /
    • 1999
  • 수많은 판형부재로 구성된 대형 트러스교에서는 불량용접된 부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교량의 피로수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교량에서 용접불량부를 조사하고 부재단면중 용접불량을 고려한 유효단면을 가정하여 피로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피로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량을 분석하고 차량모델을 가정하여 유효등가응력을 산정하였으며 모형피로시험에서 구한 응력-반복횟수곡선을 이용하여 피로수명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불량용접부와 교통량이 강교량의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 PDF

일본에 있어서 전력기기의 절연진단기술

  • 마스우라겐지
    • 전기의세계
    • /
    • 제45권4호
    • /
    • pp.30-35
    • /
    • 1996
  • 일본에서는 경제의 고도 성장기인 1960년대에서 1970년대의 중반에 걸쳐서 대량의 전력설비가 설치되고 1980년대에 들어서는 보다 고도의 기술을 이용한 고성능의 대용량 전력기기.시스템이 도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본의 9개 전력회사의 수요 최대 전력은 1995년 여름에 약 1억 6천만 kW에 달하였다. 이와 같이 대용량에서 고성능의 전력설비를 고신뢰도로 효율 좋게 운용하기 위해서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이 중점을 두고 전력설비의 절연진단기술의 개발을 행해 오고 있다. 1) 절연열화기구의 해명과 열화판정기준의 명확화 2) 절연진단계측에 있어서 노이즈의 저감과 제거 3) 절연열화진단의 on-line화 4) 절연잔존수명추정법의 개발 5) 절연진단에 컴퓨터 AI의 이용 절연진단은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설비의 예방보전 중의 일부분으로서 위치하고 있다. 그림 1에 있어서 전력설비의 절연체에 가해지는 전기적, 열.기계적, 환경적 스트레스의 종류와 크기, 또 그것들에 의한 절연열화의 양상은 전력설비의 종류 즉 회전기, 정지기, 선로 각각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다음에 전력설비의 종류별로 일본에 있어서 절연열화 진단기술의 현황과 연구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 PDF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절연 열화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ulation Degradation Diagnosis Using a Neural Network)

  • 박재준
    • 정보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13-22
    • /
    • 1999
  • 본 논문에서, 부분방전 메카니즘을 진단하고 그리고 신경망을 도입하여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온라인상에서 자동진단을 제안했다. 제안한 방법에서 우리는 음향방출 감지시스템과 그리고 펄스 수와 펄스진폭에 의해서 정량적인 통계파라메타를 사용하였다. 통계적인 파라메타인 가령, 무게중심(G)와 방전분포 경도(C)를 이용하였고 그리고 초기단계와 중기단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정량적인 통계파라메타들은 신경망에 의해서 학습되어졌다. 초기단계에 의해서 수명예측과 절연열화의 진단이 이루어졌다. 열화가 진행하는 동안 신경망 학습을 통한 휼륭한 진단능력이 있음이 근본적으로 드러났고, 신경망이 부분방전에 있어서 절연진단 및 수명예측을 위해서 적절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PDF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사용수명 정의, 종료 기준, 추정 (Definition, End-of-life Criterion and Prediction of Service Life for Bridge Maintenance)

  • 정유석;김우석;이일근;이재하;김진광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68-7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사용수명의 정의 및 수명 종료를 제안하였다. 먼저 국내외 교량의 수명용어 관련 현황을 바탕으로 교량의 사용수명을 정립하였다. 교량의 사용수명이란 '교량이 유지관리 통해 요구하는 수준의 기능을 발휘하는 기간'으로 정의 하였다. 그리고 사용수명 종료 제안을 위해 국내외 수명종료 기준을 분석하고 교량에 발생 가능한 수명 종료 유형을 분류하여 수명종료를 제안하였다. 사용수명 종료 제안 시, 교량의 성능지표(결함도 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상태등급 'D'등급의 중간값인 결함도 점수 0.64를 수명종료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제안된 교량의 사용수명 종료 시점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사용수명 종료 시점을 활용하여 현재 고속도로 교량의 평균 사용수명을 70.8년으로 추정하였다.

고온기기의 재질 경년열화와 수명예측 (Evaluation of Material Degradation and Life Prediction for High Temperature Structures)

  • 정세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3권2호
    • /
    • pp.1-11
    • /
    • 1995
  • 고온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고온재료의 재료특성 변화와 이의 평가방법에 대하여 극히 제한된 범 위에서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고온설비의 재질열화에 대한 대책은 초임계압 화력발 전설비 등을 비교적 조기에 도입한 선진국은 물론 최근 발전설비의 보일러 및 터빈을 비롯하여 석유화학 설비의 압력용기 등과 같이 고온.고압 하에서 장시간의 운전이력을 갖는 고온기기의 수가 증가하는 상태에 있는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이들 설비의 정확한 수명진단과 장수명화 기 술의 개발은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되고 있다. 또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 용접 부위가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원활히 해결하고 확실한 진단과 잔여수명예측에 대한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산.학.연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하게 요구되며, 상호 습득하고 있는 정보교환도 중요하다.

  • PDF

부등침하의 영향이 반영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잔존수명 평가모델 (Remaining Service Life Estimation Model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onsidering Effects of Differential Settlements)

  • 이상훈;한선진;조해창;이윤정;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33-141
    • /
    • 2020
  •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는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시설안전공단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의 평가방법에서는 평가결과를 등급으로 제시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잔존수명을 알 수 없으며 부등침하가 구조물의 잔존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부등침하의 영향이 반영된 구조물의 잔존수명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등침하와 각 변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부재의 공칭강도에 부등침하의 영향을 반영시키기 위한 식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현장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등침하가 구조물의 잔존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기설비의 절연열화 진단 기법

  • 곽희로;임기조;구자윤;강성화
    • 전기의세계
    • /
    • 제46권8호
    • /
    • pp.34-40
    • /
    • 1997
  • 케이블 시스템의 사고는 예방 진단에 근거한 정확한 진단으로 피할 수 있으며, 잔여수명 예측 기술은 진단 방법의 체계적인 적용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케이블 시스템 진단 방법의 체계적인 개발을 위해서 60 kV급 이상의 종이 절연 혹은 고분자 절연 전력 케이블과 그 접속 자재에 대해서만 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만하고 있으며 수트리에 관련된 열화, 절연체의 열화를 제외한 모든 열화현상과 DC 케이블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 회전기 고체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야기되는 변화는 회전기 진동을 발생 시키고, 진동은 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킨다. 회전기의 절연열화 진단은 유전손실, 유전율, 음향 등의 측정/분석으로 가능하고 적용 방법은 on-line/off-line으로 가능하다. 절연 시스템의 열화정도 판정은 회전기의 적절한 보수시기의 판단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 보수비의 절감 및 회전기의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