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면환경

Search Result 65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Multi-sensor based method for improving a sleeping environment (멀티 센서 기반의 수면환경 개선 방법)

  • Park, Chan-kyu;Ishida, Hideo;Song, Won-Hae;Park, Sang-Hyun;Le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52-1755
    • /
    • 2015
  • 일부 현대인들은 수면장애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점점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이런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하여 수면환경을 파악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멀티센서를 활용하여 수면환경을 분석하고 수면장애를 개선하고자 한다. 특히, 기본적인 사용자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심박센서와 압력센서를 사용하고, 수면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온도/습도 센서와 조도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수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가습기, 방향제, 스피커와 같은 엑츄에이터를 동작하여 수면환경을 개선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와 환경데이터의 융합을 통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하고자 하며, 이는 수면장애로 고생하는 많은 현대인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웰니스 상태를 증대시킬 수 있다.

Improv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Intelligent Context Awareness System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을 통한 수면 환경 개선)

  • Shin, Seong-Yoon;Baek, Jung-Uk;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129-132
    • /
    • 2010
  • 작금의 현대 사회 사람들은 바쁜 일상생활로 인해 짧아진 수면과 불면증 등의 각종 수면장애를 겪고 있으며, 여러 가지의 요소로 인하여 수면의 방해를 받게 되면, 여러 질병 및 생활 장애를 겪을 수 있어 수면의 중요성은 날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면을 이루는 침실의 수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얻어진 조건 데이터들과 수면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추출하여 개개인에 따른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과정에 따라 신체의 감각 및 자극에 대한 반응을 알고, 사람의 신체 상황에 따른 차이점 및 안정적인 패턴 및 조건을 정의하며 수면 패턴을 분석 및 솔루션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차후에는 수면의 특정 상황만 아니라 식사, 출근, 등과 같은 유기적인 생활(유비쿼터스 환경)의 한 부분에도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실내 환경 변화를 제공해주어서 좀 더 쾌적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되는 측면으로 확대 하려한다.

  • PDF

The Analysis of Neuro-Fuzzy on External Factors of Sleep and Personal Sleep Arousal (뉴로-퍼지를 이용한 수면 외적 요인과 개인 수면 각성의 관계 영향 요소 분석)

  • Ha, Jeong-Ho;Choi, Sun-Tak;Kim, Jun-Ho;Cho, We-Duk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7 no.7
    • /
    • pp.175-18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leep environment on individual sleep and to calculate optimal sleep environment. The input and output data sets are selected and the optimized sleep environment information is calculated using the neuro-fuzzy technique. Provides optimal sleep environment considering sleep duration. The arousal ratio calculated by the proposed method is 12%, which is at least 5% lower than the previous studies.

Determination of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Flow Width-Channel Width Ratio for River Environment (하천환경성 평가를 위한 수면폭-하폭비 평가 기준 결정)

  • Lee, Choon Ho;Lee, Tae Geun;Lim, Dong Hwa;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6-4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하도에 대한 하천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연구 및 환경관련사업 분석을 통해 환경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환경생태수심, 수면폭-하폭비, 횡단구조물, 수질 등 4가지 요소를 결정요소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결정요소에 대해서 관련지침, 연구, 설계기준 등을 토대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중 수면폭-하폭비에 대한 정량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자연하천과 도시하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 적용을 통한 수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평가 기준을 결정하였다. 자연하천으로는 자연성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는 평창강, 영강, 남강을 포함한 8개 하천, 도시하천은 안양천, 중랑천을 포함한 24개 하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자연하천은 도시하천에 비해 수면폭-하폭비가 크고, 분포가 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하천은 수면폭-하폭비가 자연하천과 비교하여 작은 구간이 많으며 각종 하천사업으로 인해 분포가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하천 중 복개구간을 포함하는 하천은 인위적인 하폭 및 수면폭 형성으로 인해 수면폭-하폭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하도의 환경성 평가를 위한 수면폭-하폭비 기준은 0.33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특정하천에 활용할 경우, 측점별 수면폭-하폭비를 산정하고, 하천 전체 연장 대비 해당 값에 만족하는 구간연장을 점수화 하여 수면폭-하폭비 평가 결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하천환경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향후 하도계획 수립 시 하천환경성 증진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easurement of Effective and Total Impervious Ratio and Its Usage for Watershed Management (유효 및 총불투수율의 산정과 유역관리에서의 활용방안)

  • Choi, Ji-Yong;Koh, Eun-Ju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3
    • /
    • pp.121-140
    • /
    • 2008
  • The impervious cover ratio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measure for tracing wat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watershed. Impervious cover is divided into total impervious cover and effective impervious cover, and its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a watershed. Total impervious cover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existing land use maps or land cover map, whil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labor to measure the effective impervious cover, as water flow should be identified at each site. This study is intended to calculate the total impervious cover and effective cover of a sample site,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and find a method to apply effective and total impervious cover ratios toward watershed management. The analysis of the sample site showed that the effective impervious cover rate(39.7%) was less than the total impervious cover rate(43%). This suggests that it would be acceptable, in terms of time and cost, if total impervious cover is applied as the representative impervious cover ratio of a watershed considering that it was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effect that impervious cover has on the water environment.

  • PDF

Improv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센서를 이용한 수면 환경 개선)

  • Shin, Seong-Yoon;Baek, Jeong-Uk;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319-320
    • /
    • 2010
  • In this paper, provide the optimal sleep environment of individual by extracting the simulation model based on that collect sleep environment data of bedroom to sleep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s with obtained data and sleep. In addition, it was to provide a more stable sleep solution by defining different and pattern from sleep situation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 such as fatigue ratio, alcohol ratio, fasting ratio, etc. depending on the sleep process. Therefore, it change the proper indoor environment and help to enjoy life more pleasant.

  • PDF

Enhanc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센서를 이용한 수면환경 개선)

  • Shin, Seong-Yoon;Shin, Kwang-Seong;Rhee, Yang-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11
    • /
    • pp.2485-2490
    • /
    • 2010
  • In this paper, gather the sleep environment data of bedroom to sleeping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tained conditional data and the sleep. Based on this, system provide the optimal sleep environment of individual person by extracting the simulation model. The experiments of system was using H-MOTE2420 sensor composed of temperature/humidity sensor and ambient light sensors. We use difference image method in motion extraction from video for extraction of tossing and turning. In addition, it was entered such as ratio of fatigue, ratio of drinking, ratio of empty stomach as the information of weight can affect to sleep. Resultingly of experience, we can extract the optimal sleep environment. From now on, we will try to enhance to help to lead more pleasant daily life providing proper indoor environment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even a partial of organic living environments such as eating and work as well as special sleep circumstances.

Sleeping Pillow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활용한 수면베개)

  • Park, Sang-Eun;Jo, Soo-Hyun;Jang, Ji-Woong;Lee, Ch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425-427
    • /
    • 2021
  • Entering the modern society, due to changes in daily life as well as social life, the sleep deprivation and unsatisfactory sleep environment that modern people have, ranked the lowest in the sleep deprivation nation in the world and the lowest in the nation considered to be sleep deprivation. This is about 'sleep pillows using Arduino,' which can improve the 'sleep environment', which is the 2nd largest cause of sleep deprivation. The few minutes before you go to sleep, the moment of time,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your sleep, and the quality of your sleep determines the satisfaction of your daily life. Using Arduino, you can improve the quality of your sleep through various functions. Through Arduino, you can create a sleeping environment for the sleeper by adjusting the sleeper's breathing measurement, lighting, and Bluetooth speaker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suits you.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improve the sleep deprivation of modern people and have a more prosperous life.

  • PDF

Visiting of the 13th SLEEP and ENVIRONMENTS Symposium (제 3회 일본수면환경심포지움 참가기)

  • Nam, Sung Woo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9 no.5
    • /
    • pp.96-102
    • /
    • 1997
  • 이미 일본에서는 1985년 공업기술원의 $\ulcorner$이불의 규격 체계 조사위원회$\lrcorner$ 에서의 논의를 출발점으로하여 수면환경연구회가 결성되어 $\ulcorner$이부자리 완성품의 성능 평가 방법의 개발$\lrcorner$을 목표로 제1회 수면 환경심포지움을 개최하였고, 매년 성황리에 회를 거듭하여 1992년에는 수면환경학회로 발전하여 수면환경학회잡지인 $\ulcorner$睡眠과 環境$\lcorner$가 1995년부터 매년 1권씩 발행되고 있으며, 이번에 제 13회 수면환경심포지움을 개최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대체로 1/4~1/3 정도를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이 방면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미비한 것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섬유산업 특히 침구침장산업 및 관련산업 등의 섬유인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자 이번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내용을 아주 간단하게 정리 요약하여 소개한다.

  • PDF

Enhanc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and User Information (센서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수면 환경 개선)

  • Shin, Seong-Yoon;Rhee, Yang-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
    • /
    • pp.47-52
    • /
    • 2011
  • This paper collect sleep environment data of bedroom to sleep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s with obtained data and sleep. We provide the optimal sleep environment of individual by extracting the simulation model based on it. The experiments was using temperature/humidity sensor(SHT11) and ambient light sensors(GL5507). For extraction of tossing and turning, we use difference image method in motion extraction from video.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weight can affect to sleep, it was entered such as ratio of fatigue, drinking, empty stomach. As a result, we are able to extract the optimal sleep environment. The future, we will try to improve to help to lead more pleasant daily life providing proper indoor environment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even a partial of organic ubiquitous living environments such as eating, work ete. as well as certain sleep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