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면마취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Duty of Care on Medical Accidents related to Anesthesia - Focused on Court Decisions -)

  • 최규연
    • 의료법학
    • /
    • 제18권1호
    • /
    • pp.61-99
    • /
    • 2017
  • 마취는 수술 등 의료행위 시 많은 경우 필요불가결하게 동반될 수밖에 없고 마취 자체가 가진 특성 때문에 그로 인한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취와 관련된 의료사고가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마취의 전 단계를 통하여 의사 등 의료진에게 어떠한 주의의무가 요구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의의무의 기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취 관련된 의료사고로 판결이 선고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대법원 판결들과 최근의 하급심 판결사례들, 프로포폴이 사용된 사례들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과거 흡입마취로 문제가 된 사례가 많았던 반면 최근에는 주로 정맥마취제나 국소마취제의 사용으로 문제가 된 사례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마취제 중 프로포폴이 관련된 사고가 2007년경 이후부터 상당히 많이 발생하여 법적 분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대법원 판례들은 대부분 과거 흡입마취로 마취한 사례여서, 흡입마취의 경우 마취 시 의료진의 주의의무의 정도와 내용에 관해 어느 정도 기준이 제시되고 있었으나, 그 외의 경우에는 그러한 기준이 제시되었다고 보기에는 미흡해 보였다. 프로포폴의 사용과 관련한 마취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현실 등에 비추어 볼 때 우선 의료현장에서 각각의 마취제의 사용에 관한 임상지침 등을 세우고 이를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의료현실이나 의료 관행에 하나의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법원에서도 우리의 현실에 맞는 적절한 주의의무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중추신경계 독성평가 방법개발 및 기작에 관한 연구

  • 박찬웅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12-312
    • /
    • 1994
  •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은 동물행동에 대단히 민감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일반 활동에 대한 중추신경계 약물의 효과와 단독 사육동물의 공격성 행동에 대한 중추신경계 약물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생쥐의 일반활동 pentobarbital, chloral hydrate, paraldehyde 등 수면제 투여 후 마취에 이르기 전 초기활동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diazepam, clomazepam등 항불안제 투여 동물에서는 초기활동 증가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생쥐를 단독 사육후 침입자에 대한 행동은 항불안제 약물투여시 공격성 행동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중수면, 마취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과 항불안제의 효과를 감별하는 방법으로 대단히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흡연과 수면장애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leep Disturbance)

  • 배상혁;김홍순;강승걸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45-50
    • /
    • 2018
  • Smoking is one of the most harmful causes of disease. Many previous researches have shown that cigarette smoking leads to cardiovascular, respiratory, oncologic,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In addition to such adverse effects,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cigarette smoking can worsen sleep quality and induce sleep disorders. This review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nicotine and sleep and sleep disorders of insomnia, obstructive sleep apnea, and restless legs syndrome. Because smoking is a behavioral pattern that can be changed, it is important to quit smoking to improve overall health and sleep.

농업용 요소비료에 의한 까막전복, Haliotis discus Reeve의 마취 박리효과

  • 한석중;김봉래;원승환;김재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37-238
    • /
    • 2000
  • 전복양식산업은9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남해안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넙치양식과 함께 육상수조 및 해상양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99년도의 양식현황은 종묘생산 건수가 177건, 수면적 6만7천$m^2$, 연간 생산능력 5천5백만 마리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별 생산 능력은 남해안 및 제주도가 전국대비 각각 62%, 5.9%, 동해안은 6.3%, 서해안은 25.4%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전복양식 산업의 꾸준한 발달과 규모의 증가 추세로 인하여 전복 종묘에서부터 성패까지 성장 단계별로 선별. 분산기회가 많아지고, 성패의 출하시기에도 많은 양의 박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박리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일시에 대량으로 마취 박리를 할 수 있고, 생물에 대한 상처로 인한 폐사를 줄일 수 있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마취박리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소아 진정 치료 시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복용 후 구강 점막으로 투여한 Midazolam의 행동 반응 비교 (The Comparison of Behavioral Response of Additional Submucosal Midazolam with Oral Chloral Hydrate, Hydroxyzine and Nitrous Oxide for Pediatric Conscious Sedation)

  • 박희준;정상혁;백광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12
    • /
    • 2007
  • 배경: 소아 진정 치료 시 서로 다른 용량의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복용 후 midazolam을 구강 점막 하 주사했을 때 행동 반응을 비교하였다. 방법: 총 32회 진정법을 통해 치과치료를 받은 30명의 나이 24-72개월, 체중 20 kg 미만의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등급 I의 건강하지만 겁이 많고 협조가 안 되는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2개 치아이상의 보존 치료 및 발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호흡기 질환이 있는 아이들은 이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연구 계획은 이대 목동 병원의 임상 실험 심사 위원회에 제출되었다. 1군은 chloral hydrate 50 mg/kg와 hydroxyzine 1 mg/kg 복용 후 점막 하 midazolam 0.2 mg/kg을 추가 투여했고 2군은 chloral hydrate 60 mg/kg와 hydroxyzine 1 mg/kg 복용 후 점막 하 midazolam 0.1 mg/kg을 주사 받았다. 50% nitrous oxide는 치료 중 두 군 모두 유지되었다. 전날 수면 시간과 약물 복용 태도를 기록하였으며 모든 치료 과정은 비디오로 촬영되었다. 맥박 산소 계측기를 이용하여 경피적 산소 포화도와 맥박수를 기록하였고 행동 반응은 Houpt scale을 이용하여 매 2분마다 40분 동안 기록되었다. 전반적인 행동 반응은 Houpt scale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모든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wo sample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P 값은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다. 결과: 두 군 간의 경피적 산소 포화도와 맥박수는 모두 정상 범위이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 반응 비교에서는 치료 처음 10분 동안 2군이 1군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왔으며(P < 0.05), 그 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날 총 수면 시간과 약물을 복용하는 태도는 수면 치료 중의 행동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Chloral hydrate 50 mg/kg 복용과 점막 하 midazolam 0.2 mg/kg은 chloral hydrate 60 mg/kg 복용과 점막 하 midazolam 0.1 mg/kg과 비교할 때 두 약물의 조합은 모두 소아 환자 수면 치료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용량이다. Overall behavior와 Q (quiet)의 분포를 비교해 볼 때 두 군 모두 성공적인 진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미추마취시 혼합 주입한 Clonidine의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f Epidural Clonidine)

  • 서일숙;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57-62
    • /
    • 1989
  • 지연성 호흡저하의 위험성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혈압강하제인 Clonidine을 경막외강으로 주입한 강우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미추마취를 시행할 항문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I군(1.33% Lidocaine 15ml)과 II군(1.33% Lidocaine 15ml+Clonidine $75{\mu}g$.)으로 나누어 수술후 진통효과를 관찰해 보았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idocaine단독 주입한 I군에서는 평균 마취시간이 2.42시간이었다. 2. Clonidine $75{\mu}g$을 혼합 주입한 II군의 경우에는 평균 진통시간이 7.32시간이었다. 3. Clonidine을 혼합 주입한 미추마취경우에 진정제 정주로 환자가 수면상태로 된 후 심한 혈압강하 및 맥박감소가 있었으나 Clonidine의 효과인지 진정효과에 인한 변화인지는 알 수 없었으며 진정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혈압강하 및 맥박 감소가 초래되지 않았다. 4. 수술후 Clonidine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문질환 수술후 특히 외래환자의 차원에서 술후 진통을 위한 방법으로는 지연성 호흡저하 및 뇨정체등의 부작용이 없는 Clonidine의 천골강내 투여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진정 마취 시 호흡음 검출을 위한 PVDF 센서 및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VDF sensor and system to detect breathing sounds during deep sedation)

  • 이승환;리웅;임재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53-159
    • /
    • 2019
  • 호흡은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생체 신호 중 하나이다. 특히 진정 마취 시 환자의 무호흡 및 저호흡은 지속적인 모니터링 없이는 탐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환자의 호흡 상태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속적인 호흡 모니터링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호흡 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임상 사용단계에서 응답 시간이 느릴 뿐 아니라 사용에 불편한 단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을 이용한 부착형 센서와 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으며, 진정 마취 시 호흡 신호를 감지하여 이상 호흡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정 마취 시 뿐만 아니라 수면 관련 호흡 상태의 원격진료를 통한 다양한 의료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Midazolam을 이용한 진정법 시 Bispectral Index, 진정점수, 그리고 midazolam의 혈중 농도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ispectral Index, Sedation Score and Plasma Concentration, during Midazolam Sedation)

  • 박은진;박창주;염광원;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5
    • /
    • 2001
  • 연구배경: 임상적으로 진정법을 시행할 경우 뇌의 상태에 대한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뇌에 대한 마취제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Bispectral Index (BIS)는 환자의 진정을 방해하지 않고 객관적인 진정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항상 진정 깊이의 임상적인 척도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번 연구에서는 진정법 시행시 환자의 진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BIS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IS, 진정점수, 그리고 midazolam의 혈중 농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25명의 건강한 성인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무의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midazolam 0.08 mg/kg을 정맥으로 주입하였으며 환자의 의식 상태를 진정 회복 시까지 관하였다. BIS와 진정점수는 진정 전과, midazolam 투여 후 10, 20, 3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Midazolam의 혈중 농도는 주입 후 10분 경과 후에 정맥혈 채취 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IS는 BISTM monitor (Aspect Medical Systems, USA)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진정 정도는 진정 점수로도 평가하였다. 결과: BIS 수치는 진정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676, p < 0.05). 혈중 midazolam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혈중 농도는 진정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656). Midazolam 투여 후 10분에서 BIS 수치와 midazolam의 혈중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r =0.467) 진정 후 수치는 진정 전 수치와 명확히 구분되었다. 결론: BIS는 환자의 수면상태의 효과적인 척도로 알려져 있으며 진정점수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항상 진정 깊이를 나타내는 임상적인 척도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진정법 시행동안 BIS 만을 사용하는 것은 더욱 많은 주의가 필요하며 매 주어진 시간마다 다양한 진정 점수 측정방법으로 환자의 의식을 감시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

Midazolam을 이용한 정주진정요법 (INTRAVENOUS SEDATION WITH MIDAZOLAM)

  • 이준석;김종수;김승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2-146
    • /
    • 2006
  • 환아의 연령, 과다체중, 환아의 약물 거부 등으로 인하여 chloral hydrate를 이용한 수면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Midazolam을 이용한 정주진정요법이 전신마취를 대신하는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환아의 경우, 0.3mg/kg의 midazolam을 근주하고, 70% 아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초기 수면상태를 유도하고 정맥천자를 실시한 후, 0.2mg/kg midazolam을 정주하여 50분간 별다른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항암성 백금착제의 일반 약리작용(II)

  • 고석태;유강준;임동윤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1-241
    • /
    • 1996
  • 새로운 항암성 백금(II)착제 SA: ([Pt( trans-1-dach) (DPPE)]ㆍ2NO$_3$, SB: [Pt (cis-dach)(DPPP)]ㆍ2NO$_3$, SC: [Pt(cis-dach)(DPPE)]ㆍ2NO$_3$에 대한 일반 약리작용이 rat, mouse 및 rabbit에서 검토되었다. Rota-rod test에 의한 운동 협조능, thiopental-Na의 수면 작용, 현수에 의한 근이완 작용, 정상체온, strychnine 유발 경련, 담즙분비, 수정관, 자궁각, 피부혈관 투과성, 국소마취, 용혈 및 심전도에 대하여 SA, SB. SC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단. 적출회장과 십이지장에 대하여 SA는 수축반응을 나타내었으나 SB와 SC는 하등의 영향이 없었으며 혈액 응고에 대하여 SA는 prothrombine time을 단축시켰으나 SB, SC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고 호흡에 대해서는 SA, SB, SC 다같이 호흡수를 억제하였다. 적출심장 기능에 대하여 SA, SB, SC 다같이 고농도에서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