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 특성

Search Result 2,51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한 경안천유역의 수질모의

  • Lee, Jong-So;Kim, Duck-Gil;Kang, Na-Rae;O, Se-Mi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6-3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체계화된 유역 및 하천환경 DB 구축을 통해 국내 모든 하천에 대한 수리 수문학적 기초자료를 표준화기 위해 만들고 있는 한국형 Reach File을 통하여 경안천 유역에 대해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수질모의 하고자 한다. 수질 모델링의 적용 사례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하천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현장 특성 자료의 중요성, 특히 하천수리특성에 관련된 기초 자료의 가용성 여부가 모형의 성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유량, 유속 및 폭과 깊이로 대변되는 하천 지형은 물질 이송에 대한 주요 외력 함수이며, 다른 모든 예측치 들은 이들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들의 정확한 표현은 올바른 수질 예측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구축하는 한국형 Reach File에는 도형 및 속성자료를 설계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 수계별 주요하천에 대한 Reach별로 하상단면정보 및 수리계수를 DB화하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 하천의 유량, 유속 및 수심자료를 일괄적으로 제공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Reach File을 통하여 경안천유역의 수질을 모의하였다. Reach File에는 경안천 유역의 Reach 별로 수리학적 특성인 하천연장, 하상경사, 조도계수, 수리계수등 QUAL2E 모델의 입력자료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수질모의 과정의 정량화 및 간편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효율성 증대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2013년 6월부터 시행되는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의무제 시행과 관련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정확한 모델링 결과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ore Development and Hydraulic Properties of Surface Soil in Two Forested Watershed (두 산림유역의 표층 토양의 공극 발달과 수리학적 성질의 계절적 특성)

  • Joo, Sung-Hyo;Gwak, Yong-Seok;Kim, Su-Jin;Kim, Joon;Kim, Sang-Hyu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1 no.4
    • /
    • pp.151-161
    • /
    • 2009
  • Configuration of soil hydraulic property is an essential component to understand the hydrological processes at the hillslope scal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emporal variations in pore development and soil hydraulic properties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October in 2008. Characteristics for macropore flow an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measured at two hillslopes: one is the hillslope located at the Buprunsa in Sulmachun watershed, and the other is the hillslope located in Gwangneung Research Forest. Vertical fluxes through macropore were measured using a tension infiltrometer at the depth of surface.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ies in March, June, July and September wer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ose in May and October. Temporal variations in several soil hydraulic features could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vegetation activity and soil moisture content determined by antecedent precipitation. Particularly, the features of macropores had a substantial impact on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forest hillslope. The temporal nonuniformity of the soil hydraulic properties observed in this study manifests the dynamic features of 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hillslope scal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 internal 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mountainous hillslope.

Application of Physical River Assessment System Based on River Classification (하천분류에 따른 물리적 하천환경 평가체계 적용)

  • Kim, Ki Heung;Jung, Hye 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8-508
    • /
    • 2016
  • 하천은 지형학적으로 청?장년기에 상 중 하류부가 구별되고 유량과 하상경사의 곱으로 표현되는 유수력(stream power)에 따른 반응으로서 구간별 수리 및 하도특성이 형성된다. 산지가 국토면적의 약 70%를 차지하고 노년기 지형인 유역을 기반으로 하며, 장마 및 태풍 내습시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발생으로 말미암아 대부분 국내의 하천은 상류는 산지, 중류는 곡저평야, 하류는 충적평야를 유하함으로서 구간별로 수리 및 하도 특성이 뚜렷이 구별된다. 홍수 예방을 위한 제방 축조와 용수공급을 위한 보 등 하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천 주변에는 배산임수의 취락형성에 따라 주거지 및 대규모 도시가 발달하면서 많은 하천교란이 유발되고 있다. 우리나라 하도 및 수리적 특성인 여울과 소 등의 미지형과 하상매몰도 등 서식환경의 특성 및 하안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하천횡단 형상과 하도개수 등 교란 특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하도의 물리적 특성은 유량과 하상경사를 매개변수로 하는 유수력에 의하여 변화하므로 하천 유형을 하상경사에 따라 세그먼트 분류법을 적용하여 세그먼트 M, 세그먼트 1 및 세그먼트 2,3으로 구분하고 세그먼트별 하도 및 수리 특성, 하안 및 하천교란 영역에 대한 총 10개의 정량적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는 5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평가지표의 근거는 미국(EPA) 및 독일(LAWA)의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분류체계에 의한 하천유형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하천 물리적 평가체계를 남강, 내성천, 갑천, 유등천에 적용하여 검증하고,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하천환경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하천환경 평가체계는 하천사업을 위한 현재의 하천환경의 진단 및 하천사업의 효과 및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하천관리를 위한 지구지정의 정량적 기준 및 관리목표 설정 등 하천계획 설계의 실무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liminary study for hydraulic properties of fractured rock aquifer using the deep borehole (심부시추공을 활용한 결정질암반 대수층에 대한 수리적 예비연구)

  • Cho, Chung-Ho;Park, Kyung-Woo;An, Sang-Won;Kim, Kyung-Su;Han, Wo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29-1933
    • /
    • 2009
  • 수자원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단열 암반 대수층의 지하수를 개발해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열암반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 지역 내에 NX 규격의 직경 78mm를 갖는 500m 심도의 심부시추공 (DB-01)을 굴착하였다. DB-01에 대한 시추공 단열조사 (BHTV) 및 시추코아 분석을 통해서 심부 시추공에 대한 예비 투수성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투수성이 큰 구조로 단열과 연결된 지점으로 판단되는 심도에 대해서 현장 수리시험을 수행하여, 결정질 암반의 투수성 구조에 대한 수리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적 투수성이 큰 심도를 결정질 암반의 대수층이라 정의하였다. 수리특성이 비슷한 3가지의 그룹 중 3그룹은 투수계수도 가장 크고 단열빈도도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와 심부 200m에서 250m이하의 이 단열구간은 수자원으로 지하수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 PDF

A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 with Floodplain Vegetation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천의 수리특성 연구)

  • Lee, Kyungsu;Noh, Joonwoo;Hur, Young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56-360
    • /
    • 2015
  • 기존의 하천관리는 이 치수에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에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하천복원사업을 통해 주변환경을 개선하여 자연과 공존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하천에 분포하는 다양한 종류의 식생은 지형변화, 유속 및 수위 변화 등 직 간접적으로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흐름에 대한 식생의 영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수리 수질 통합분석이 가능한 EFDC모형을 이용하여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천의 수리특성 변화를 모의하였다. 금강수계 공주보~백제보 구간에 대한 수치지도 및 수심측량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3차원 정밀지형도와 30~50 m 간격의 직교곡선격자망을 이용하여 지형을 구축하고, 홍수터 식생에 의한 흐름저항을 반영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통해 작성된 식생분포지도를 토대로 교목류(Tree), 관목류(Shrub), 초본류(Herb), 수체(Water) 4가지로 구분하여 분포밀도, 흉고직경, 교목의 높이를 모형에 적용하였다. 2일 간의 보 운영조건에 따라 상류의 공주보 방류량과 하류의 백제보 수위를 경계조건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동일기간 61개 관측지점 중에서 상 중 하류 4개의 임의지점에 대하여 유속측정결과와 모의결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홍수터가 완전히 잠겨 식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고유량 조건에 대하여 식생의 적용 여부에 따른 수리특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홍수터의 경우 일부구간에서 유속이 감소하였으나 인근 주수로의 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수위의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measured by Rotating Cylinder Test (회전식 수리저항성능 실험기를 이용한 지반의 수리저항특성과 전기비저항 특성의 상관관계)

  • Kim, Young Sang;Jeong, Shin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7 no.1
    • /
    • pp.1-8
    • /
    • 2015
  • Recently, constructions of coastal structure including wind turbine structure have increased at southwest shore of Korea.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tide which rage from 3.0 m to 8.0 m at south and wet shore of Korea, respectively. In such ocean circumstance, large scour may occur due to multi-directional tidal current and transverse stress of the wind. therefore scour surrounding wind turbine structure can make system unsafe due to unexpected system vibration. In this study,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i.e., critical velocity and critical shear stress, was evaluated by RCT.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hydraulic resistance capacities of the samples which were consolidated by different preconsolidation pressures were correlated with soil resistivities of same sampl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from electrical resistivity of soil. Through the updating the correlation for various soil types, it is expected that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whole construction site will be simply determined from the electrical resistivity.

Assessment system of physical habitat based on stream types (하천유형에 따른 물리서식처 평가체계)

  • Kim, Ki 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5
    • /
    • 2022
  • 하천의 서식처 특성 즉, 수리, 하도 및 하안 특성 평가의 목적은 하천기본계획 수립과 하천복원사업의 실행과정에 있어 기본방향의 설정 및 통합적 평가기준으로서 사업의 성공여부를 평가하고, 또한 하천 이용과 보전, 나아가 복원계획에 대한 잠재적인 적합성의 근거를 파악하고 이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실무자가 적용할 수 있는 물리 서식처의 수리 및 하도 특성 평가를 위한 지표와 정량적 평가기준을 마련함에 있어 선진국 하천의 분류체계 및 물리 서식처 평가기준을 검토하였다. 또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체계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개발 목적에 따라 하천의 물리, 생태, 경관, 이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하천환경의 다양성과 고유성을 제대로 반영한 평가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하도특성을 지배하는 주요 인자로 하상경사와 하상재료를 조합하여 급경사, 중경사, 완경사로 하천유형을 분류하고 하도 및 수리, 하안 및 식생, 하천교란 등의 3개 영역으로 하천을 세분화하여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하천환경의 수리 및 하도특성의 정도는 두 가지로 첫째는 하천의 자연적인 모습인 참조하천의 관련된 것이고 나머지는 인간에 의해 교란된 비교하천으로 보았으며, 인간에 의해 교란된 정도와 서식처 기반 수준에 따라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등급화하여 평가체계를 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ydraulic Properties of Aquifers in Bucheon Area (부천지역의 지하수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o-Hee;Lee, Yoon-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6
    • /
    • pp.626-633
    • /
    • 2006
  • Bucheon city has been rapidly urbanized and steadily enlarged. Also, the city depends on groundwater as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hydrogeology in this city including the recharge of groundwater and hydraulic property of an aquif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the Bucheon area. Eleven groundwater wells in the Bucheon area were selected for applying certain hydraulic tests, such as pumping and recovery tests. Theis method and Theis recovery method were used to obtain hydraulic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transmissivity by applying recovery tests. The playground of school and uncovered areas layed a major function of recharging areas. The groundwater well in these areas showed high recharge, transmissiv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In a downtown area, groundwaier wells showed low pumping capacity and hydraulic parameters.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8 different locations in the Bucheon area and that showed very various chemical composition in groundwater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showed various ranges from 70.4 to $1,287{\mu}S/cm$. The composition mo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groundwater due to the land use and urbanization than that of the aquifer rock typ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urichwi-injeulmi by Adding Surichwi Contents (수리취 인절미의 수리취 첨가량에 따른 텍스쳐 특성)

  • 이숙미;조정순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7 no.1
    • /
    • pp.1-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urichwi-injeulmi by adding Surichwi contents.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of Surichwi-injeulmi, the acceptance was the best in the color, flavor and overall quality when adding 20% Surichwi. As the additional ratio of Surichwi was increase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however, the redness was negatively increased. As a results of textural analysis of Surichwi-injeulmi by adding Surichwi contents in storing at 20$\^{C}$, the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by adding Surichwi contents. The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were decreased by increased storage time, whereas the elasticity was increase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urichwi-injeulmi added 30% and 40% Surichwi in storing at 20$\^{C}$ showed less change than those of 0 and 10% group.

  • PDF

Improvement of Hydraulic Parameters for QUAL2E Model (QUAL2E 모형에 대한 수리인자의 개선)

  • Kim, Sang-Ho;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36-440
    • /
    • 2006
  • 하천에 대한 수질해석을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QUAL2E 모형은 대상구간에 유사한 수리 특성을 가지는 구간(reach)을 설정하여 주어진 유량에 대해 동일한 수심과 유속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자연하도에서는 여러 가지 수공구조물이나 지형변화로 인해 흐름변화가 매우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DWOPER 모형이나 HEC-RAS 모형과 같은 1차원 수리해석모형의 부등류 모의결과를 QUAL2E 모형에서 활용함으로써 실제 하천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흐름특성을 수질해석에 반영할 수 있는 수리연계모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한강의 팔당댐 하류구간에 대해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