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 특성

Search Result 2,52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Hydraulic Characteristics Analysis By Lateral Inflow (횡유입에 의한 수리특성 분석)

  • Choi, Hung-Sik;Lee, In-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06-1710
    • /
    • 2006
  • 횡유입에 의한 합류부에서는 통상 하천에 비해 수위, 유속 등의 수리학적으로 불안정한 수리특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한 합류부의 배수효과는 합류점뿐만 아니라 합류점 상류의 본류와 지류의 수위 및 유속 변화로 홍수나 태풍에 영향을 가중시켜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합류부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하천의 안정적 기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2차원 동수역학 해석모형인 SMS(1999)의 RMA-2를 이용하여 합류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류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수로 실험을 한 박용섭(2003)의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RMA-2 해석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횡유입의 분리구역 현상을 RMA-2의 분석결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박용섭(2003)의 실험자료와 비교분석 하였다.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2-D Fabric Tensor Parameters and Hydraulic Properties of Fractured Rock Mass (절리성 암반의 이차원 균열텐서 파라미터와 수리적 특성 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 Um, Jeong-Gi;Han, Jisu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7 no.2
    • /
    • pp.100-108
    • /
    • 2017
  • As a measure of the combined effect of fracture geometry, the fabric tensor parameters could quantify the status of the connected fluid flow paths in discrete fracture network (DF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bric tensor parameters and hydraulic properties of the 2-D DFN was perform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exists a strong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al conductivity and the fabric tensor component estimated in the direction normal to the direc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The circular radial plots without significant variation of the first invariant ($F_0$) of fabric tensor for different sized 2-D DFN block are a necessary condition for treating representative element volume (REV) of a fractured rock mass. The relative error (ER) between the numerically calculated directional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theoretical directional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F_0$. A strong functional relation seems to exist between the $F_0$ and the average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Effects of Fracture Tensor Component and First Invariant on Block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2-D Discrete Fracture Network Systems (절리텐서의 성분 및 일차불변량이 2-D DFN 시스템의 블록수리전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Um, Jeong-Gi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1
    • /
    • pp.81-90
    • /
    • 201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racture tensor component and first invariant on block hydraulic behaviors are evaluated in the 2-D DFN(discrete fracture network) systems.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between connected fracture tensor components and block hydraulic conductivities estimated at every $30^{\circ}$ hydraulic gradient directions for a total of 36 DFN systems having various joint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 The directional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seems to have strong relation with the fracture tensor component estimated in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 It is found that an equivalent continuum approach could be acceptable for the 2-D DFN systems under condition that the first invariant of fracture tensor is more than 2.0~2.5. The first invariant of fracture tensor seems highly correlated with average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and can be used to evaluat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2-D DFN systems. Also, a possibility of upscaling using the first invariant of fracture tensor for the DFN system is addressed through this study.

Hydraulic-Mechanical Modeling on Fracture Transmissivity Evolution Around a Borehole (시추공 주변 단열 투수도 진화에 대한 수리-역학 연동 모델링 평가)

  • Choi, Chae-Soon;Park, Kyung-Woo;Park, Byeong-Hak;Ko, Nak-Youl;Ji, Sung-H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1 no.1
    • /
    • pp.55-66
    • /
    • 2021
  • Hydraulic-mechanical (H-M) coupled numerical mode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evolution of hydrogeological properties in response to th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a borehole. A domain with a discrete fracture network was adopted for discontinuum modeling to simulate changes in fracture apertures. Comparison with real hydraulic test data shows that the effects of principal stress direction and expansion of borehole diameter were reasonably simulated by H-M coupled numerical modeling. The modeling confirmed that aperture changes depended on the principal stress direction, with an increase in aperture size due to vertical displacement being the dominant effect. A concentration of shear dilation around the borehole had an additional, subsidiary, effect on the hydrogeological evolu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meability of fractured rock can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hydraulic properties of a fracture through stress redistribution caused by th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a borehole.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a Hydrogeologic Data Base for the Nanjido Landfill (난지도 매립지의 수리지질학적 자료를 이용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활용)

  • 김윤영;이강근;정상용;이철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3 no.2
    • /
    • pp.80-94
    • /
    • 1996
  • The Nanjido Landfill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sites for a hydrogeological study. Hydrogeological study was performed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analyzing hydrogeological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a hydrogeological data base. The constructed data base was used for the analyses of several important phenomena in the Nanjido Landfill.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underground temperature were measured. Based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rainfall data, net infiltration rates were estimated. Leachate production rates are estimated by using the data base. The data base and a hydraulic model were use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so called floating leachate layer.

  • PDF

Relation between Groundwater Inflow into the Waterway Tunnel and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Hyeonseo-myeon, Cheongsong-gun, Korea (청송군 현서면 일대 도수로터널내 지하수 유입량과 수리지질 특성의 관련성)

  • 박재현;함세영;성익환;이병대;정재열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1 no.2
    • /
    • pp.141-152
    • /
    • 2001
  • The waterway tunnel zone (length 1,484m) in the Hyeonseo-myeon area that is a part of Yeongcheon dam waterway tunnel has been studied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inflow into the waterway tunnel and hydrogeologic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sandstone thickness in the tunnel section. fracture density, fracture aperture and spacing, fault zone width and hydraulic conductivity on the early inflow (inflow prior to the lining and grouting) a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den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is also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fault zone width has the greatest effect on groundwater inflow into the tunnel, and sandstone thickness, hydraulic conductivity and fracture density in order shows an influence on the inflow.

  • PDF

Introduction of seven-type channels on large experimental facility (대형 수리모형 실험시설의 7종 실험수로 구축 소개)

  • Yoon, Ja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6-236
    • /
    • 2018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 구축되고 있는 대형 수리모형 실험시설은 수공구조물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수행, 설계기준 제 개정, 호안 검인증제도 지원 등 국가의 정책지원과 개방 공유를 통한 국내 건설기업의 하천분야 신기술 개발 및 국가 경쟁력 확보, 하천 관련 원천기술 확보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는 대규모 분산공유형 실험시설에 해당한다. 본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구축 진행되고 있는 7종의 실험수로는 장기하상변동, 토석류, 실규모 호안블록, 감세공 수리특성, 신형어도개발 등 다양한 수리특성에 대한 계측 및 분석이 가능한 대형 실험시설에 해당한다. 7종의 실험수로는 PIV시스템의 연계 계측이 가능한 1) 고정식개수로, 2) PIV실험수로와 1/5의 역경사 재현이 가능한 3) 가변식경사수로, 호안블록 및 사석의 소류력 측정이 가능한 4) 고정식급경사수로, 토석류흐름 측정이 가능한 5) 가변식하도실험수로, 장기하상변동 분석을 위한 6) 대형유사순환수로, 부유사의 침 퇴적 양상 재현을 위한 7) 소형유사순환수로로 구성되어진다. 7종의 실험수로는 '18년 2월에 착공하여 현재 실시설계도서를 검토 중에 있으며, 18년 9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 PDF

Hydraulic Experiment for Effect Analysis of Debris Flow Reduction Facilities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효과분석을 위한 기초 수리실험)

  • Jun, Kye won;Jung, Wook kyo;Yoon, Yo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7-367
    • /
    • 2015
  • 토석류는 바위, 자갈, 토사 등이 물과 혼합하여 흐르는 재해 현상이다. 근래에 이슈가 되었던 우면산 토석류사태, 춘천시 펜션 토석류재해로 인한 피해로 토석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토석류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대표적 시설로는 사방댐, 링네트, 브레이커시스템 등의 다양한 저감시설이 있다. 2000년 이후 국내에는 사방댐 형태의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설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방시설은 표준화된 설계기준에 의해 시공되기 보다는 단순한 검토만을 통해 시공되고 있어 관리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 구조적인 안정성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리적인 특성을 고려한 검토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 실험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실험계획을 수립하고, 수리실험에 사용할 토석류 유출 저감시설 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모형의 제작 방법으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널리 보급 되고 있는 3D프린터를 이용하였다. 3D프린터는 레이어를 한 장씩 쌓는 과정으로 제작되어 정밀하고 세밀한 모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에 단순화 시켜 제작되던 모형을 실제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로 제작된 실험용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토석류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On nonlinear fluid-structure-soil interaction (유체-구조물-지반 비선형 상호작용에 관한 고찰)

  • Lee, Woo-Dong;Hur,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6-86
    • /
    • 2020
  • 수리구조물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기능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본체에 작용하는 유체력에 대한 안정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수리구조물 상·하류의 수위차에 기인한 기초지반내의 흐름 및 간극수압 변화는 하천 구조물의 안정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해양에서는 파랑하중에 의한 과잉간극수압이 액상화를 발생시켜 해안구조물의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며, 이에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반면, 하천구조물 주변 지반의 흐름 및 간극수압 뿐 아니라, 액상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구조물 주변의 유동 및 와동 현상 뿐 아니라, 수위차에 따른 지반 내부 유동장과 간극수압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체-구조물-지반 비선형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수치수조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하는 수치수조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실험값과 비교·검토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수치수조에 다양한 입사조건(상·하류 수위차)에 적용하여 유체-구조물-지반의 비선형동적상호간섭 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치수조에서 측정한 구조물 주변의 유동, 와동, 수위로부터 수리특성을 논의하였다. 게다가 지반내의 흐름과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상·하류 수위차가 수리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he Impact og a River-Crossing Structure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하도 내 대형 횡단구조물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변화 분석)

  • Hong, Won-Teack;Song, Soo-Ho;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14-718
    • /
    • 2010
  • 하천에 설치되는 하도 내 구조물이 하천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한국의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하여 하도 준설과 동시에 하도 전체를 횡단하는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천의 수리학적 흐름특성은 더욱 크게 변화하고, 그 영향 또한 매우 광범위하게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설치 계획된 하천 횡단 구조물 1 개소를 연구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여 구조물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흐름 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하천인 낙동강의 기 수립계획 및 관련 문헌 자료를 조사하고 금회 과업대상구간에 대해 현재 하도의 상태와 하도정비 및 보 설치계획에 따른 변화된 하도를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하도 상황에 따라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 하였다. 하도 내 유속 및 수위 등의 기본적인 수리량은 1차원 모형의 적용으로 산정하였으며, 기 수립계획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1차원 모형이 갖는 한계 보완 및 국부적인 수리 특성 분석을 위해 2차원 동수역학 모형의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때 유량 및 기점수위 등의 경계조건은 1 2차원 모형에서 동일하게 설정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으며, 횡단 구조물 설치에 따른 주요지점의 하도 수리학적 흐름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수치모형의 적용 결과, 횡단 구조물 설치에 따른 하도 준설 등의 계획이 실행되면 유속 및 수위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황은 하도의 중앙부에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수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케 하고, 치수 안정성 확보에 순기능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기능 보 즉, 하도 횡단 구조물의 설치로 인한 하도 흐름 영향 검토 결과는 고정보 부근의 흐름에서는 설치 전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유속의 감소가 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퇴적 지향적인 하도로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가 동보 부근의 흐름에서는 유속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하도 본래가 갖는 안정성 확보 및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현장 모니터링과 실내 모형실험 등의 계속된 연구 수행을 통한 자료의 축적 및 분석으로 하도 내 횡단 구조물 설치가 하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지표가 산정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