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 모델링

Search Result 37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of Daecheong Reservoir by a process-guided deep learning model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융합한 대청호 수온 예측)

  • Kim, Sung Jin;Park, Hyungseok;Lee, Gun Ho;Chung, S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8-88
    • /
    • 2021
  • 최근 수자원과 수질관리 분야에 자료기반 머신러닝 모델과 딥러닝 모델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모델은 Blackbox 모델의 특성상 고전적인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법칙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에 내재된 패턴과 관계를 해석하기 때문에 물리적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의 예측 성능은 학습데이터의 양과 변수 선정에 크게 영향을 받는 모델이기 때문에 양질의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으면 모델의 bias와 variation이 클 수 있으며 정확도 높은 예측이 어렵다. 최근 이러한 자료기반 모델링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세스 기반 수치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결합하여 두 모델링 방법의 장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ad et al., 2019). Process-Guided Deep Learning (PGDL) 방법은 물리적 법칙을 반영하여 딥러닝 모델을 훈련시킴으로써 순수한 딥러닝 모델의 물리적 법칙 결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PGDL 모델은 딥러닝 모델에 물리적인 법칙을 해석할 수 있는 추가변수를 도입하며, 딥러닝 모델의 매개변수 최적화 과정에서 Cost 함수에 물리적 법칙을 위반하는 경우 Penalty를 추가하는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도록 모델을 훈련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청호의 수심별 수온을 예측하기 위해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융합한 PGDL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역학적 모델은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수질 모델인 CE-QUAL-W2을 사용하였으며, 대청호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총 2년간 수온과 에너지 수지를 모의하였다. 기상(기온, 이슬점온도, 풍향, 풍속, 운량), 수문(저수위, 유입·유출 유량), 수온자료를 수집하여 CE-QUAL-W2 모델을 구축하고 보정하였으며, 모델은 저수위 변화, 수온의 수심별 시계열 변동 특성을 적절하게 재현하였다. 또한, 동일기간 대청호 수심별 수온 예측을 위한 순환 신경망 모델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개발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수온계 체인을 통해 수집한 수심별 고빈도 수온 자료를 사용하고 독립 변수는 기온, 풍속, 상대습도, 강수량, 단파복사에너지, 장파복사에너지를 사용하였다. LSTM 모델의 매개변수 최적화는 지도학습을 통해 예측값과 실측값의 RMSE가 최소화 되로록 훈련하였다. PGDL 모델은 동일 기간 LSTM 모델과 동일 입력 자료를 사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역학적 모델에서 얻은 에너지 수지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Cost Function에 Penalty를 추가하여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도록 훈련하고 수심별 수온 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A review of transient storage modeling for analyzing one-dimensional non-fickian solute transport in rivers (1차원 Non-Fickian 하천혼합 해석을 위한 하천 저장대 모델링 연구 동향)

  • Kim, Byunguk;Seo, Il Won;Kim, Jun Song;Noh, Hyoseob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4
    • /
    • pp.263-276
    • /
    • 2024
  •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one-dimensional transient storage modeling in the field of solute transport analysis in rivers, its application has notably expand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for hydrology and geobiology over the past few decades. Despite strides in refining transient storage models, there remain unresolved challenges in simplifying complex river transport dynamics into concise formulas and a limited set of parameters. This review paper is dedicated to cataloging and assessing existing transient storage models, outlining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model structures, parameters, and data,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 seek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ransient storag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tinuously evaluating residence time distribution modeling, integrating hydrodynamic models, and using data with minimal assumptions. This paper would contribute to advance our comprehension of the transient storage process, offering insights into sophisticated modeling techniques, pinpointing uncertainty in parameters, and suggesting the necessary avenues for further study.

A Study on the Impact and Contribution of Youngju Dam Operating Plans on the Water Quality of NaeseongCheon and the Nakdong River (영주댐 운영 특성별 내성천 및 낙동강 수질 영향 및 기여도 분석 연구)

  • Ji-Won Kim;Dongil Se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3 no.5
    • /
    • pp.214-227
    • /
    • 2024
  • Domestic multipurpose dams are operated to secure reservoir capacity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supplying domestic water and maintaining environmental flow in downstream rivers during low-flow periods. This operational approach affects the water quality of downstream riv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monthly planned discharge from Youngju Dam on the downstream tributaries, NaeseongCheon and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o achieve this,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CE-QUAL-W2 model to simulate travel times and change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Time Lagged Cross Correlation (TLCC) method was adap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t Youngju Dam and representative points in the downstream NaeseongCheon and Nakdong River, taking into account the travel time of the dam discharge.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water quality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from Youngju Dam and the NaeseongCheon monitoring point (Point 5),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ing from 0.382 to 0.777.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water quality between Youngju Dam and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ranged from -0.528 to 0.317, indicating either a very weak or nega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quality of Youngju Dam and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in objective of constructing Youngju Dam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may not have substantial practical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dam's operational plans with a focus on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NaeseongCheon, which is directly affected by the dam, and to conduct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Research Trends on Defects of Apartment Building by Keyword Network Analysi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공동주택 하자 연구 동향 분석)

  • Jang, Ho-m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9
    • /
    • pp.403-410
    • /
    • 2017
  • Apartment housing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housing supply policy implemented in the late 1980s. However, various defects have occurred because the policy focused only on quantity supply, while neglected quality control. In addition, disputes related to various defects are increasing. ; accordingly, studies defects of apartment house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long-term accumulated defects of apartment buildings by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suggest implications. As ananalysis method, I collected journal articles using the portal of the Korea Education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Agency and constructed data analysis by filtering collected academic papers and keyword refinement. Ialso performed visualization modeling for keyword network relationships, connection 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mediation centrality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rtgage, Dispute, Repair, Case, Response, Condensation, Cost, Institution, Standard, and Valuation are the main keywords that characterize apartment housing defects.

A Study on GIS based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river thematic maps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하천주제도 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 Kwon, Oh-Jun;Kim, Kye-Hyun;Song, Ta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89-194
    • /
    • 2005
  • 현재 국가에서는 하천지도전산화사업 등의 성과물인 하천관련 DB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하천주제도구축사업을 시행중에 있다. 그 결과 요구도 높은 하천주제도의 항목이 결정되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하여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하천주제도 관리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한국수자원공사의 '하천주제도사업계획수립'에서 정립한 하천주제도 데이터 모델을 활용하여 하천주제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GIS를 활용한 시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방법으로는 설계한 데이터모델을 적용하고,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 및 향후 유통측면을 고려하였다. 이에 앞서 연구대상지역을 선정하였고, 모델을 기반으로 한 DB의 위하여 기 구축된 DB의 효과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하천주제도 관리시스템은 하천주제도에 관련된 도형자료를 구축하고, 그에 대한 속성자료를 연계한 시스템 제작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정의된 주제도를 기 구축된 RIMGIS 도형자료 및 속성자료, 하천정비기본계획, 수자원공사자료, 환경부자료, 건교부 자료, 문화관광부자료 등을 활용하여 하천주제도 관리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아울러 하천주제도 구축에 앞서 설계한 하천주제도의 보델을 통하여 하천과 관련된 데이터와 수리 수문 입력변수를 산정하기 위한 전처리 및 후처리 과정이 동일 시스템 내에서 통합처리가 가능할 것이며, 하천에 대한 동적 모델링을 위한 기초 자료의 제공도 가능하리라 본다. 나아가 하천주제도 구축시 간단한 연산기능에서부터 다양한 응용정보를 요구하는 주제도에 대한 효율적인 구축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하천주제도의 관리 및 사용이 보다 효율적이며, 하천업무 담당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 연구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하천주제도 관리시스템의 개발은 타 분야에 구축된 방대한양의 하천 관련 GIS데이터 등의 자료를 연계하여 기 구축데이터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in the Tamjin River Basin by the application of Qual2K (QUAL2K의 적용에 의한 탐진강 유역의 수질모의 연구)

  • Park, Sung-Chun;Bang, Jae-Pil;Roh, Kyong-Bum;Jin,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04-2008
    • /
    • 2009
  • 최근 하천오염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 오염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4대강 수계에 대한 수질오염총량제를 실시하고 있다. 수질오염초량제에 있어 중요한 것은 현재 하천의 상태 및 장래 하천의 상황 즉, 수질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현재 및 미래의 하천 수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질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를 시행하고 있는 탐진강유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하천수질을 모의하기 위한 모형 중에 가장 보편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US EPA에서 개발한 Water Quality model 중에 Qual2E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Excel기반의 후속모델 Qual2K를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은 탐진강 유역을 두 개의 단위유역으로 나누어 한 개의 단위유역을 1개의 Reach로 설정하여 총 2개의 Reach를 형성하였다. 탐진호를 Head water로 설정하고 본류23km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지천을 소구역의 점 오염원으로 간주하여 적용하였다. 모형의 반응계수는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시행착오법에 의해 검토..보정하였으며, 수리입력계수의 산정은 HEC-RAS모형을 사용하여 수심-유량계수와 유속-유량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질모의 항목은 실측자료 2007년 배출부하량을 바탕으로 하여, 수질오염총량제의 수질관리 기준인 BOD와 부영양화 물질 T-P로 정하였다. 검정자료와 보정자료는 2007년 수질관측소의 실측자료를 사용하였다. 유량조건은 하천수질환경기준의 설정근거인 저수량(Q275)을 기준으로 탐진강 유역의 수질을 모의 하였다. 그 결과 Qual2K를 이용해 탐진강 수질 모의 결과 검 보정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A Production Planning Framework for Slim MES in TFT-LCD Lines (TFT-LCD 제조 공정의 Slim MES를 위한 생산계획 프레임워크)

  • Suh, Jung-D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5
    • /
    • pp.2038-2047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for production planning for a Slim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of module operations in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production line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in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mong the module operations in the TFT-LCD production systems. This paper presents the framework for the customized MES reflecting these differences. First, a production process is figur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FT-LCD module operations. Next, a mathematical modeling is presented reflecting the constraints of shop floors and an optimal schedule is presented through a case example. And a scheduling process using the dispatching rules reflecting the status of shop floors is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s are measured and compared. Finally, a design process for the Slim MES framework is presented.

2-Dimensional Moisture Migration Modeling in Drip-Irrigated Root Zone (점적관개(點滴灌漑)에서 토양수분 이동 현상에 대한 2차원 모델 개발 연구)

  • Ro, Hee-Myong;Kim, Seung-Hy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4
    • /
    • pp.314-327
    • /
    • 1997
  • A 2-dimensional soil water flow model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migration of soil moisture in drip-irrigated root zone employing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Several natural phenomena we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such as transpiration, various types of evaporation, and ponding due to the increase in irrigation rate. Model was solved numerically by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model was verified in several ways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it can describe the soil moisture migration in drip-irrigated root zone fairly well. From sensitivity analysis, vertical migration of soil moisture was found to move faster than the horizontal one, which indicates the vertical location just under the dripping point are adequate for measuring points of soil moisture. The pot shape of soil moisture in irrigated zone was proved to be caused by evaporation at the soil surface. Also, it was foun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has greatly influential to the soil moisture migration, and that the soil moisture continues to migrate vertically after irrigation stops.

  • PDF

A Method of Site Selection for the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Using Geospatial Data (지형공간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적지 선정 방안)

  • Lee, Jae One;Seo, Minho;Han, 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3 no.5
    • /
    • pp.427-43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select an optimal site for the development of small-scaled artificial ground water recharge system with the purpose of 50ton/day pumping in dry season. First of all, the topography shape satisfying the numerous factors of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is defined and an appropriate pumping efficiency is calculated through the model experiment of injection and pumping scenario. In next step,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are constructed by processing several geospatial data to explore the optimal site. In detail, watershed images are generated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with 5m cell size, which is set for the minimum area of the optimal site selection. Slope maps are made from DEM to determine the optimal hydraulic gradient to procure the proper aquifer undercurrent period. Finally, the suitable site for artificial recharge system is selected using an integration of overall data, such as an alluvial map, DEM, orthoimages, slope map, and watershed images.

Approximate Performance Analysis of an N-design Call Center by the Decomposition Method (분할방식에 의한 N-설계 콜센터의 근사 성능분석)

  • Park, Chul-Geun;Sung, Soo-Hak;Chung, Ha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1
    • /
    • pp.31-40
    • /
    • 2009
  • Call centers have become the prevalent contact points between companies and their customers. By virtue of recent advances i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and size of call centers have grown dramatically. As a large portion of the operating costs are related to the labor costs, efficient design and workforce staffing are crucial for the economic success of call cent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adequate number of agents. In this context, the workforce staffing level can be modeled as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 using queueing theory. In this paper, we deal with an approximate analysis of an N-design call center with two finite queues and two types of reneging customers by using the state decomposition method. We also represent some numerical examples and show the impact of the system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measures of the call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