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修理)

Search Result 6,711,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ffect of Sarcoplasmic Protein and NaCl on Heating Gel from Fish Muscle Surimi Prepared by Acid and Alkaline Processing (산과 알칼리 공정으로 제조한 어육 수리미의 가열 겔에 미치는 근형질단백질과 NaCl의 영향)

  • 박주동;윤수성;정춘희;조민성;최영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4
    • /
    • pp.567-573
    • /
    • 2003
  • Surimi yields from acid and alkaline processing of 5 fishes were compared to those from conventional processing Effect of sarcoplasmic protein and NaCl on heating gel from acid and alkaline surimi were also investigated by punch test and color. Yield of alkaline surimi wa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urimi. However, the breaking force, deformation and whiteness of heating gel from alkaline surimi were lower than those of heating gel from conventional surimi. The sarcoplasmic protein increased a breaking force and a deformation of gel. A breaking force was decreased, but deformation not significantly with NaCl concentration. Myosin heavy chain (MHC) and actin were greatly degraded in acid processing. Alkaline process for surimi is a valuable way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frozen and pelagic fishes, and making kamaboko-type products.

Analyses for hydraulic gradient and major flow direction of groundwater in the soil aquifer (토양층에서 지하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 분석)

  • Kim, Tae-Yeong;Kang, Dong-Hwan;KIm, Sung-Soo;Kwon, Byung-Hyuk;Yu, Hu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55-19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토양층에서 지하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여 변동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부지는 부경대학교 환경연구동 앞 잔디밭이며, 2008년 10월 18일 ${\sim}$ 11월 1일의 기간 중 12일(10월 21, 28일은 관측 못함) 동안 24회 관측되었다. 관측된 지하수공은 9개공이며, 4 m ${\times}$ 4 m의 정방형으로 설계되었다. 지하수위에 의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산정은 총 9가지 형태의 평면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다.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기 위한 평면은 모두 9가지 형태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는 9개공 모두를 이용한 정방형 평면(TW), 두 번째는 6개공을 이용한 4가지 경우의 삼각형 평면(T1, T2, T3 및 T4), 세 번째는 6개공을 이용한 4가지 경우의 직사각형 평면(R1, R2, R3 및 R4)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평면에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였다. 이상에서 가정된 9가지 평면에서 산정된 평균 수리경사는 0.0094(R2) ${\sim}$ 0.0123(T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9개공 모두를 이용한 평면(TW)에서의 평균 수리경사는 0.0109로 산정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T1과 T3 평면의 평균 주 흐름 방향은 각각 -84.9818과 -86.2487로서, 다른 7개 평면의 평균 주 흐름 방향이 79.7045(T4) ${\sim}$ 85.8405(TW)의 범위로 나타난 것과는 반대의 흐름 방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적용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산정기법(Devlin, 2003)이 삼각형 형태의 평면에는 부적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관측기간 중 10월 12일에 내린 소량의 강우(12 mm)에 의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변동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방형, 삼각형 및 직사각형의 평면 토양층에서 지하수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여 전체 및 국부적인 부지에서의 차이를 파악하고, 평면의 형태에 따른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차이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hydraulic properties of crystalline rock using Multi-Packer system (다중패커시스템을 활용한 결정질 암반의 수리 특성연구)

  • Lee, Jin-Yong;Kim, Kyung-Soo;Park, Kyung-Woo;Ryu, Si-Won;Han, Wo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24-1928
    • /
    • 2009
  • 다중패커시스템은 격리된 어느 특정 구간의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으며 그 구간의 온도, 압력 등의 자료를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각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구할 수 있다. 심도별 수직적 지하수두는 지상에서 연결 롯드를 통해 압력 측정 센서를 해당 심도까지 내려 롯드에서 설치된 압력 측정용 장비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다중패커시스템을 이용한 수리시험으로는 양수시험, 순간충격시험, 간섭시험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순간충격시험을 이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출된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다중패커시스템을 설치하기 전 나공에서 이중 패커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다중패커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심도별 지하수두는 정수두 (hydro-static)상태의 일정한 경향성이 없이, 각 심도에 존재하는 투수성 구조에 영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수의 관측공을 통해 수평 방향의 수리경사를 산출함에 있어 관측공의 심도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중패커시스템을 이용한 수리시험 결과를 나공 상태에서 이중 패커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 결과에 대해 심도별 도출되는 수리전도도가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투수성 구조에 영향으로 인해 투수량계수 (transmissivity)로 환산한 유효 투수계수로 비교하여 결정질 암반의 수리 특성으로 제안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Hydraulic Stability Analysis of Revetments Using Hydraulic Model Test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 Lee, Jong-Pil;Park, Eui-Jung;Choi, Kyoung-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67-1873
    • /
    • 2008
  • 호안은 제방 및 저수로 하안을 강수와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작용에 대하여 직접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연형.생태하천 등 하천의 친수성.경관.생태계의 보전.재생 등이 중요시 되면서 이런 기능을 가진 많은 호안공법들이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호안공법에 대한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 등의 기술적인 검토가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호안공법이 적용된 호안에 대해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호안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시공사례가 있는 콘크리트 식생블록에 대해서 개수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모형은 실제 하천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H형 식생블록을 1/10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호안경사 1:2에 대해 식생이 없는 경우, 식생이 0.08m, 0.04m 간격으로 있는 경우에 대해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식생밀도에 따른 유속 저감 및 소류력 저감 효과에 대한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안경사 및 식생밀도는 호안부에서 흐름의 에너지 및 유속을 감소시키며, 식생이 없는 호안에 비해 식생이 있는 호안에서는 식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류력이 최대 62.24%까지 감소하였다. 호안부에서의 식생의 발달은 유속 및 소류력을 감소시켜 호안부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Hydraulic Coefficient in Ungaged Basin (미계측 유역의 수리계수 산정을 위한 연구)

  • Lee, Jong-So;Kim, Soo-Jun;Kim, Duck-Gil;Lee, Lim-Yeol;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1-165
    • /
    • 2011
  • 수리계수는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의하여 하천을 측량하고 그 측량성과를 바탕으로 수리계수를 산정하여 왔다. 이러한 수리계수는 하천의 홍수위, 유사량, 수질 산정을 위하여 중요한 매개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하천 측량성과가 없는 미계측 유역의 경우 수리계수를 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SWAT 모형의 방법론을 검토하고 미계측 유역에서 수리계수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WAT에서는 하도 단면을 사다리꼴로 가정하여 대상 유량에 대한 유속 및 수위를 산정하게 되는데, 이의 관계를 활용하면 유량-유속, 유량-수심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지수식으로 산정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계측유역인 경안천 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가정하여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계측유역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인 HEC-RAS 모형을 이용한 수리계수 산정 결과와 본 연구에서 미계측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SWAT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SWAT 모형을 이용한 방법론이 일반적인 방법론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경안천이 자연하천이 아닌 정비된 제방하천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연하천에 대한 적용을 통한 검증 또는 제방하천에 대한 적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Sediment Transport Analysis and Hydraulic Geometrical Expression of Long-term volatility of River Bed (유사이송의 수리기하적 분석 및 장기간의 하상변동 경향성의 수리기하적 표현)

  • Hyeonseung Kim;Hyeri Yu;Dae-Hong Kim;Kyungrock Pa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5-235
    • /
    • 2023
  • 하천 내에서 하상변동은 치수나 생태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상변동의 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하상변동의 양상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수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하천의 수리 기하학적 형상이 부유사 농도와 유량과의 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Kim et al., 2018).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과 부유사의 농도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여 수리기하(Hydraulic Geometry) 이론을 이용하여 하상변동의 경향성을 표현하여 하상변동의 경향성을 직관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을 수리기하적표현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제시하였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자연하천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치모의는 자연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하천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수리기하 이론에서의 수심과 폭을 나타내는 인자들을 이용하여 하천의 형상을 넓고 얕은 하천, 좁고 깊은 하천, 중간 정도의 하천으로 분류하였으며 흐름조건을 정상류와 부정류조건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하상경사와 하상재료의 입경분포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실제 하천에 대한 검증은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갑천, 미호천, 남강, 임진강, 원주천, 금호강의 하상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하상변동의 경향성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Manning 공식을 이용하여 하상전단력의 수리기하 지수를 수심, 유속, 조도계수의 수리기하지수들로 표현하였다.

  • PDF

Review on Discontinuum-based Coupled Hydro-Mechanical Analyses for Modelling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장 모델링을 위한 불연속체 기반 수리-역학 복합거동 해석기법 현황 분석)

  • Kwon, Saeha;Kim, Kwang-Il;Lee, Changsoo;Kim, Jin-Seop;Min, Ki-Bok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31 no.5
    • /
    • pp.309-332
    • /
    • 2021
  • Natural barrier systems surrounding the geological repository for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should guarantee the hydraulic performance for preventing or delaying the leakage of radionuclide. In the case of the behavior of a crystalline rock, the hydraulic performance tends to be decided by the existence of discontinuities, so the coupled hydro-mechanical(HM) processes on the discontinuities should be characterized. The discontinuum modelling can describe the complicated behavior of discontinuities including creation, propagation, deformation and slip, so it is appropriate to model the behavior of a crystalline roc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upled HM processes in discontinuum modelling such as UDEC, 3DEC, PFC, DDA, FRACOD and TOUGH-UDEC. Block-based discontinuum methods tend to describe the HM processes based on the fluid flow through the discontinuities, and some methods are combined with another numerical tool specialized in hydraulic analysis. Particle-based discontinuum modelling describes the overall HM processes based on the fluid flow among the particles. The discontinuum method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have limitations: exclusive simulations for two-dimension, low hydraulic simulation efficiency, fracture-dominated fluid flow and simplified hydraulic analysis, so it could be improper to the modelling the geological repository. Based on the concepts of various discontinuum modelling compiled in this paper, the advanced numerical tools for describing the accurate coupled HM processes of the deep geological repository should be developed.

A Study on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 Cultural Heritage Industry (문화재 수리의 조경분야 공종 분류에 관한 연구)

  • Kim, Min-Seon;Lee, Jae-Yong;Kim, Cho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59-6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 the standard for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and establishing the scope of landscaping repair works. Standard construction specifications currently specify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 around the planting construction, while standard work estimate does not include the field of landscaping. The landscaping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the standard work estim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hould be, however, applied, so it is difficult to specifically understand what is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industry. From 1961 to 1980, not only the tree planting but also a variety of landscaping facilities had been specified as the landscaping repair works, and it was found that all of these work classifications are established as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total of 20 work classifications were verified by comprehensively arranging those specified in notices of tender for working drawing services for cultural heritages during three years, from 2018 to 2020, except for those for the maintenance and Dancheong of architectures, plant protection and conservation. All 20 work classifications corresponded to the landscaping work class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landscaping work class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divided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to site-building and shaping, planting work, facility construction, paving work,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nd vegetation maintenance, by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cultural heritage space.

A Study on Mathematical Literacy as a Basic Literacy in the Curriculum (교육과정에서 기초소양으로써 수리 소양에 관한 연구)

  • Park, Soom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7 no.3
    • /
    • pp.349-368
    • /
    • 2023
  • The revised 2022 educational curriculum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literacy as a foundational competency that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of various subjects, along with language proficiency and digital literacy. However, due to the lack of a precise definition for mathematical literacy, there exists a challenge in systematically implementing it across all subject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mathematical literacy in the curriculum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o analyze the application patterns of mathematical literacy in other subjects so that mathematical literacy can be systematically applied as a basic literacy in Korea's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clarifies and categorizes the meaning of mathematical literac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erms such as numeracy and mathematical competence via a literature review. Subsequently, the study compares the categories of mathematical literacy identifi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al curricula and analyzes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literacy in the education curriculum of New South Wales (NSW), Australia, where mathematical literacy is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cross various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each property by subdivid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literacy and examining the application modality to the curriculum will help construct a curriculum that reflects mathematical literacy in subjects other than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