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로 합류부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nfluence shear layer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RGB aerial imagery (RGB 항공영상을 이용한 합류부 전단층 특징 추출법)

  • Noh, Hyoseob;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7-277
    • /
    • 2021
  • 합류부는 인공수로 또는 자연하천에서 흔히 존재하며 매우 복잡한 흐름 구조가 발생하는 곳이다. 특히 본류와 지류의 유속장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단층은 흐름과 물질이 혼합되는 경계면이 되며, 흐름 구조가 전단층을 따라 발달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수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원격탐사 기법의 발전에 따라 위성이나 드론과 같은 무인 이동체를 이용한 하천 계측법이 수질 및 지형변화 연구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중 RGB 항공영상은 해상도가 높고 취득 비용이 저렴하여 확장성 및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전단층이 촬영된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해 합류부 전단층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방법은 RGB 항공 영상에서 본류와 지류의 수체 영역을 각각 추출하기 위해 가우시안 혼합 모형(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다. 추출된 수체 영역에는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을 적용하고 좌표 변환을 하여 정량적인 특징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듬의 적용 예로서 구글어스를 통해 확보된 낙동강-남강 합류부의 항공 영상을 분석한다. 본 추출법을 이용하면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는 기존의 전단층 계측 방법들에 비해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합류부 흐름의 평면적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of Merging Volume at Freeway Merging Area (고속도로 합류부의 합류교통량 평가에 관한 연구)

  • 김상구;김유진;전경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105-127
    • /
    • 1997
  • 합류구간은 다양한 교통특성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으로 인하여 그 동안 체계적인 연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합류부의 교통특성 측면에서 연결로 교 통량의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형회귀 모형식이 연결로 교통량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고 기존의 모형식들과 비교되었다. 이러한 모형식은 본선 교통량과 연결로 교통량과의 상호 관계로 규명하는데 사용되었고 합류교통량에 대하여 연결 로 교통량이 본선교통량보다 더 많은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통와해 시점의 교통량 자료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한 교통량 누적 감산법(the Background Flow Count Reduction Method)은 직접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지점의 자료를 추정하는 데 있어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연결로 교통량의 영향을 고려한 합류부 운영방안이 필요하고 이를 통한 효율적인 합류부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spatial mixing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t the conflu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을 활용한 합류부에서 수질의 공간혼합 특성 분석)

  • Lee, Seo Gyeong;Kim, Dongsu;Kim, Kyungdong;Kim, Young 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2-482
    • /
    • 2022
  • 하천의 합류부에서는 수질이 다른 유체가 혼합하여 합류 전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 하천의 합류부에서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질의 공간적인 혼합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류부에서 수질의 공간적인 혼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자기 조직화 지도(Self-Organizing Map, SOM),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기법을 비교하여 어떤 알고리즘이 합류부의 수질 변화 특성을 더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수질 변화 비교 인자들은 pH, chlorophyll, DO, Turbidity 등이 있고, 수질 인자들은 YSI를 활용해 측정하였다. 자료의 측정 지역은 낙동강과 황강이 합류하는 지역이며, 보트에 YSI 장비를 부착하고 횡단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데이터를 R 프로그램을 통해 세 가지 기법을 적용시켜 수질 변화 비교를 분석한다.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은 거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 사용하고,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기법은 차원 축소와 군집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기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묶는 머신러닝 비지도학습에 속하는 알고리즘이다. 세 가지 방법들의 주목적은 클러스터링이다.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이란 주어진 데이터들의 특성을 고려해 동일한 성격을 가진 여러 개의 그룹으로 대상을 분류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한 방법이다. 군집화 방법들인 TDA, SOM, K-means를 이용해 합류 지역의 수질 특성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수질 패턴들을 분석해 하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합류부에서의 수질 특성을 비교하며 어떤 기법이 합류의 특성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규명했다. 합류의 특성을 군집화 방법을 이용해 알게 된다면, 합류부의 수질 변화 패턴을 다른 합류 지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ydrological Properties Depending on River Bed Elevation Gap at Confluence (하천 합류부에서 지류단락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 Kim, Hyun-Kyum;Han, Jin-Young;Kim, Chul-Moon;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4-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도 합류부의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45^{\circ}$ 합류각을 가진 실험수로에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고, 2차원 SMS모형의 RMA2 모듈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본류를 준설함에 따라 발생하는 본류와 지류의 하상고 차이에 따른 합류부의 흐름특성을 검토 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CCHE2D Model for Analysis of Tributary Confluence (지류 합류부 해석을 위한 CCHE2D 모형의 적용)

  • Kim, Sang Ho;Cho, Ah Ra;Hwang, Shin Bum;Min, Sang K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0-210
    • /
    • 2011
  • 자연 상태의 하천은 대부분 다수의 지류가 본류로 유입되는 복잡한 하천형태를 보이고 있다. 두 개의 수로가 합쳐지는 합류부에서의 수리특성은 홍수 시 제방붕괴나 범람 등의 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가 급격히 변하거나, 지류의 접근 각도에 따른 유속차이로 인해 생기는 합류부 정체구간의 특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와 지류의 유입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합류부의 흐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 유속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류의 유입량은 본류의 10%, 20%, 30%, 40%, 50%로 변화를 주었으며, 지류의 합류 각도를 $45^{\circ}$, $90^{\circ}$, $135^{\circ}$로 변화를 주었다. 이와 같은 합류부에서 발생 가능한 수리특성의 분석 결과는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의 재해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같은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상하도로 이루어진 합류부에 대해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을 적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유입각도와 유량비에 따라 발생 가능한 본류와 지류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alysis by Lateral Inflow (횡유입에 의한 수리 특성 분석)

  • Kim, Sung Hoon;Jo, Min Suk;Choi, H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71-1375
    • /
    • 2004
  • 하천은 대부분이 단일하천이 아닌 몇 개의 지류가 본류와 만나는 복잡한 하천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지류와 본류가 만나는 합류부는 단일하천내 통상의 단면에 비하여 수위, 유속등의 수리학적 특성이 복잡한 현상을 보이게 되려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합류 각도 등에 따라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은 매우 민감하게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본류 및 지류에 의한 배수효과도 발생된다. 합류부의 배수효과는 합류점뿐만 아니라 합류점 상류의 본류와 지류의 수위 및 유속변화를 유발하여 홍수피해를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의 정확한 수리특성의 파악은 안정적인 하천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합류후 정체구간의 수리 특성분석과 그에 따른 통수능의 저하가 본류에 미치는 배수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due to Bridge Installation using 1-D and 2-D Hydraulic Models at a Channel Junction (1.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합류부에서의 교각설치에 따른 흐름특성 분석)

  • Park, Byung-Ky;Lee, Dae-Up;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4-149
    • /
    • 2011
  • 합류부에서의 수공구조물의 설치는 수리학적으로는 매우 불리하며,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과중한 유량이 합류부에 집적되어 홍수위를 상승시킴으로써 하천 범람 피해의 주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HEC-RAS 및 2차원 수치모형 CCH2D을 이용하여 합류부에서의 교각설치에 따른 하천흐름 변화를 분석하고 각 모형의 성과를 비교 검토한다. 또한 2차원 모형인 CCHE2D 모형의 원형교각 배치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FLUMEN모형과 함께 비교 분석하여 실제 교각의 배치, 형상 및 제원이 고려된 격자망을 이용하여 합류부 주변에 위치한 교량에 의한 흐름 유동특성을 평가한다.

  • PDF

Analysis of Merging Behavior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n Freeway Merging Areas According to Acceleration Lane Length (가속차로 길이에 따른 합류행태 및 합류부 교통특성 분석)

  • Lee, Seung-Jun;Park, Jae-Beom;Kang, Jeo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8 s.86
    • /
    • pp.53-66
    • /
    • 2005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acceleration lane lengths o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of merging areas. Two merging areas, Suwon IC and Singal JC, which have remarkably different acceleration lane length were selected as field study sites. Traff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viding each merging area into several subsections. Not only conventional flow, speed and density data but also a newly introduced MOE, density variation were used t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erging area. Singal JC which has longer acceleration lane than Suwon IC showed more severe congestion, and the cause of the results was figured out.

Analysis for Difference of Water Surface Elevation at Cross Section in Pyungchang River Contained Junction Using Hydraulic Model (수리모형을 이용한 평창강 합류구간의 횡단면 수위차 분석)

  • Kim, Gee-Hyoung;Choi, Gye-W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4 s.23
    • /
    • pp.57-65
    • /
    • 2006
  • In this study, hydraulic model same as natural channel with junction area and curved reach is constructed, and after that the variation of difference of the water surface elevation at cross section in junction area is analyzed using constructed hydraulic model. In junction area, the variation of maximum water level based on downstream section is more affected in discharge ratio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maximum water level increased as closed to junction and the peak level appeared at just downstream of junction. The slope of water elevation at cross section is affected in section shape and decreased as discharge ratio is reduce. The expressed formulas developed in the channel consist of constant curvature and section shape showed difference of 60% with measured value, but the suggested formula in this study to compute difference of water surface elevation showed difference of 10% with measured value.

Characterizing three-dimensional mixing process in river confluence using acoustical backscatter as surrogate of suspended sediment (부유사 지표로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한 합류부 3차원 수체혼합 특성 도출)

  • Son, Geunsoo;Kim, Dongsu;Kwak, Sunghyun;Kim, Young Do;Lyu, Si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3
    • /
    • pp.167-179
    • /
    • 2021
  •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mixing process of confluence for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a river on the other river, it has been crucial to analyze the spatial mixing patterns for main streams depending on various inflow conditions of tributaries. However, most conventional studies have mostly relied upon hydraulic or water quality numerical models for understanding mixing pattern analysis of confluences, due to the difficulties to acquire a wide spatial range of in-situ data for characterizing mixing process. In this study, backscatters (or SNR) measured from ADCPs were particularly used to track sediment mixing assuming that it could be a surrogate to estimate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Raw backscatter data were corrected by considering the beam spreading and absorption by water. Also, an optical Laser diffraction instrument (LISST) was used to verify the method of acoustic backscatter and to collec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main stream and tributary. In addition, image-based spatial distributions of sediment mixture in the confluence were monitored in various flow conditions by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coustic backscatter. As results, we found that when acoustic backscatter by ADCPs were well processed, they could be proper indicators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s of the three-dimensional mixing process between two rivers. For this study, flow and sediment mix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e confluence between Nakdong and Nam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