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로 합류부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lume Experiments on Channel Morphology at a Tributary Junction (하천 합류점의 하도형상에 관한 수로실험)

  • Taeho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3
    • /
    • pp.355-364
    • /
    • 1998
  • Flume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describe the channel morphology at a tributary junction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nnel arrangements and hydrologic conditions on the channel morphology. When flow momenta of two tributaries are equal, a receiving stream tends to align with an axis bisecting junction angle. It causes lateral migration of a receiving stream according to an initial channel arrangement. As a result, the post-fonfluent channel morphology varies with plan geometry of a confluence such as symmetry, transition and asymmetry. Bed scour is the most notable morphology within a junction site. Its shape is characterized by steep walls which are primarily influenced by junction angle. Key control of scour dimension is also junction angle. Although the principle of accordant junction has been undoubtedly accepted, discordance is commonly developed at model and natural stream confluences. Unit discharge ratio of confluent streams is the most crucial factor because both discharge and sediment concentration ratios have an effect on discordance at a junction.

  • PDF

The Change of Flow depending upon the Discharge and Approaching Angle at Channel Junctions (합류부의 유량 및 접근각도에 따른 흐름변화)

  • Choi, Gye-Woon;Park, Young-Suop;Han, Man-Sh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8
    • /
    • pp.623-630
    • /
    • 2004
  • In this paper, the hydraulic model tests are conducted for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channel junctions. The experiments are examined through the variation of approaching angle, discharge in the upstream main channel and the discharge ratio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he tributary.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the channel model having the length of 450cm, the widths of 40cm and 32cm. Four water tanks and pumps are installed in the experimental channel. The length of stagnation zone is increased by Increasing of approaching angle and the discharge in the upstream channel. The length of stagnation increase with the discharge ratio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he tributary. However, the variation of the stagnation zone near the channel junctions is little at the same approaching angles and the discharge ratioes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ributary. However, the variation of the stagnation zone near the channel junctions is little at the same approaching angles and the discharge ratioes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ributary. Accelerating zone of the velocity is occurred in the middle of the channel in the small approaching angle. However, the influence zone of the accelerating velocity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pproaching angle.

Variation of Bed Elevation through Discharge Ratio and Approaching Angle at Channel Junction (수리모형을 이용한 합류부 접근각도 및 유량비에 따른 하상변화에 관한 연구)

  • Kim, Young Kyu;Choi, Gye Woon;Chung, Youn Joong;Kim, Jea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386-390
    • /
    • 2004
  • 하천은 자연 상태에서 내부분 단일 하천이 아닌 몇 개의 지류가 본류와 만나는 복잡한 하천망을 구성하며 하류로 흘러간다. 이 때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에서는 본류와 지류의 합류각도나 유량에 의해 수리학적인 특성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한다. 수리학적 특성에서는 수심이나 유속 등의 흐름에 대한 분석이 있을 뿐 아니라, 유사이동에서의 침식이나 퇴적과 같은 하상변동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합류점에 내한 연구가 대부분 물의 흐름 해석에 관한 연구이며, 하상변화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부족하다. 본 실험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의 접근각도를 $60^{\circ},\;75^{\circ},\;90^{\circ}$로 변화시키면서 분석하였으며, 유량비는 1:0.2, 1:0.35, 1:0.5로 변화시키면서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한 모형수로는 본류와 지류의 폭을 1:0.8로 하였으며, 이동상 실험을 위해 입경 1mm인 균일 모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침식되는 길이는 유량비 및 접근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합류부에서의 하상침식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또한 접근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최심경사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2D Finite Element Analysis in Nakdong-Kumho River Jun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 Hwang, Jae-Hong;Han, Kun-Yeun;Nam, Ki-Young;Choi,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21-34
    • /
    • 2009
  • Usually in flood flow problems, one-dimensional approach does not provide the required details of complex flow phenomena such as the flow in braided rivers and river junction. In this study,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sh is constructed using DEM and GIS tool, and applied to RMA-2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wo dimensional model in natural rivers an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iver flow due to the change of cross section. For model calibration, the result of unsteady flow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ccordingly, the SMS model in this study prove to be very effective and reliable tool for the simulation of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flow conditions.

  • PDF

Estimation of Transverse Dispersion Coefficients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 in River (자연하천에서 추적자 실험 및 수치모의를 통한 횡분산 계수 산정)

  • Seo, Il Won;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4-74
    • /
    • 2017
  • 자연하천에서 수자원의 원활하고 안전한 관리에 있어서 오염물의 혼합 거동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자연하천의 경우 만곡부 및 합류부와 같은 복잡한 지형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천의 흐름이 복잡한 형태를 갖게 된다. 특히 수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하폐수 처리장 처리수는 대부분 1차적으로 지류로 방류되어 이후 본류로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지류로부터 본류로 혼합되는 합류부 구간의 경우 일반적인 1차원 혼합이 아닌 횡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혼합 거동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과 진천천이 좌안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낙동강 중류구간 합류부에서의 혼합 구간의 연구를 위하여 횡분산계수 산정을 위하여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를 이용한 농도 추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낙동강 본류에서 정해진 측선을 따라 센서가 설치된 보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농도, 수리량 데이터를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취득하였다. 또한 실험으로부터 취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2차원 이송-확산 혼합 거동 모델인 CTM-2D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지류인 금호강과 진천천의 EC 농도가 합류 전 낙동강 본류의 EC 기저농도 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류의 유입으로 인하여 본류 좌안 쪽에서 전기전도도의 값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류로 이동할수록 불균등했던 전기전도도의 분포가 횡방향 혼합을 통하여 점점 균등한 분포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원 혼합 거동 분석에 필요한 횡 분산계수 산정을 위해 모멘트법, 해석해를 이용한 추적법, 수치모형을 통한 역산법을 통해 산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멘트법의 경우 다른 방법들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과소 산정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The application to the numerical model of two dimension for the examination of the high water level of cardinal points at the junction of the river (합류부 하천의 기점홍수위 검토를 위한 2차원 수치모형의 적용)

  • Park, Soo-Jin;Choi, Seung-Yun;Jung, Young-Duk;Baek, Kyung-Won;Choi, Han-Ku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37-842
    • /
    • 2009
  • 북한강 수계는 여러 하천을 지류로 갖고 유하하고 있으며 하천의 크기 및 본류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지류하천이 합류하고 있으나 기존의 지류하천 홍수위 산정방법은 일률적으로 본류의 계획홍수위를 기점홍수위으로 산정하여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다양한 지류하천에 대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이용 합류부 지점의 수면형을 해석함으로써 지류 하천의 기존 기점홍수위 적용방법의 적정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11개 연구대상 지류 하천에 대하여 유입각,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및 하천폭, 본류의 하천 곡선방법에 대하여 수치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유입각에 따른 수위편차를 검토한 결과, 유입각 $90^{\circ}$이하인 지류하천에서 2차원 수치해석 값이 기존 기점홍수위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본류 하천과 지류 하천과의 유량비를 산정하여 수위편차를 검토한 결과 수치적인 경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류 하천과 지류 하천의 하폭비를 산정하여 수위편차를 비교한 결과 하폭비가 7이상인 경우 수위편차가 작고, 기존 기점홍수위보다 2차원 수치해석값이 작게 산정되었으며, 하폭비가 $3^{\sim}6$ 범위에서는 수위편차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류 하천의 곡선반경을 수위편차와 비교한 결과 곡선반경이 550m이하인 만곡지점의 경우 수위편차가 크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Removal of the Hydraulic Structures near the Junction between Nam Han and Pyeong Chang Rivers (남한강과 평창강 합류부 주변의 수리구조물 제거에 따른 수리특성변화)

  • Choi, Gye-Woon;Yoon, Yong-Jin;Cho, Jun-Bu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8 s.157
    • /
    • pp.675-689
    • /
    • 2005
  •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e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through changing discharge at main channel and lateral channel and state of hydraulic structure at the natural channel junction by experiment. The experimental area is chosen at the channel junction of Nam-Han river and Pyeongchang river. The scale of the experiment is 1/200 in horizontal, and 1/66.7 in vortical, so the distoration rate is 3. From the experiment, the reduction effect of the water level is $12\%$ in the case of removing intank dam, and $5\%$ at the hydro-electronic dam removing case. Furthermore, in the case of two hydraulic structures removing, the reduction effect of water level is $18\%$ at the channel junction. Also, the stagnation zone, which is cased diminution of the channel at the junction, is decreasing through removing the structures.

An Analysis of Breakdown Cause at Freeway Merge Area (고속도로 합류부의 교통와해 원인 분석)

  • 김상구;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53-65
    • /
    • 1998
  • 합류구간에 설치된 차량검지기에서 수집된 조사자료들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교통와해 발생원인과 용량감소 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및 미시적인 방법을 가지고 수행하였으며 거시적인 방법으로는 연결로 교통량의 상대적 비중차이를 분석하였고 미시적으로는 본선에 진입하는 차량들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합류부의 교통와해는 같은 합류교통량에 대한 연결로교통량의 비중 차이레 의해 발생된다. 즉, 연결로교통량 비중이 높아질수록 교통와해 발생확률은 증가할 것이다. 또한 미시적인 측면에서는 연결로 교통량이 같을 때 본선에 진입하는 차량군의 크기 및 발생회수, 표준편차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와해의 주요한 원인은 연결로교통량의 영향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램프미터링과 같은 고속도로 교통통제 기법이 요구된다.

  • PDF

Analysis on Mixing Behavior using Tracer at River Confluence (남강합류부에서의 추적자를 이용한 혼합거동 분석)

  • Han, Eun Jin;Kim, Young Do;Lyu, Siwan;Kim, Dong Su;Cho,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46
    • /
    • 2018
  • 남강은 낙동강 유역의 중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낙동강에 우안으로 합류되는 제 1지류이다. 낙동강 본류 하천의 지류하천이지만 국가하천이며, 비교적 큰 유량을 가지고 있다. 낙동강은 본류를 취수원을 이용하고 있어, 남강과 같이 지류 하천유입 이후의 낙동강 본류에 거동이 중요하다. 취수 원수는 정수처리과정에서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인자이다. 따라서 남강이 합류되는 합류에서의 혼합거동은 중요하다. 혼합거동을 보고자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적자 실험은 공간적으로는 남강과 낙동강의 합류점 부근을 선택하였고, 시간적으로는 계절별, 보 운영 시기별로 실험하였다. 또한 합류부 주변에서의 유량측정과 자연추적자의 농도 측정으로 수행하였다. 낙동강과 남강은 대하천이므로 유량측정을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을 활용하였으며, 추적자의 농도 추적은 센서를 통해 현장 측정하였다. 또한 영상분석을 하고자 드론도 활용하였다. 추적자 실험 분석을 유량과 추적자 농도 분산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지류하천인 남강의 합류이후 낙동강 본류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남강의 유량시기별 혼합거동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론을 활용한 분석도 혼합거동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적자 실험을 통해 취수 원수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향후 유량 변화의 따른 남강합류후 낙동강의 혼합거동의 기초자료 자료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취수원수의 특성을 위한 유량별 다기능보 운영 시기별 혼합거동 분석을 위한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in Congested Traffic at On-Ramp Influence Area (혼잡교통류 상태에서의 연결로 합류부 교통류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Sang-Gu;Kim, Young-Ho;Kim, Tae-Wan;Son, You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5
    • /
    • pp.99-109
    • /
    • 2004
  • Most traffic congestion on a freeway occurs in the merge area, where conflicts between mainline traffic and on-ramp traffic are frequently generated. So far, research on the merge area has mainly dealt with free flow traffic and research on the congested traffic at the merge area is ra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inline traffic and on-ramp traffic at three different segments of the merge area. For this purpose, new indicators based on such traffic variables as flow, speed, and density a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mainline and on-ramp flow. It is also found that the speed and the density of the right two lanes in the mainline traffic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on-ramp flow.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indicators, it is confirmed that the ramp influence area is the right two lanes of the freeway mainline. The revealed relationships between mainline and on-ramp traffic may help to analyze the capacity of the downstream freeway segment of the merging area in congested traffic. The findings of this studyalso provide a basis to develop a model that estimates the merge traffic volume in congested traffic, which is neither theoretically nor empirically sound in most other traffic flow models developed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