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동신장운동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슬괵근의 유연성에 대한 수동신장과 능동신장의 비교 (A comparison of Passive and Active Stretching on Hamstring Flexibility)

  • 박민철;이명희;구봉오;배성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2
    • /
    • 2008
  •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동신장과 능동신장이 단축된 슬괵근에 대한 유연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 90-90 하지직거상 검사를 통해 슬괵근의 단축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정적인 자세유지를 적용한 수동신장과 대퇴사두근의 근력강화 운동을 이용한 능동신장을 적용하여 슬관절의 관절운동 범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90-90 하지직거상 검사를 이용하여 신장 전, 후, 신장 후 60분이 경과한 뒤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두 그룹 모두 신장 전, 후, 신장 후 60분이 경과한 이후의 슬관절의 관절운동범위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두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수동신장과 능동신장은 모두 단축된 슬괵근의 유연성 회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단기간의 신장 적용 후 슬괵근의 유연성 유지에도 효과적인 중재이다.

  • PDF

비특이성 허리통증환자 큰허리근의 근두께와 근긴장도, 골반각도에 심부횡적강찰법과 수동신장운동, 능동적근육이완기법이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The Fusion Effect of Deep Transverse Stroking, Manual Stretching Exercise and Active Muscle Release Technique on Psoas Major Muslce Thickness and Muscle Tone and Pelvic Angle of Non-specific Low Back Pain Patient)

  • 이호재;심재훈;김지원;김기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7-144
    • /
    • 2018
  • 본 연구는 비특이성 허리통증환자에게 큰허리근을 신장시킬 수 있는 세 가지 중재방법인 심부횡적강찰법, 수동신장운동과 능동적근이완기법이 큰허리근의 근두께와 근긴장도, 골반 각도의 변화에 미칠 수 있는 융합적인 영향과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큰허리근의 근두께는 심부횡적강찰법 $0.19{\pm}0.16cm$(p<0.05), 수동신장운동 $0.18{\pm}0.14cm$(p<0.05), 능동적근이완기법 $0.43{\pm}0.35cm$(p<0.05)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골반각도는 심부횡적강찰법 $4.48{\pm}1.63^{\circ}$ (p<0.05), 수동신장운동 $5.36{\pm}2.04^{\circ}$(p<0.05), 능동적근이완기법 $7.24{\pm}2.23^{\circ}$(p<0.05)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큰허리근의 근긴장도는 심부횡적강찰법 $0.96{\pm}0.93Hz$(p<0.05)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수동신장운동 $0.87{\pm}1.20Hz$(p>0.05), 능동적근이완기법 $0.82{\pm}0.98Hz$(p>0.05) 적용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가지 중재방법 간 큰허리근의 두께와 근긴장도, 골반 각도의 변화량을 비교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큰허리근 근두께와 골반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세 가지 중재방법을 환자분의 상태와 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될 것이고, 큰허리근 긴장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심부횡적강찰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경추 불안정성의 관리 (Management for Cervical Instability)

  • 김영민;김호봉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4-91
    • /
    • 2005
  • 척추의 기본적인 생체 역학적 기능은 신체 부분간의 운동을 허용하고 척수와 신경근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척추의 역학적 안정성이 필수적이다. 척추의 안정체계는 수동적 근 골격계, 능동적 근 골격계, 그리고 신경계의 세 가지 하부체계로 나누어지며 이들 하부체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안정성에 관여하고 있다. 경추의 불안정성의 문제는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추간관절의 운동에 의해 염증성의 신경을 압박 또는 신장하거나 또는 통증수용기가 많이 분포하는 인대, 관절낭, 섬유륜과 종판에 비정상적인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안정성의 장애는 근육의 기능적 측면에서 국소적 안정체계와 포괄적 안정체계의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불안정한 경추 환자의 임상적 양상은 일반적으로 머리가 앞으로 나오고 전방 전위된 자세로 견갑대와 승모근 상부의 과활동성을 나타낸다. 또한 능동운동은 감소되지 않으나 수동운동에서 분절의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의 증가와 종말감의 변화가 있다. 경추의 불안정성을 관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로 전반적인 근육 훈련, 고유수용기 훈련, 그리고 도수치료의 세 가지 주된 접근법이 있고 실제적인 접근법으로는 고유수용성 재활프로그램, 칼텐본-에반스 접근법, 그리고, 슬링운동법 등이 있다. 각 방법들은 임상에서 나름대로의 이점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병행해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추에서 이러한 방법들의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부족하여 앞으로 이러한 방법에 대한 임상적 경험보다는 그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 수술 후 재활 (Rehabilitation after Bankart and SLAP Repair)

  • 김양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1
    • /
    • 2008
  • 견관절의 안정요소 중 정적 안정요소는 관절와 상완 연골 인대 복합체나 관절 일치성 등으로서 재활 과정 중 신장 운동에 관여하며, 회전근 개 근육과 각 관절 사이의 운동 조화 등으로 이루어진 동적 안정요소는 근력 강화 운동으로 재활이 이루어진다.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 후 재활은 복원된 조직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드러운 수동 관절 운동을 먼저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수술한 조직이 치유될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환자가 통증없이 독립적인 견관절 운동이 가능할 때 실시한다. 견갑와 상완 관절뿐만 아니라 견갑 흉곽 운동과 견갑골 부착 근육에 대한 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끝으로 본문에 상술한 모든 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운동 내용과 시기를 조정하여 개별화해야 효과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사각근에 대한 수동신장운동이 노력성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ssive stretching exercise of the scalene muscles on forced vital capacity)

  • 변성학;한동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of the scalene muscles known as respiratory accessory muscles, on forced vital capacity. METHODS: Ten of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an experiment group to perform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on the scalene muscles. Ten additional students were selected randomly as a control group. The forced vital capacity was assessed by using a digital spirometer (Pony FX, COSMED Inc, Italy) both before and after the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were performed. Subsequently,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of the scalene muscles were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no interventions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As for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items of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peak expiratory flow (PE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vital capacity ($FEV_1/VC$), and maximal expiratory flow 75%(MEF 75%) after the scalenemuscles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were performed. The control group, however, showed no chang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of the scalene muscles could be helpful for forced vital capacity improvement.

옥천지역 쥬라기 옥천화강암의 변형구조와 호남전단운동 (Deformation structures of the Jurassic Ogcheon granite and the Honam Shearing, Ogcheon Area, Korea)

  • 강지훈
    • 암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0
  • 옥천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옥천지역에는 쥬라기 대보 옥천화강암이 분포한다. 본 논문은 옥천화강암에 발달하는 변형구조에 대한 구조암석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를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옥천화강암의 구조적 형태는 지질도상에서 동서 방향의 쐐기형 꼬리와 동북동 방향으로 약간 신장된 타원형 분포를 하고 있고, 주변암인 옥천누층군의 광역엽리 S1은 옥천화강암의 접촉부와 평행하게 발달한다. 이는 옥천화강암이 광역엽리 S1이 형성된 이후에 수동적으로 관입하였음을 지시한다. 옥천화강암의 주요 변형구조는 그 접촉부를 관통하는 고결후 형성된 남북 방향의 구조적 엽리와 동서 방향의 반화강암질 암맥 그 리고 그 동부 경계부에 북서 및 동서 방향의 좌수향 전단대 등이 있다. 남북 방향의 구조적 엽리와 동서 방향의 반화강암질 암맥은 옥천화강암이 관입후 냉각되는 약 $500{\sim}450^{\circ}C$ 부근의 변형온도에서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호남전단운동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북서 및 동서 방향의 좌수향 전단대는 옥천화강암의 원래의 관입위치에서 우수향 회전운동 동안에 옥천화강암과 주변암 사이에서 발생된 전단변형에 의해 형성되었다. 호남전단대의 활동시기 및 중생대 화성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옥천화강암의 관입 및 변 형작용사와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를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전기~중기 쥬라기 (187~170 Ma); 전기 호남전단운동과 관련된 동구조 엽리상 화강암의 관입. (2) 중기 쥬라기 (175~166 Ma); 쥬라기 화강암류의 주 관입기, 옥천화강암의 수동적 관입, (3) 중기~후기 쥬라기 (168~152 Ma); 쥬라기 화강암류의 주 냉각기, 후기 호남전단운동과 관련된 옥천화강암의 변형작용.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호남전단운동은 175~166 Ma 동안의 휴식기를 걸쳐 187~152 Ma 약 35 Ma 동안 적어도 2회 발생하였음을 제안한다.

골반 중립에 따른 뒤넙다리근 수동 신장 운동이 유연성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tretching Exercise of Hamstring Muscle on Flexibility and Foot Pressure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Pelvis Neutral Position)

  • 조민지;권나영;박수민;서동현;정재령;하미선;양회송;정찬주;유영대;전현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9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exibility and foot pressure on stretching exercise of hamstring muscle with and without pelvis neutral position.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30 subjects. Thir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hamstring passive stretching exercise with pelvis neutral position(n=15), hamstring passive stretching exercise without pelvis neutral position(n=15). Both of the group performed the exercise 4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for comparing before and after changes of factors in each group and the independent t-test for comparing the between group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efore and after hamstring flexibility, foot pressure in pelvis neutral position(p<0.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efore and after hamstring flexibility, foot pressure without pelvis neutral position group(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etween the two group in hamstring flexibility, foot pressure(p>0.05).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between groups, we suggest that stretching exercise of hamstring muscle with pelvic neutral may be effective more than stretching exercise of hamstring muscle without pelvic neutral in flexibility, foot pressure.

뒤넙다리근 능동과 수동신장 운동이 요통 환자의 골반 가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Hamstring Stretching on Pelvic Mobility in Low Back Pain Patients)

  • 정승화;박대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61
    • /
    • 2021
  • PURPOSE: Hamstring muscle shortening is related to low back pain, and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hamstring muscle flexibility and pelvic mobilit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amstring muscle shortening on flexibility and pelvic mobility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retching the hamstring muscl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METHODS: Forty Low Back Pain Patients participated. The subjects performe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Fear Avoidance Belief Questionnaire (FABQ),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Myovision, and sensbalance therapy cushion (pelvic mobility, propriocep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perform the passive and active stretching protocol.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RESULTS: Hamstring muscle flexibil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 .05),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VAS, FABQ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 .01),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left lower back muscle impedanc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 .05). The passive stretch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lvic anterior, posterior, and left tilt ROM (p < .05). The active stretch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lvic anterior, posterior tilt ROM (p < .05). CONCLUSION: Both stretching methods may be useful intervention methods for pelvic mobility and pain recovery and can assess back pain recovery.

수동신장운동과 탄력테이핑 동시적용이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and Elastic Taping on Upper Trapezius Muscle Tone)

  • 최민기;정재훈;김지현;강승재;김영민;나승중;안현지;오민식;오창민;이승아;이아라;장혜지;최윤지;허수안;민수빈;이한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7-10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applying elastic taping and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simultaneously on the muscle tone of the upper trapezius. METHODS: Thirty healthy adul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passive stretching exercise' group (n = 15) and the 'passive stretching exercise with elastic taping' group (n = 15). Muscle tone was measured using the MyotonPRO®. The muscle tension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stretching exercises and taping intervention, and again 5 minute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Within each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muscle tone in the upper trapezius after treatment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tone reduction between the groups (p > .05).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muscle tone in both the upper trapezius muscles over time, i.e.,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nd five minutes later (p < .05). The main effect of time was identified in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while there was no main effect attributed to the treatment method (group) (p < .05). CONCLUSION: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stretching exercises and taping as an intervention to reduce muscle tension in the upper trapezius is still considered challenging and not yet widely regarded as an essential intervention method.

냉각이 반복된 근수축과 사람의 건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ling on Repeated Muscle Contractions and Tendon Structures in Human)

  • 채수동;정명수;아키라호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8권6호
    • /
    • pp.1-11
    • /
    • 2006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피부표면 냉각이 생체내의 건구조 점탄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방법: 7명의 남성 실험 대상자는 족저굴곡 운동을 10회$\times$10set, 60초 간격으로 최대 수의적 수축을 6초간 각각 실시하였다. 각 측정 전후에 내측 비복근(MG)의 건과 건막의 신장은 초음파 검사법에 의하여 직접 측정되었다(건 장력과 건 신장의 관계로 평가 되었다). 건 횡단면적과 족 관절 모멘트 암은 자기공명영상법(MRI)으로부터 얻어졌다. 건 장력은 관절 모멘트와 건 모멘트 암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스트레스는 횡단면적영역(CSA)을 힘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졌다. 스트레인은 건의 길이로 표준화된 치환으로부터 측정되었다. 결과: 냉각 후에 건 장력은, 비냉각 보다 냉각한 측이 유의하게 높았다. 스티프네스는 비냉각 조건 보다 냉각 조건하에서 높은 유의수준을 나타냈다. 최대의 스트레인과 스트레스는 냉각조건하에서 $7.4{\pm}0.7$$36.4{\pm}1.8$ MPa을 나타냈고, 비냉각 조건하가 $7.8{\pm}8.5$$31.8{\pm}1.1$ MPa (p<0.05)을 나타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피부표면 냉각으로 인해 인간의 근지구력이 건 스티프네스와 탄성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라 하겠다. 피부 표면 냉각으로 인한 근지구력의 개선이 근과 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