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쇼핑의 실용적 가치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쇼핑몰상황에서 인지된 쇼핑가치와 쇼핑의도에 대한 성별과 인종의 영향 (Gender and Ethnic effect on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Shopping Intention in the Mall Context)

  • 김지영;김연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5-154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 쇼핑몰 내에서의 소비자행동에 관한 것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핑가치 및 쇼핑의도와의 관계를 모델검증을 통하여 밝혔다. 우선 쇼핑가치와 쇼핑의도 하위차원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비자가 인지한 쇼핑가치를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 가치로 구분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와는 달리 쇼핑의도 변수에 있어서는 다차원적인 구조의 접근을 시도하여 쇼핑의도의 차원을 경제적, 외식, 기분전환, 서비스 이용 의도로 분류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소비자가 인지한 쇼핑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가치는 소비자의 쇼핑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인 모델을 검증해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시된 쇼핑가치 및 쇼핑의도의 차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인종 및 성별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쇼핑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가치는 쇼핑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의 구조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쇼핑 가치의 인지에 있어서 백인과 흑인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쾌락적 쇼핑 가치에서는 차이를 보여 흑인이 백인보다 쾌락적 쇼핑가치를 더욱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에서는 쾌락적 쇼핑가치뿐 아니라 실용적 쇼핑가치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반응을 보였다. 또한 쾌락적 및 실용적 쇼핑가치 모두 쇼핑의도의 전체 차원들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결과를 보여, 실용적 쾌락적 쇼핑가치를 더욱 인지하면 할수록 경제적, 외식, 기분전환, 서비스 이용의 쇼핑의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긍정적, 부정적 쇼핑감정이 쇼핑가치와 인터넷 의류 쇼핑사이트 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n Shopping Value and Approach Behaviors of the Internet Apparel Shopping Site)

  • 박효은;여은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1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이용하여 의류 구매시 느끼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이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이 점포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Babin and Attaway가 오프라인 쇼핑 사이트 연구에 활용한 연구모형을 인터넷 쇼핑상황에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험자료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의류상품을 쇼핑하는 과업을 수행하고 제시된 설문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278명의 결과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으며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과 Amos 6.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인터넷 의류 쇼핑 사이트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사이트에 대한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이 낮았으며,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사이트에 대한 쾌락적, 실용적 가치지각이 높았다. 이렇게 지각된 인터넷 의류쇼핑사이트의 쾌락적, 실용적 가치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재방문의도에는 실용적 가치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제시되었다.

  • PDF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이 실용적·쾌락적 쇼핑가치 지각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ni-channel Service Characteristics on Utilitarian/Hedonic Shopping Value and Reuse Intention)

  • 신종국;오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183-191
    • /
    • 2017
  • 본 연구는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 요인들과 소비자의 실용적 쾌락적 쇼핑가치 지각 및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즉시접속성, 상황기반 제공성, 일관성, 통합성, 프라이버시 위험을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 변수로 도출하여 구조모형을 수립하고 옴니채널 서비스 이용 경험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상황기반 제공성, 일관성, 프라이버시 위험은 쾌락적 쇼핑가치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실용적 쇼핑가치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즉시접속성 및 통합성은 쾌락적 실용적 쇼핑가치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쾌락적 실용적 쇼핑가치 지각은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쇼핑가치를 다차원으로 구성하여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 변수들의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데 학문적인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옴니채널 서비스 도입으로 고객가치 제고를 꾀하는 실무자들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의 쇼핑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격민감도를 조절효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f On-Line Shopping-Mall on Shopping-Mall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 임기흥;권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9-55
    • /
    • 2014
  • 온라인 쇼핑몰의 증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생활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상품을 더욱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려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백화점은 브랜드 상품의 온라인 쇼핑몰 판매를 늘리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쇼핑몰의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한 결과 쇼핑가치는 쇼핑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민감도가 높은 집단은 실용적 쇼핑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격민감도가 낮은 집단은 쾌락적 쇼핑가치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몰 이용가치와 플로우 및 고객 충성도의 관계: 다양성 추구 성향을 중심으로 (Effects of Online Shopping Mall Using Value on User Attitude and Customer Loyalty: Focus on A Comparison Between A Variety Seeking)

  • 정성광;최미리;최영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9-102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근거로 온라인 쇼핑몰 이용 가치에 대해 쾌락적, 실용적 가치로 분류한 다음 온라인 쇼핑몰 이용가치가 플로우,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이용가치와 플로우의 관계는 다양성 추구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온라인 쇼핑몰 이용 가치 중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는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의 플로우는 고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쇼핑몰 이용가치(쾌락적, 실용적)가 플로우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성 추구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다양성 추구 성향에 따라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마케팅 실무자에게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의 결론 부분에는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심야 적합성이 심야쇼핑의 실용적·쾌락적 가치와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Late-Night Fits on Utilitarian·Hedonic Value and Shopping intent)

  • 정윤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17-130
    • /
    • 2014
  • 현재 심야에 하는 상점이나 서비스가 늘어나고 심야 소비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심야쇼핑에 대한 이론적 관심은 부족한 편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진행된 심야쇼핑에 관한 연구는 실용적인 쇼핑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서 심야쇼핑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특히 심야쇼핑이 초기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심야쇼핑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야쇼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적 특성인 심야적합성을 도입하여 이러한 부분들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이 지각하는 심야의 시간적 적합성, 생리적 적합성, 분위기 적합성이 심야 쇼핑의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가치는 심야쇼핑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심야쇼핑에서 실용적 부분 뿐 아니라 쾌락적 부분이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개인의 심야 적합성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심야 쇼핑과 심야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넓혀줄 것이다.

  • PDF

쇼핑가치, 사용용이성, 유용성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n Mobile Purchase Intention)

  • 채진미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73-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변수로 쇼핑가치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신념 변수로 알려진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을 채택하여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검정하였고, 구매경험에 따른 집단 별(중구매/경구매 집단)로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 전문업체를 통해 스마트 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시행하였고, 총 411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SPSS 21과 AMO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쇼핑가치는 감성적인 차원의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인 차원의 실용적 쇼핑가치로 분류되었고 구성변수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경로모형의 적합성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횟수에 따라 중구매 집단과 경구매 집단으로 분류하여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쾌락적 가치보다는 실용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용이성은 직접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유용성을 거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구매 집단의 경우,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과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매 집단에서는 쾌락적 쇼핑가치가 사용용이성에 주는 영향, 실용적 쇼핑가치가 유용성에 주는 영향,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분석 결과는 다양한 유통채널을 사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현대 소비자들을 모바일 구매로 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근거가 될 것이다.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 (Internet Shopping Value, Store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A Comparison by Product Types -)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73-181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구매제품유형에 따라 쇼핑가치와 점포이미지를 파악하여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쇼핑가치는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쇼핑몰의 이미지는 명성, 제품 및 정보서비스, 구매 후 고객서비스, 분위기, 편리성, 안전성 등 여섯 가지 차원으로 추출되었다. 쇼핑몰의 이미지요인은 탐색재, 경험재 모두 쾌락적 쇼핑가치보다는 실용적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았다. 또한 구매제품유형에 따라 쇼핑몰의 이미지와 쇼핑가치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 시장에서 차별화된 세분시장을 파악하는데 마케팅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점포의 혼잡성, 쇼핑감정, 쇼핑가치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 among Store Crowding, Shopping Emotions and Shopping Value)

  • 박수용
    • 유통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61-79
    • /
    • 2008
  • 본 연구는 소매점포 내에서 인지되는 혼잡성, 쇼핑감정, 쇼핑가치 그리고 재이용의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적혼잡성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혼잡성은 긍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부정적 감정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긍정적 쇼핑감정은 실용적 및 쾌락적 쇼핑가치에 정(+)의 영향을, 부정적 쇼핑감정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쇼핑가치의 두 가지 차원은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백화점과 같은 소매점포에서는 다양한 이벤트나 공연, 혹은 쇼핑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시설의 유치 등으로 적정수준의 인적 혼잡성을 유발함으로써 쇼핑객들에게 활성화 작용을 일으키도록 해야 하고 점포 내 통로를 넓히거나 천장이 높게 보이도록 하고 실내를 밝은 조명이나 색상의 사용으로 쇼핑객들의 공간적 혼잡성으로 인한 부정적 행동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쇼핑객들에게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공급뿐만이 아니라 쇼핑 그 자체에 보다 더 큰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전략을 구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멀티채널 소비상황에서 쇼핑행동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Shopping Behavior under Multi-Channel Consumption Environment)

  • 권재국;박병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61-82
    • /
    • 2020
  • 본 연구는 멀티채널 환경 내에서 소비자의 쇼루밍에서 웹루밍으로의 쇼핑 행동 전환에 대한 연구로 밀고 당기기 이주 (Push-pull-mooring: PPM) 이론을 적용하였다. 웹루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푸쉬 효과 (Push effect), 풀 효과 (Pull effect), 그리고 계류 효과 (Mooring effect)로 설정하고, 쇼루밍의 실용적 쇼핑가치의 결핍을 푸쉬 효과로, 웹루밍의 경험적 쇼핑가치를 풀 효과로, 그리고 쇼루밍 락인을 계류 효과로 개념화하였으며,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하고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276부의 설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 쇼루밍의 실용적 쇼핑가치 결핍과 웹루밍의 경험적 쇼핑가치는 웹루밍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쇼루밍 계류는 웹루밍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