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송풍소음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6초

케이싱을 고려한 홴의 유동 및 소음해석 프로그램 응용

  • 이덕주;전완호;정기훈
    • 소음진동
    • /
    • 제11권1호
    • /
    • pp.5-14
    • /
    • 2001
  • 송풍기나 홴과 같은 유체기계의 소음은 최근 들어 사람들의 관심을 끌면서 많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유체기계가 제품의 구매요구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환경소음의 규제와도 관계가 깊다. 이런 홴이나 송풍기 소음은 축 편심에 의한 진동 소음과,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이 있는데 대형 송풍기는 진동 소음과 유동 소음이 동시에 존재하지만 중소형 송풍기는 유동 소음이 우세하다. 유동 소음은 공력음향학이라는 학문의 한 분야로 유동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정확한 소음원을 파악하고, 특성도 예측이 가능하다. 유동과의 강한 연관성 때문에 지금까지 송풍기의 유동 소음에 대한 연구가 미약하였다.(중략)

  • PDF

홴 소음

  • 이승배
    • 소음진동
    • /
    • 제6권5호
    • /
    • pp.541-545
    • /
    • 1996
  • 송풍기 기술은 크게 설계기술과 생산(제조)기술로 나눌 수 있으며, 설계기술 은 유체역학적 설계, 저소음설계, 베어링 등 로터부 저진동설계 등 여러 종류의 핵심 기술로 이루어진다. 송풍기를 제작, 판매하는 중소업체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소형홴을 사용하는 대기업 중심의 가전업체에서도 제품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외국과의 기술제휴로 그 설계 데이터를 들여오거나, 타 회사의 자료를 입수하여 유체기계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응용, 생산을 해 오고 있다. 그러나 송풍기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개방된 시장내에서 그 기술경쟁 또한 치열해짐에 따라 생산기술에 의한 가결 경쟁력 이외에 성능, 소음이나 품질차별화를 더불어 요구하고 있다. 최근 들어 대기업에서는 가전제품에 여러 종류의 홴이 사용되고, 이들은 가전제품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한 소음원이라는 관점에서 저소음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주로 풍량이 100m$^{3}$/min 미만의 홴소음에 대한 현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송풍기 관련 산업체 및 가전업계의 최근 국내외 시장경쟁력 향상의 필수불가결 조건인 홴소음 저감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러한 소음저감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아울러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홴소음 평가 및 규격의 표준화 작업이 절실하다 하겠다.

  • PDF

냉난방 공조 시스템의 저소음화 기술

  • 윤종은;한덕전
    • 소음진동
    • /
    • 제4권2호
    • /
    • pp.111-115
    • /
    • 1994
  • 최근 에어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고객의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소음에 대한 요구가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제조업체에서는 소음 저감대책을 세우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어컨의 경우 쾌적한 실내 온도, 청정한 공기뿐만 아니라 조용한 운전이 요구된다. 에어컨에서의 소음은 주로 송풍기 소음, 압축기 소음, 송풍유로계의 소음, 냉매 유로소음, 전동기 소음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미 발표된 저소음화에 대한 연구논문이나 국내에서 발표된 소음 관련 기술 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에어컨의 소음발생 원인과 소음을 줄이는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 PDF

소형 축류 홴 소음 특성

  • 김창준
    • 소음진동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01
  • 홴(fan)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동력인 풍량과 정압을 발생시켜 발열부품의 냉각 및 환기용으로 산업현장과 가전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던 송풍기가 가전기기에 적용되면서 홴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폭되었는데 특히 국내에서 독자적인 소형 홴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도 이 때이다. 가전에서의 홴은 고효율 뿐 만 아니라 주로 저소음화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이는 기존의 산업현장의 송풍기가 주로 풍량과 정압에 목표를 두고 개발해 왔던 것도 한 이유지만 구조적인 안정성 때문에 소음을 고려한 설계가 한계가 있었기 때문으로 저소음홴에 대한 응용기술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송풍기 기술을 그대로 받아들인 초창기 가전용홴은 소음이 높았다. 또한 가전기기는 모든 연령층이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큰 제품은 항상 소비자 클레임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중략)

  • PDF

에어컨의 소음저감을 위한 기술동향

  • 김장권;김대식;정재화;차재은;박병일
    • 소음진동
    • /
    • 제4권2호
    • /
    • pp.124-136
    • /
    • 1994
  • 에어컨에서의 소음 발생 원인과 그 대책방안, 그리고 에어컨의 주소음원인, 각종 송풍기에서 적용되고 있는 저소음화에 대한 대책기술들을 논하고자 실제의 연구 결과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관련 문헌들의 결과들을 활용하여 기술하였다. 향후에도 가전제품에 있어서 저소음화에 대한 연구 노력은 지속적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음은 적게 할수록 좋지만 경제적 제약과 기술적 제약 및 실제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 내에서 존재하는 암소음 등을 고려하였을 때는 과대한 정도의 저소음 화는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각 사용장소의 형편 에 맞게 최소한의 소음치를 갖는 가전제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현편 가전제품에 대한 소음저감에는 어느 특정기술만을 해결해서는 근본적인 소음저감이 어렵고, 기계적인 각 부품의 저소음화 최적설계 방법이외에 생산기술 및 전자제어 기술이 병행되어져야 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글은 에어컨 중에서도 주 소음원인 송풍기 및 유로 관련한 유동소음저감 측면에서 현재까지 적용되어온 기술동향에 대하여 매우 한정된 범위 내에서 기술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 PDF

에어컨 실외기의 소음원 규명 및 소음저감 (Source Identification and Reduction of Noise for the Outdoor Unit of Room Air Conditioner)

  • 서상호;임금식;이내영;진심원
    • 소음진동
    • /
    • 제8권6호
    • /
    • pp.1043-1052
    • /
    • 1998
  • The noise sources in the outdoor unit of RAC are identified by the sound intensity method. The main noise sources are compressor noise and fluid noise which is caused by the fan. heat exchanger and shroud. First. the fluid noise is reduced through the design of new fan and shroud. reduction of the system resistance by rearrangement of heat exchanger. and optimization of the complex parameter between the fan and shroud. Next, in order to reduce the compressor noise, the new shape of compressor mount and sound-proof material was applied. As a result, the overall noise was reduced by 4∼5dB (A).

  • PDF

사무소 건물의 공조설비소음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VAC Noise in Office Buildings)

  • 도영주;김동규;김흥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66
    • /
    • 1989
  • 공조설비소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의 도심에 위치한 고층 사무소 건물을 대상으로 송풍기의 파워레벨과 취출구를 통한 실내소음레벨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조설비소음이 문제시되는 건물에 흡음챔버와 사이드브랜치를 설치하여 소음기의 감음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실내소음레벨은 송풍기 발생소음의 영향으로 500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에서 ISO의 허용 기준치인 NR40을 초과하였으며 흠음챔버는 넓은 대역의 주파수, 사이드브랜치는 특정공명주파수에서 감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흡음형 소음기를 사용한 세차기용 원심송풍기의 소음저감에 관한 연구 (Noise Reduction of a Blower for an Automatic Car Washer by Using Dissipative Silencers)

  • 김재영;이일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8호
    • /
    • pp.726-732
    • /
    • 2011
  • Straight absorptive silencers have been designed to reduce the noise level of a centrifugal blower. Three-dimensional boundary element method is used for the design of absorptive silencers which consist of a perforated main pipe and a outer chamber filled with fibrous materi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bsorptive silencer reduces up to 8 dB(A) in the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of the blower and up to 15 dB at the blade passing frequency. It is also found that the gap between the silencer and the impeller may substantially alter the acoustic performance of the silencers. The transmission loss predicted by the boundary element method follows overall trends of the measured insertion loss. The experiments also show that the impact of the silencers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blower is minimum.

중소규모 공장에 설치된 송풍기의 소음 감소를 위한 능동소음제어 (Active Noise Control of Blower Fan Noise at the Small-medium Size Factories)

  • 오원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659-4664
    • /
    • 2014
  •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작업자의 건강과 작업 효율에도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주변의 주거지역의 소음 민원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소규모 공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3차원 공간에서 능동소음제어기(ANC)를 이용하여 저감하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ANC의 설정과 결과 데이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Labview를 이용하여 작성하여 음압레벨, 스펙트럼, 등가소음도 등의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소음 데이터는 현재 중소규모 공장에서 운전 중인 터보팬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기기 주변 17개의 위치에서 녹음하여 사용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17 지점 모두 500Hz 이하 저주파 대역에서 파워 스펙트럼이 최대 40dB 줄었으며 등가소음레벨이 평균 12.6dB 감쇄되는 결과를 보였다.

Centrifugal Fan 송풍기의 진동.소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 Centrifugal Fan Vibration and Noise)

  • 김태형;김옥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999-100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Fig.1에 보인 바와 같이 원심휀이 부착된 실내 에어콘을 대상 으로 하여 원심휀의 진동.소음 특성을 연구하였다. Fig.2에서 보인바와 같이 원심휀 은 전기 모터 축에 커플링 되어 있으며 원심휀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유동은 연결된 덕트 시스템(duct system)을 통해 외부로 방출 된다. 이와 같은 송풍시스템에서 발 생하는 진동.소음은 크게 구조물 진동에 의한 구조물진동소음과 공기유동 자체에서 발 생하는 공기유동소음으로 구별된다. 본 연구는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이들 진동. 소 음원의 주파수 특성과 전체 소음에의 기여도 등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