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송전철탑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Side Friction of Deep Foundation for Transmission Tower in Rock (암반에 설치된 송전철탑 심형기초의 주면마찰력 평가)

  • Kim, Dae-Hong;Lee, Dae-Soo;Chun, Byung-Sik;Kim, Byung-H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3 no.4
    • /
    • pp.149-160
    • /
    • 2007
  • Six prototype field tests (five 1/8 and one 1/2 scale test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uplift resistance of deep foundation for transmission line structures. Test sites, located in the city of Eumseng in Choongbuk province, are classified as gneiss. These test results reveal failures not along the foundation-rock interface but either along the damaged surrounding rock mass caused by excavation or along the pre-existing rock joint. Test results also show the uplift resistance which is 20 $\sim$ 30% higher than the current design strength of side friction. In addition to fold tests, four concrete core samples between the liner plate and the surrounding rock mass have been obtained from the existing transmission foundations to study the effect of the liner plate which is installed prior to placing concret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se concrete core samples shows 63 $\sim$ 72% of the strength at the time of foundation construction. Side frictional resistance based on such less compacted concrete reaches satisfying uplift design strength.

Study on Wind Load of Transmission Tower for Considering the Local Geometric Characteristics (국부 지형특성을 고려한 송전지지물 풍하중 산정 연구)

  • Shin, Koo-Yong;Nho, Hee-Won;Choi, Jin-Seong;Oh, Jang-Man;Pang, Hang-Kweon;Shin, Tae-Woo;Lee, D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409_411
    • /
    • 2009
  • 국내의 송전선 지지물 설계는 전기설비기술기준과 한국전력공사 송전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적용되며, 철탑하중에 큰 비중을 갖는 풍하중기준은 1985년 기상청의 풍속 데이터를 반영하여 1987년경에 제정된 지침을 지금까지 적용하고 있다. 당시 제정된 설계기준에서는 지역별 풍속 차이에 따라 I, II, III, 지역 및 울릉도로 구분하여 차등 적용하는 설계개념으로 주변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지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송전지지물의 경우에는 동일한 풍하중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최근 해외 철탑설계기준과 국내 건축물 설계기준에서는 전산기술의 발달로 국부적인 지형영향을 고려하여 철탑별로 개별적인 풍하중을 산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송전선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는 군산-새만금 예정 경과지 가운데 지형조건을 고려한 풍속할증이 요구되는 개소에 대한 설계 풍하중 검토사례를 소개한다.

  • PDF

Reinforcement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Line Tower Basement (송전철탑 무근기초 보강공법 시공기술 고찰)

  • Hwang, Jong-Sun;Lee, Dal-Hyung;Lee, Kyoung-Wook;Choi, Sung-Woo;Kim, Sung-Ho;Kim,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5-17
    • /
    • 2009
  • 송전선로 철탑은 비교적 작용하는 하중이 크고 바람과 피빙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물로써 이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서는 튼튼한 기초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무근콘크리트 기초는 재료의 특성상 휨인장력에 대하여는 지지력이 없어 철탑기초로는 부적절한 구조물이다. 본 고에서는 무근콘크리트 기초에 대한 철근 콘크리트 보강공법 시공기술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A Characteristic of AC Impedance for property assessment of paints on Transmission Towers (송전 철탑 도료의 성능평가를 위한 교류임피던스 특성 평가)

  • Choi, I.H.;Choi, J.H.;Lee, D.I.;Wie, W.B.;Kim, T.Y.;Min, B.W.;Baek, S.D.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492-493
    • /
    • 2006
  • 송전 철탑의 도장 도료의 성능 평가는 부착강도시험, 염수분무시험, 내후성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도장성능 방법인 교류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철탑 도장 도료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우레탄계 2회 도장은 침지 초기와 침지 6일 후 임피던스가 $10^{10}[{\Omega}]$으로 양호한 특성을 보였지만 새롭게 개발된 실록산계 1회 도장은 6일 침지 후 $10^7[{\Omega}]$으로 낮아서 부식방식용 도장 도료로써의 특성은 낮았다. 따라서 철탑 도장 도료는 2회 도장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제적인 송전용철탑설계 2

  • 이재숙
    • 전기의세계
    • /
    • v.17 no.1
    • /
    • pp.32-47
    • /
    • 1968
  • 이글은 전호에 연결되는 글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부재강도 2. 전선배치 3. 기초계산 4. 풍압에 관한 근자의 연구 5. 우리나라 송전선로의 설계개선점 6.결언

  • PDF

Analysis on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fields of Worker for Transmission Line (송전선로 철탑작업자의 전자계노출량 측정결과 분석)

  • Hwang, Kyoung-S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34-435
    • /
    • 2011
  • 오늘날 전자계 노출과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보호와 전자파의 안정적인 이용, 일반대중의 불안감 해소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일반인보다 전자파에 대한 접촉빈도가 높고 노출영향이 큰 송전선로 철탑작업자에 대한 전자계노출량을 측정하고 기준치와 비교하며 저감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eliminary Study on the Behavior of Rock Anchors Subjected to Repeated Loadings (반복하중을 받는 락앵커의 거동에 대한 기초적 연구)

  • 원상연;조남준;황성일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1
    • /
    • pp.25-34
    • /
    • 2001
  • 송전철탑의 기초로써 락앵커는 바람에 의해 반복적인 하중을 받고 있다. 반복하중은 락앵커의 인발 지지력 감소와 누적변위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송전철탑의 락앵커 설계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암반형태에 시공된 모형 락앵커에 대하여 반복하중 시험을 수행한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시험결과에 의하면 정적 극한하중의 50%보다 작은 최대 반복하중(Q$_{max}$)이 락앵커에 작용할 경우, 락앵커의 지지력에 대하여 반복하중의 영향이 없다. 최대 반복하중이 정적 극한하중의 50%에서 75%로 작용할 경우 누적변위의 증가를 유발하고, 정적 극한하중의 75%이상인 경우 락앵커의 지지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적 극한하중의 50% 이상의 반복하중을 받는 락앵커는 불안정하다.

  • PDF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Earth Resistivity for Grounding Design of 500 KV Transmission Towers (500 kV 송전철탑 접지설계를 위한 대지저항률 산정에 관한 연구)

  • Choi, Jong-Kee;Lee, Sung-Doo;Lee, Dong-Il;Jung, Gil-Jo;Kim, Kyu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703-705
    • /
    • 2005
  • 접지설계에 있어서 토양의 전기적 특성은 접지극의 형상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설계요소 중 하나이며 이러한 토양의 전기적 특성은 접지극이 매설될 지역의 고유한 저항률, 즉 고유저항률(specific earth resistivity)로 대표되어 왔다. 이처럼 고유저항률에 근거한 수작업 접지설계는 복잡한 구조와 특성을 갖는 실제 토양을 균일한 매질로 등가화하는 절차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얀마 500 kV 송전철탑 수작업 접지설계를 위하여 수평다층토양을 균일매질로 등가화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Wind Load Mitigation for Transmission Tower using Viscoelastic Damper (점탄성감쇠기를 이용한 송전철탑 풍하중의 저감)

  • Min, Kyung-Won;Park, Ji-Hun;Moon, B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11a
    • /
    • pp.955-958
    • /
    • 2005
  • In this study, the wind load characteristics for a transmission tower is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transmission lines through stochastic analysis. The assemblag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insulator are modeled as a double pendulum system connected to the SDOF model of the tower It is observed that the background component of the overturing moment induced by the wind response of the transmission line has considerable portion in the total overturning moment. Based on this result, a rotational viscoelastic damper (VED) is proposed for the mitiga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reactions, which act as wind load transferred to the tow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trategy, time history analysis is conducted for different wind velocities and VED damping constants. From the analysis, the proposed VED is proved to be effective for mitigation of the background component rather than the resonance component of the transmission line reaction.

  • PDF

A study on appropriateness of the Electrotehnical Regulation for 765 KV Overhead Line (765 kV 가공송전선로 현행 기술기준 적정성 연구)

  • Park, In-Pyo;Kim, Han-Soo;Kim, Gi-hyun;Lee, Jo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621-1622
    • /
    • 2015
  • 765 kV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성 관련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6조제1항 및 동 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제4항제7호에 대하여 전선, 애자련, 강재, 송전철탑 및 기초에 대한 현행 기준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의 목적은 현재 765 kV 가공송전선로의 내력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검토 방법은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전의 765 kV 송전선로의 여유도(크기)을 파악하고, 또한 해외 기준과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검토 자료는 국내 765 kV Ca-32p형 샘플설계도, 한전 관련 시방서,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본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일본전기학회의 [송전용 구조물 설계 표준, JEC-127-1979]이다. 향후 다른 철탑형들의 추가 검토와 미국 및 유럽의 기준들과 대비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