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송전선 개방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8초

송전선로 개방에 의한 고장용량 저감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T/L operation for suppression of Short Circuit Capacity)

  • 이광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351-1353
    • /
    • 1999
  • 전력계통의 고장용량 억제를 위한 송전망 구조의 방사상화는 경제적이고 적용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선로개방에 따라 선로조류의 편중과 모선전압의 변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계통의 안정성 검토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용량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면서 선로조류와 모선전압에 대한 제약조건이 반영되는 최적화 문제를 다룬다. 최적성의 향상을 위해서 호필드 신경망이 사용되며 이를 위해서 관련된 가중행렬 식을 유도한다.

  • PDF

고장용량 감소를 위한 송전선 개방 운용에 신경회로망 적용 연구 (Neural Network Application to the T/L Operation for Suppression of Short Circuit Capacity)

  • 이광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9권1호
    • /
    • pp.26-30
    • /
    • 2000
  • Switching of the transmission lines(T/L) is one of the methods for wuppressing the short circuit capacity. This paper presents the T/L switching operation by using the Hopfield neural network(HNN). The switching of T/L can make the line powers and the bus voltages deteriorated, as well as the fault current decreased. Such an insecure state should be avoided when the T/L is operated to be open. In this studies, the inequality constraints are formulated into the objective function to be incorporated with the HNN. Test results show that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HNN lead to the adequate solution of T/L switching.

  • PDF

전력계통 안정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wer System Stabilizing Scheme)

  • 김용진;이강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90-392
    • /
    • 2006
  • 대규모 전력계통인 한국전력과 154kV 송전선로로 연계되는 석유화학공장 전력계통에 작은 용량의 자가발전기가 병렬운전 되는 경우이다. 전기사고로 한국 전력과의 연계 송전선로가 개방되어 석유화학공장 전력계통이 단독으로 분리되면 발전이 수요에 크게 못 미치게 되어 급격한 주파수 저하 및 과도한 전압강하가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발전기가 정지되어 공장 전체가 정전에 이르게 되는 사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대규모 전력계통과의 연계선로 개방으로 나타나는 과부하 상태에서 주파수 안정화 및 전압강하에 대처할 수 있는 부하차단 또는 계통 분리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단시간 전압강하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전력계통 안정화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 등을 전력계통 동특성 해석도구를 이용하여 모의하고 이를 실제 전력계통에 적용코자하는 사례 연구이다.

  • PDF

송전선로의 유효전력 손실을 각 부하에 배분하는 방법 (An Approach to Allocate Real Power Losses of Transmission Lines to Individual Loads)

  • 노경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9권1호
    • /
    • pp.13-18
    • /
    • 2000
  • The paper proposes a simple method to calculate the portion of real power losses of transmission lines allocated to individual loads. The method is implemented by defining loss distribution factors, and analyses the loads shares in the transmission line losses. The paper also performs calculation of sensitivities of the line losses with respect to load changes so as to be easily employed in on-line applications.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to compute the cost of one ancillary service under deregulated environment in electric power industries.

  • PDF

몽골 남부지역의 야생조류 사고: 감전사를 중심으로 (Bird accidents in Southern Mongolia: a case study of bird electrocution)

  • ;빙기창;;;최원석;;백인환;;;백운기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4-100
    • /
    • 2018
  • 몽골의 초원이나 사막과 같은 개방지역에 설치된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조류 감전사고는 매우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류피해조사를 위해 2017년 몽골 남부지역의 준사막 지역에 설치된 15-kV의 송전선로에 4월, 7월, 9월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50개의 전신주 구간에서 총 12종 45개체의 감전사한 조류를 확인하였다(10㎞마다 1.12% 사망률). 주요 감전 피해 조류는 멸종위기종인 Falco cherrug (n=11)와 Milvus migrans (n=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과 같이 개방된 환경에서의 조류를 위한 잠자리 또는 휴식처의 부족은 보다 많은 조류의 감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몽골의 다른 개방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고현장에서 종동정이 어려운 개체의 경우, 시료의 유전자 증폭 등을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몽골의 개방지역에서 조류의 감전사고는 조류에게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맹금류에게 빈번하며, 간헐적으로 이동철새에게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된 지역일 경우 조류의 감전사고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조류의 위험요소를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은 멸종위기종과 같은 종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MTP를 이용한 개폐서지 분석 및 선로 모델의 영향 (Analysis of Switching Surge and Effect of Line Models using EMTP)

  • 임수빈;여상민;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40-1941
    • /
    • 2007
  • 양질의 전력을 요구하는 경향으로 인해 과도현상이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스위치를 개방 후 반 사이클 후에는 스위치 양극간 전압은 발전기 전압 첨두치의 2배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EMTP에서 제공하는 선로모델 중 비연가 선로와 연가선로를 이용하여 개폐서지와 선로모델과의 관계를 모델링 하였다. 송전단 측에서는 스위치 개폐 후 두 선로모델 사이의 전압 파형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전단 측에서는 두 선로모델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부하차단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Load Shedding Scheme)

  • 오창수;이백석;전영환;이강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67-270
    • /
    • 2005
  • 저주파수 부하차단 방안은 발전기 탈락 또는 송전선로 개방과 같은 사고에 대처하는 좋은 안정화 대책이다. 전력계통 규모와 구성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부하차단 방안이 있다. 전력계통의 규모 확대와 구성의 복잡화는 저주파수계전기에 의한 부하차단 만으로는 계통 안정화에 한계가 있어 저전압계전기에 의한 부하차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부하차단 방안을 정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그 결과의 적정성 확인 및 저전압계전기에 의한 부하차단 방안을 과도안정도 해석 프로그램으로 검토 및 분석한 사례다.

  • PDF

혼잡비용 감소를 위한 TCSC의 최적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Site of TCSC for Reducing Congestion Cost)

  • 이광호;문준모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9권5호
    • /
    • pp.220-225
    • /
    • 2000
  • As a competition is introduced in the electricity supply industry, a congestion problem arises in the transmission network. The congestion causes the transmission cost to increase. One way to decrease the congestion cost is to control the transmission flow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CSC(Thyrister Controlled Series Capacitor). This paper deals with the optimal site of the TCSC for reducing the congestion cost using a shadow price which is one of the economic signals for the systems. Test results show that the site of the TCSC is optimal to minimize the congestion cost by the proposed algor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