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솜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41초

기계부품용 금속구 제조공정의 성형롤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orming Roller for Metal Ball Manufacturing Process for Machine Parts)

  • 조호성;박치근;박종순;김영호;박철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86-1690
    • /
    • 2005
  • Although metal ball can be used as parts of bearing or metal filter, that is used by single product with solder ball or shot ball. Also, according as demand of metal ball of various diameter increase, processing property 솜 extension of coverage are important. Especially an optimal design of cutting roller was investigated for determining appropriate dimensions of components of manufacturing system.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diameter and the round radius of cutting roller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We applied data of rigid-plastic FEM Simulation in basis design of equipment to solve these issues, and confirmed processing factor about metal ball manufacturing process that use cutting process of metal wire in this research

  • PDF

솜양지꽃 뿌리로부터 스테로이드와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Two Steroids and a Triterpenoid from the Roots of Potentilla discolor)

  • 박희준;이경태;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54-357
    • /
    • 2007
  • Three compounds (1-3)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Potentilla discolor (Rosaceae). The structure of compounds 1-3 were elucidated as stigmast-5-en-3-ol $({\beta}-sitosterol,\;1),\;2,19{\alpha}-dihydroxy$-2-oxo-urs-1,12-dien-28-oic acid (fupenjic acid, 2), 3-O-${\beta}$-D-glucopyranosylstigmast-5-en-3-ol (${\beta}-sitosterol\;{\beta}-D-glucopyranoside, 3) based on physical and spectroscopic data. $^{13}C-NMR$ assignments were completed by 2D-NMR technique. The three compounds were firstly isolated from Potentilla discolor.

식물성 솜 상의 무전해 copper 및 Ni-Fe-P도금 (Electroless copper and Ni-Fe-P depositions on cotton)

  • 양승봉;민봉기;최순돈;신현준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5-224
    • /
    • 2001
  • Cotton was etched in 15% NaOH solution at $90^{\circ}C$ for 15 min in order to give good wettability. Then it was catalyzed and accelerated by using $PdC1_2$-$SnCl_2$ solution and 10% $_2$$SO_4$, respectively. Uniform deposits on cotton were obtained when it was electroless copper deposited in pH 10.5 solution at 3$0^{\circ}C$ and Ni-Fe-P deposited in solutions of pH 11 at$ 75^{\circ}C$. The latter deposit has a chemical composition similar to that of permalloy.

  • PDF

한국산 신종, 설악솜다리 (Leontopodium seorakensis, a new species of Asteraceae from Korea)

  • 임용석;현진오;김영동;신현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7-160
    • /
    • 2012
  • 설악산에 분포하는 신종, 설악솜다리를 기재하였다. 이 종은 산솜다리와 왜솜다리와 유사하나, 포 아랫면에 털이 밀생하며, 포편의 모양과 길이가 거의 같으며, 내외포편의 위쪽에 선모가 거의 없는 점에 의해 구분된다.

Cholesterol, L-$\alpha$-Phosphatidylinositol, L-$\alpha$-Phosphatidylserine을 함유한 L-$\alpha$-Dimyristoyl-phosphatidyl Choline 리포솜에 대한 Phospholipase D의 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Phospholipase D on the L-$\alpha$-Dimyristoyl-phosphatidyl Choline Liposome Containing Cholesterol, L-$\alpha$-Phosphatidylinositol and L-$\alpha$-Phosphatidylserine)

  • 이은옥
    • 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49-256
    • /
    • 1983
  • When the reaction rate constant k of phospholipase D on liposome was measured by the ANS fluorometry, k of phospholipase D on DMPC liposome which was made of L-$\alpha$-PI, cholesterol and L-$\alpha$-PS decreased than that of phospholipase D on DMPC liposome with cholesterol or with PI and cholesterol. Optimal $Ca^{2+}$ concentr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effect of phospholipase D, also decreased to 1mM, as compared with 10mM and 60mM respectively when cholesterol and PI were added, and cholesterol only was added. The change of cholesterol Mol% had a great influence on k value of phospholipase D. But in case of addition of L-$\alpha$-PS to cholesterol, the influence was relatively diminished.

  • PDF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불완전 스트림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스트림 데이터 관리 시스템 (An Effective Stream Data Management System for the Incomplete Stream Data on Sensor Network)

  • 박은지;변정우;최다솜;김진한;오염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25-126
    • /
    • 2014
  • 센서 스트림 데이터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로 실시간 처리를 요구하며, 연속적으로 끊임없이 발생하는 스트림 데이터이다. 이러한 스트림 데이터는 양이 방대하여 이를 저장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동시에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스트림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캐시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최소화된 접근으로 데이터 스트림 관리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읽어 들여온 불완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정제하고 상위 단계로 전송한다.

  • PDF

남자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Male Nursing Students)

  • 강다해솜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53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describe the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professionalism in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72 mal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9, 2018. Data were analyzed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 softwa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Nursing professionalism in mal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 stereotypes (r=-.337, p<.001) and self-leadership (r=-639, p<.001). Moreover, the significant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 male nursing students were gender stereotypes (${\beta}=-.188$, p=.002), self-leadership (${\beta}=-.584$, p<.001),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beta}=-.116$, p=.046), which explained 45.3%.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increase nursing professionalism in male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reduce stereotypes, and provide positive images of clinical practice.

생쥐 간 S9 분획을 이용한 방사성추적자 대사물질의 새로운 체외 측정방법 (A Novel in Vitro Method for the Metabolism Studies of Radiotracers Using Mouse Liver S9 Fraction)

  • 류은경;최연성;김동현;이상윤;최용;이경한;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5-329
    • /
    • 2004
  • 목적: 생쥐 간에서 분리한 S9 분획을 사용하여 방사성추적자의 대사물질을 측정함으로써 S9 분획이 새로운 방사성추적자의 대사물질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에 의하여 체내 대사경로가 연구된 방사성추적자를 사용하였으며, 생쥐 간 S9 분획은 마이크로솜을 얻는 과정에서 생쥐의 간으로부터 얻어졌다. 체외 대사물질 측정방법을 방사성추적자에 S9 분획과 NADPH를 넣고 $37^{\circ}C$에서 반응하였으며 해당하는 시간대에 반응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대사물질을 방사능 TLC로 측정하였다. 대사로 인한 탈불소화는 뼈 모사물질인 인산칼슘과 반응하여 흡착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결과: S9 분획을 사용한 체외 대사물질 측정방법에서 방사성추적자 $[^{18}F]1$은 대사로 인한 탈불소화가 일어나 15분 이내에 거의 모두 $[^{18}F]$ 플루오라이드 이온으로 대사되었다. 이 결과는 동일한 방사성추적자를 사용하여 저자들이 보고한 체내방법 및 마이크로솜을 사용한 체외방법에서 얻은 결과와 일치하였다. 방사성추적자 $[^{18}F]2$는 60분 이내에 모두 대사되었으며, $4-[^{18}F]$플루오로벤조산을 포함한 3개의 대사물질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원점에 위치한 대사물질은 체내방법 및 마이크로솜을 사용한 체외 대사물질 측정방법에서 얻은 대사물질과 일치하였다. 마이크로솜을 사용한 체외방법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할 때 대사물질을 유사하였으나 대사물질들의 비율은 상이하였으며, 이 결과는 S9 분획에 있는 세포질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결론: S9 분획을 사용한 체외 대사물질 측정법은 체내의 간 대사물질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성이 크며, 특히 대사로 인한 탈불소화를 추적하는 데는 인산칼슘을 이용한 흡착법과 함께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횡단면에 대한 랜덤계수율, 산란계수율, NECR을 구하였다. 결과: 스캐너의 중심에서 1 cm 벗어난 지점에서 횡축방향, 축방향 공간분해능은 (1) 5.3, 6.5 mm (FBP), (2) 5.1, 5.9 mm (3D RAMLA)이었다. 횡단면의 중심에서 10 cm 벗어난 지점에서 횡축반경방향, 횡축접선방향, 축방향 공간분해능은 (1) 5.7, 5.7, 7.0 mm (FBP), (2) 5.4, 5.4, 6.4 mm (3D RAMLA)이었다. 감쇠매질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민감도는 횡단면의 중심에서 3,620 counts/sec/MBq, 횡단면의 중심에서 10 cm 벗어난 지점에서 4,324 counts/sec/MBq이었다. 산란분획은 40.6%, 최대 참계수율과 최대 NECR은 각각 88.9 kcps @ 12.9 kBq/mL, 34.3 kcps @ 8.84 kBq/mL이었다. 결론: 이 실험에서 NEMA NU2-2001을 이용해 GSO 섬광결정을 사용해 제작된 PET/CT에 대한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BGO, LSO 섬광결정을 사용해 제작된 PET 스캐너의 특성과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PET 영상 획득 시 객관적 평가와 분석에 유용하였다.tinning 시간은 20분 이상(20-35분)을 유지하고, 가능한 rotating invertor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KC $\varepsilon$이 K562(Adr)세포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나, K562와 K562(Adr)세포에서는 verapamil처리에 따른 PKC 아형의 변화는 없었다. 결론: Verapamil은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MIBI와 TF의 섭취를 감소시켰고, 고용량에는 MDR세포의 섭취도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현상은 세포독성 이나 PKC효소 아형과는 관련이 없었다. 그러므로 MDR의 진단시 verapamil을 처치에 따른 MIBI와 TF의 섭취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GA_3$ 및 파종(播種) 후(後) 광질(光質) 처리(處理)에 따른 도라지, 더덕, 만삼의 발아율(發芽率) (Effect of $GA_3$ and Light Quality on Seed Germination in Three Campanulan Plants)

  • 강진호;박진서;김영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6
    • /
    • 1997
  • 본 연구는 전보(前報)에 이어 초롱꽃과 약용작물 중에서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도라지, 더덕, 만삼 종자의 발아(發芽) 및 유근신장(幼根伸長)에 미치는 $GA_3$ 처리방법 (농도(濃度), 침지기간(侵漬期間))과 $GA_3$ 처리 후 발아과정에서의 광질(光質) (적색광(赤色光), 백색광(白色光), 암상태(暗狀態))효과(效果)를 조사하여 이들 종(種)의 입묘율 향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은 $GA_3$ 처리 후 발아시 암조건(暗條件)에서는 도라지, 더덕, 만삼 순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GA_3$ 처리 후 광질처리(光質處理)로 인하여 도라지와 만삼은 발아가 억제된 반면, 더덕은 발아율가 오히려 향상되어 공시종(供試種) 중에서 가장 높았다. 2. 암상태(暗狀態)로 수행된 $GA_3$ 처리 시험에서의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은 무처리(無虐理)에서 0.1mM로 처리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던 반면, $1{\sim}2$일간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4일간 처리할 경우 초기의 발아율은 높았으나 후기 발아율은 낮았다. 3. 공시종(供試種)의 발아 또는 유근신장에 대한 $GA_3$처리효과는 $GA_3$ 처리 후에 주어지는 광질(光質), 주로 적색광(赤色光)에 의하여 $GA_3$ 처리효과가 거의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GA_3$ 처리 후 적색광(赤色光) 처리(虐理)는 도라지와 만삼의 발아를 거의 억제하였으며, 더덕의 발아를 현저히 지연시켰던 반면, 백색광(白色光) 또는 암처리(暗處理)에서의 발아율은 상호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zoic acid의 함양(含量)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삼도종은 정선종에 비하여 salicylic acid와vanillic acid의 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물은 총당의 72%가 올리고당이었으며 올리고당의 주요 구성당은 F2, F3, F4의 inulo올리고당으로 총당의 $51.3{\sim}64.3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endo-inulinase에 의한 가수분해는 효과적인 올리고당 생산방법으로 판단된다. EGTA 처리에 의한 $Ca^{2+}\;chelation$에 의해서 마이크로솜 내부의 $Ca^{2+}$ 농도가 감소되었을 때, ATPase 활성은 증가하였다. 위의 조건에서 실제 마이크로솜 내부로의 $Ca^{2+}$ 유입 여부는 $‘Ca^{2+}’$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마이크로솜 막에 위치한 ATPase의 내부 및 외부에 $Ca^{2+}$에 의한 효소활성 조절부위가 각각존재함을 시사한다. $10{\sim}11.99\;ppm$, 14품종(21.5%)이 $12{\sim}13.99\;ppm$, 9품종(13.8%)이 $14{\sim}15.99\;ppm$, 10품종(15.4%)이 $16{\sim}17.99\;ppm$, 4품종(6.2%)이 $18{\sim}19.99\;ppm$, 5품종(7.7%)이 $20{\sim}29.99\;ppm$, 3품종(4.6%)이 30 ppm 이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이 구미에서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는 품종들에 비해 total terpenoids 함량이 낮은 편이었다.이 크므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를

  • PDF

식이 지방산이 흰쥐 뇌조직 Subcellular Fractions내 Oleic Acid(ω9)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on Level of Oleic Acid (ω9) in Brain Subcellular Fractions of Rats)

  • 정은정;엄영숙;이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26-1633
    • /
    • 2004
  • $\omega$3계 지방산이 부족한 50군과 P/M/S 및$\omega$6/$\omega$3비율이 적절한 MO군으로 생후 9주까지 사육한 흰쥐의 적혈구와 뇌조직의 시냅토솜, 미토콘드리아 및 마이크로솜내 oleic acid 조성 비율은 생후 3주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후 9주에는 MO군에서 SO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내 oleic ac:인 조성은 SO군이 MO군보다 매우 낮으나, SO군의 모유에서 oleic acid 조성비율이 식이에 비해 크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모유가 뇌 성장$.$발달기간중의 뇌조직내 oleic acid의 주요 급원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18:0에서 oleic acid의 de novo 합성 정도를 나타내는 간접지표인 -9 desaturation index는 생후 3주에는 실험군간(시냅토솜 예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후 9주에는 식이내 oleic acid가 풍부한 MO군의 시냅토솜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생후 9주 마이크로솜 분획 에서 olelc acid 수준은 실험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9 desaturation index는 SO군에서 MO군보다 높아 뇌조직 에서 oleic acid가 생합성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설명 해주고 있다. 따라서 흰쥐 뇌조직의 oleic acid는 식이와 모유 등의 이미 합성된 oleic acid가 뇌로 우선적으로 유입되는 부분과 뇌조직 자체에서 합성되는 부분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식이중 oleic acid가 부족하면 뇌 세포분획내의 oleic acid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므로, 식이중 적절한 수준의 oleic acid가 정상적인 뇌발달에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