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솔잎혹파리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7초

솔잎혹파리 확산지역에서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cidomyiidae), and its Parasitoids in Newly Invaded Areas)

  • 박영석;정여진;전태수;이범영;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1-307
    • /
    • 2001
  • 솔잎혹파리가 새로운 지역에 침입하여 극심한 피해를 일으킨 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솔잎혹파리와 천적 기생봉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솔잎혹파리 확산 선단지 26개 지점에서 1975년부터 1997년까지 조사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 기생봉 밀도 및 기생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솔잎혹파리 침입초기인 1975년의 충영형성율은 평균 34.8% 이었으나 1980년 이후 크게 감소하여 밀도가 안정화되었다. 기생봉의 기생율은 침입초기에는 1.9%로서 낮았으나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기생율이 증가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가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1990년대에는 12%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충영형성율과 기생봉 미도와의 관계는 초기에는 서로 상관성이 매우 낮았으나 솔잎혹파리의 침입후 약 10년 이후에는 충영형성율 증가에 따라 기생봉의 밀도도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영형성율에 따른 기생율도 초기에는 명확한 경향성이 없었지만 솔잎혹파리 침입 10년 후에는 보다 명확한 밀도역의존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침입 후 약 10년경부터 기주-기생자간의 전형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며, 기생봉의 밀도조절 능력은 솔잎혹파리 피해가 많은 발생초기에는 미약하지만 솔잎혹파리 밀도가 낮은 피해회복지역에서는 높은 밀도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솔잎혹파리 기생봉의 1신종 (A New Species of Inostemma (Hymenoptera: Platygasteridae), A Larval Parasite of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sp. (Diptera; Cecidomyiidae))

  • 고제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5-38
    • /
    • 1980
  • 한국의 솔잎혹파리 유충기생봉으로 등뿔먹좀벌속의 1신종인 혹파리등뿔먹좀벌(신칭)을 기재보고하는 바이다. 혹파리등뿔먹좀벌(Inostemma hockparin. sp.)은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mma seoulis), 혹파리사리먹좀벌(Platygaster matsultama) 그리고 진해에서 채집된 혹파리반뿔먹좀벌(신칭) (Inostemma matsutama)과 함께 한국에서 출현하고 있는 솔잎혹파리의 유력한 유충기생봉이다.

  • PDF

경북지역에서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잎혹파리기생봉의 개체군 변동 (Annual Fluctuations in Population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its Parasitoids in Kyeongbuk Province, Korea)

  • 전문장;신상철;정영진;김철수;최광식;박일권;장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56-260
    • /
    • 2006
  • 본 연구는 기생봉이 솔잎혹파리 밀도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남성동에 위치한 소나무림에서 우화트랩을 이용하여 1986년에서 2005년까지 20년간 솔잎혹파리와 각 종의 솔잎혹파리 기생봉 성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1987년 이후 기주인 솔잎혹파리와 기생봉 개체군 동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기생봉 밀도는 기주 의존적이었다. 솔잎혹파리 개체군의 성비는 전체적으로는 암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연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솔잎혹파리 기생봉 개체군에서도 유사하였으나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emma seoulis) 개체군의 성비가 혹파리반뿔먹좀벌(Inostemma matsutama) 개체군 성비보다 암컷편기가 심하였다. 기주인 솔잎혹파리는 매년 5월16일~7월27일(우화최성기 : 5월27일-6월5일)에 우화하였고, 그 기생봉인 혹파리반뿔먹좀벌과 솔잎혹파리먹좀벌은 5월16일~6월11일(우화최성기 : 5월27-6월2일) 및 6월9일~7월27일(우화최성기 : 6월23일~6월28일) 이었다.

삼림 토양으로부터 솔잎혹파리 감염 사상균의 분리 (Isol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for Infection to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from the Forest Soil in Korea)

  • 서종복;진병래;신상철;이범영;이창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8-372
    • /
    • 1995
  • 곤충병원성 사상균을 이용한 솔잎혹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병원성이 강한 균주를 전국 산림토양으로 부터 분리.동정하고,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유효 곤충병원 사상균을 선발코자 하였다. 솔잎혹파리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부터 233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eauverla속 29균주, Paecilomyces속 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토양 분리 균주를 솔잎혹파리 유충에 대해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Beauveria 속 SFB-168-2가 82.9%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어,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유효병원 사상균으로 선발하였다.

  • PDF

솔잎혹파리에 대한 소나무류(類) 침엽내(針葉內)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 조사(調査) (Potential Resistance Factors in Pine Needles to Pine Gall Midge)

  • 손두식;엄태진;서재덕;이상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44-250
    • /
    • 1996
  • 솔잎혹파리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를 소나무, 해송, 버지니아소나무 및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에 대하여 조사(調査)하였다. 성충(成蟲)이 산란(産卵)을 위해 수종(樹種)의 선호성(選好性)과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된 방향물질(芳香物質)인 terpenoid와 phenolic compound에 대한 유충(幼蟲)의 생물학적(生物學的) 검정(檢定)을 실시(實施)하였다. 솔잎혹파리의 성충(成蟲)은 산란(産卵)을 위해서 수종(樹種)에 관계없이 전수종(全樹種)에 비산(飛散)하여 산란(産卵)을 하였으나 충영 형성율(形成率)은 버지니아소나무에는 0%,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는 9%, 소나무와 해송은 각각(各各) 25.6%, 22.2%이었다. 그러므로 솔잎혹파리는 버지니아소나무에는 산란(産卵)을 하나 유충(幼蟲)이 자라지 못하고 폐사(斃死)함으로 침엽내(針葉內)에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있는 것으로 추측(推測)되며 소나무류(類)에서 휘발(揮發)되는 terpenoid는 솔잎혹파리의 성충(成蟲)을 유인(誘引) 혹은 기피성물질(忌避性物質)이 아니었으며 또한 신초(新梢)에서 휘발생(揮發生)되는 terpenoids 및 송지(松脂)는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의 폐사(斃死)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솔잎혹파리의(幼蟲)을 사육(飼育)한 결과(結果)는 버지니아소나무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한 phenolic compounds, salicylic acid와 chitinase의 용액(溶液)위에서는 유충(幼蟲)의 폐사율(斃死率)이 각각(各各) 89%, 92%, 86%이나 소나무에서 추출(抽出)한 phenolic compounds와 gallic acid에서는 56%, 57%이었다. 그러므로 버지니아소나무의 침엽내(針葉內)에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salicylic acid와 chitinase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로 추측된다.

  • PDF

서울지방의 솔잎혹파리 분포조사 (The distribution of the Pine Gall-midge(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Seoul district)

  • 고제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55-58
    • /
    • 1965
  • 본문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교통로를 따라 솔칠혹파리의 피해선단지를 조사한 것이다. (1) 서울지방의 술잎혹파리 피해는 광주, 양수, 서파, 봉천, 고촌 등 동북방으로 널리 전파되어 있다. (2) 솔잎혹파리의 전파를 조장하는 인자로는 성충기의 향이 가장 관계가 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솔잎혹파리 피해선단지의 유충기생봉 솔잎혹파리 좀벌의 기생율은 서파의 $13.6\%$를 제외하고는 매우 높았다.

  • PDF

솔잎혹파리 유충의 포식조류에 대하여 (The birds as a vertebrate predator of the larvae of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고제호;김상욱;김윤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9-54
    • /
    • 1969
  • 솔잎혹파리 유충의 포식성 조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솔잎혹파리 유충의 낙하최성기인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류 380개체 (1967년 182개체, 1968 년 198개체)를 포획하여 위(胃)내용물을 조사한것이다. 1. 솔잎혹파리 유충이 지표로 낙하하는 시기에 이를 많이 포식하는 새들은 박새, 쇠박새, 진박새, 곤줄박이, 오목눈이, 쑥새, 노란턱멧새, 꼬까참새, 상모솔새등이였다. 2. 조류별 솔잎혹파리 유충의 평균 포식수는 1967년도에 쑥새가 108마리, 쇠박새 64마리, 박새 25마리였고 1968년도에는 진박새 36마리, 박새 28마리, 쇠박새 17마리였다 3. 솔잎혹파리 포식성 조류의 포식량은 솔잎혹파리 유충의 시기별 낙하율과 일치하였으며 솔잎혹파리가 많이 지표로 떨어지는 11월초중순에 가장 많았다 4. 포획한 조류 380개체의 위(胃)를 분석조사한 바 솔잎혹파리 유충을 포식한 개체는 157개체 (1967년 53개체, 1968년 104개체)였다.

  • PDF

공단지역 주변 소나무림의 솔잎혹파리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cidomyiidae) Larvae in Pine Forests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in Ulsan, Korea)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1
    • /
    • 2017
  • 환경오염원으로부터 지역별 솔잎혹파리 피해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은 석유화학공단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황에 있는 공단지역은 충영형성률 47.94%이었고, 대조지역은 9.94%였다. 솔잎혹파리 피해엽은 공단지역 피해엽의 길이는 평균 4.5 cm 였으며, 대조지역은 평균 4.9 cm 이었다. 솔잎혹파리 피해엽의 충영내 유충의 수는 공단지역은 평균 3.4개체이었고, 대조지역은 2.4개체 이었다. 성숙유충의 크기는 공단지역이 유충체장은 2.40 mm, 체폭은 0.7 mm 이었으며, 대조지역의 유충체장은 2.45 mm, 체폭은 0.71 mm 이었다.

솔잎 혹파리의 생태조사(生態調査) (2) -하기벌채시기(夏期伐採時期)와 피해분포(被害分布)- (Studies on the Ecology of the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sis Uchida et Inouye) II -The summer Felling period and Distribution of infested degrees)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0-44
    • /
    • 1968
  • 1. 가해기(加害期) 충영내(虫癭內) 솔잎혹파리유충(幼虫)은 7월초순(月初旬)부터 서서히 자라며 9월(月)부터는 급격(急激)히 자라난다. 2. 가해기간중(加害期間中)의 충영내(虫癭內) 솔잎혹파리 유충수(幼虫數)는 감소(減少)되지 않는다. 3. 솔잎혹파리의 피해엽(被害葉)은 충영(虫癭)이 형성(形成)되기 시작하면 길이 생장(生長)이 정지(停止)된다. 4. 서울지방(地方)에서 솔잎혹파리를 편제(騙除)하기 위한 하기(夏期) 벌채(伐採)는 종한시기(終限時期) 9월(月)20일경(日頃)이며 이 때의 유충체장(幼虫體長)은1.4~1.5mm이다. 5. 수관(樹冠)의 층위별(層位別) 방향별(方向別) 신초(新梢)의 길이별(別)에 따른 솔잎혹파리의 피해(被害)는 차이(差異)가 없으며 수령(樹令)과 산복위치(山腹位置)에 따라 피해도(被害度)의 차이(差異)가 있다.

  • PDF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研究)(II) - 소나무의 피해(被害) -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II) - Growth impact on red pine -)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87-95
    • /
    • 1983
  • 솔잎혹파리가 소나무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그 발생경과년수(發生經過年數)가 서로 다른 충청남도(忠清南道) 서천군(舒川郡), 보령군(保寧郡), 홍성군내(洪城郡內) 9개(個) 지역(地域)에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이 조사(調査)는 피해허용한계(被害許容限界)를 알기 위한 첫 단계(段階)로 소나무피해(被害)의 개황(槪況)을 본 것으로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솔잎혹파리가 발생(發生)된 소나무의 피해(被害)는 4~5년간(年間) 지속(持續)되는데 2~3년차(年次)에 가장 심(甚)하였다. 2) 솔잎혹파리의 충영형성(蟲廮形成)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径生長)과 수고생장(樹高生長)의 저해(沮害)를 동시(同時)에 일으킨다. 3)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径生長)과 수고생장간(樹高生長間)에는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솔잎혹파리 피해(被害)에도 불구하고 이 관계(關係)는 교란되지 않았다. 따라서, 주신초(主新梢)의 생장저해(生長沮害) 상황(狀況)을 가지고 직경생장(直径生長)의 저해정도(沮害程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이다. 4) 솔잎혹파리의 충영율(蟲廮率)은 북향(北向)에서 월등(越等)하게 높아 소나무의 고사(枯死)도 북향(北向)에서 높았다. 5)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13년생(年生) 소나무의 재적생장손실(材積生長損失)은 수확표와 비교(比較)할 때 75~85% 이상(以上)이 되고 이 피해(被害)는 정상적(正常的)인 생장(生長)을 되찾아도 복구(復舊)되기 어려울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