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 노출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Hand Exposure of Operator to Chlorpyrifos during Mixing/loading and Risk Assessment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 유제 살포액 조제 시 농작업자의 손 노출량 측정 및 위해성 평가)

  • Kim, Eunhye;Lee, Hyeri;Jeong, Mihye;Hong, Soonsung;Kim, Jeong-Ha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6 no.4
    • /
    • pp.391-394
    • /
    • 2012
  •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during mixing/loading of chlorpyrifos emulsifiable concentrate (EC, 20%) were carried out.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were 0.02 and 0.1 ng, respectively. Calibration curve linearity and reproducibility were excellent. Recovery of chlorpyrifos from gloves was 72.3-103.4%. During mixing/loading procedure, average hand exposure amount of chlorpyrifos was 3.9 mg which is corresponding to 0.004% of total active ingredient in the prepared spray mixture. In calculation of MOS (Margin of Safety) for risk assessment, male Korean average body weight and AOEL (Acceptable Operator Exposure Level) were used. Nine events of mixing/loading procedure were assumed per day. And 75 percentile of 30 repetition (4.6 mg) was used as for the worst case. MOS was more than 1 for total repetition, indicating mixing/loading work was of least risk. However, MOS of individual repetition was examined, two cases were less than 1 suggesting careful work habit is essential in mixing/loading procedur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Hand Washing for soldiers (군인의 손 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 조사 - KAP 모형을 중심으로)

  • Han, SunIm;Kwon, Joongmok;Ahn, Bo-yeong;An, Jaehoon;Lee, Seung Hoon;Yim, Hyunjung;Kim, Hyeon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8
    • /
    • pp.472-48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nd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oldiers on hand washing. This is expected to be basis for hand washing and health education in the army. Total of 420 soldie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eta regression model through R and SAS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and the degree of health education was analyzed as having no effect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However, the exposure degree of related health promotional material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m.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ractice of hand washing in the army, continuous exposure of the publicity materials is more effective than the health education. It can be also positively influenced all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hand washing.

감귤재배시 사용하는 Mancozeb의 살포자 노출량 및 위해성 평가

  • Choi, Hoon;Lee, Kyung-Hoon;Yoo, Kwang-Hyun;Song, Byung-Hoon;Kim, J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3-163
    • /
    • 2002
  • 국내에서 사용중인 농약에 대한 농민의 농약 노출량 및 양상을 조사하고자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추정되는 Mancozeb의 살포 시 작업자의 피부 노출량 및 호흡 노출량 측정을 감귤농장에서 실시하였다. 피부노출 측정은 Patch법(50$\textrm{cm}^2$)을 사용하였고 손 노출은 순면장갑을 사용하였다. 호흡노출은 XAD-2 resin 흡착제와 Personal air monitor(2L/min)를 이용, 측정하였다. Mancozeb 분석은 CS$_2$법을 이용하였고 patch, resin, 장갑, 마스크, 소변에서 Mancozeb의 회수율 및 포장회수율 모두 90%이상이었다. 감귤 재배시 Mancozeb 사용에 따른 피부노출량은 여자가 약 1800mg/hr, 남자는 약 1300mg/hr 이었고 주로 배, 등, 상박 그리고 허벅지에 노출량이 많았다. 호흡노출은 관찰되지 않았고 소변에서도 Mancozeb는 관찰되지 않았다. 위해성 평가를 위해 PDE, AQE 및 MOS를 구하였으며 MOS는 Severn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MOS는 여자가 0.37, 남자가 0.58이었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7
    • /
    • pp.2-10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Efficacy of Automatic Dispensing/Injection System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of Nuclear Medicine Workers During PET Procedures (PET 검사에서 작업종사자의 방사선 노출 선량을 줄이기 위한 자동 분주/주사 시스템의 유용성)

  • Cho, Young-K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8
    • /
    • pp.220-224
    • /
    • 2014
  •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icacy of an automatic dispensing/injection system (ADIS)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of workers during PET procedures. NMW(Nuclear Medicine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one of which used conventional method and the other used an ADIS. The radiation dose during injection were also measured in both groups, with another set of experiment. In dispensing step, ADIS imposed significantly less radiation dose than conventional method, both to finger and to whole body. In injection step, ADIS also imposed significantly less dose to finger, while the dose of whole body was somewhat larger in ADIS than in conventional method. Using ADIS, the radiation exposure of NMW during dispensing was markedly reduced. Also, the exposure of finger during injection was markedly reduced, although exposure of whole body was mildly increased.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5
    • /
    • pp.16-25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for Operator Exposure to Insecticide Acetamiprid during Water Melon Cultivation in Greenhouse using Whole Body Dosimetry (수박 시설재배에서 살충제 Acetamiprid 사용 시 전신노출법에 의한 농작업자의 노출 및 위해성평가)

  • Kim, Eunhye;Lee, Jiho;Sung, Jeonghee;Lee, Jonghwa;Shin, Yongho;Kim, Jeong-Ha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8 no.4
    • /
    • pp.247-257
    • /
    • 2014
  • Assessment for operator's dermal and inhalation exposure to acetamiprid during cultivation of water melon in greenhouse was carried out. For dermal exposure measurement, whole body dosimetry (WBD) was performed as the first trial in Korea. WBD consists of cotton/polyester outer clothes and cotton inner clothes. Hand exposure was measured by washing of nitrile gloves and hands while head exposure was monitored by face/neck wipe technique. Inhalation exposure was monitored with personal air sampling pumps and IOM sampler (glass fiber filter). Analytical limit of quantitation was 2.5 ng/mL. Good reproducibility (C.V < 8.7%), linearity ($R^2$ > 0.99) and recovery (70~119%) were obtained. Field recovery of acetamiprid was 77~95%. During mixing/loading, hand exposure of acetamiprid was about 10 times ($229.7{\mu}g$) more than that of application case ($20.9{\mu}g$). During application, total dermal exposure was $1207.4{\mu}g$. Exposure of lower legs was $1132.1{\mu}g$, which is 93.8% of the total dermal exposure. Inhalation exposure during mixing/loading and application was not detected. Margin of safety (MOS) was calculated for risk assessment using male Korean average body weight (70 kg) and acceptable operator exposure level ($124{\mu}g/kg/day$) to give 140, suggesting that health risk of operator during treatment of acetamiprid for water melon in greenhouse could be safe.

Operator Exposure to Indoxacarb Wettable Powder and Water Dispersible Granule during Mixing/loading and Risk Assessment (Indoxacarb의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살포액 조제 시 농작업자의 노출량 측정 및 위해성 평가)

  • Kim, Eunhye;Hwang, Yon-Jin;Kim, Suhee;Lee, Hyeri;Hong, Soonsung;Park, Kyung-Hun;Kim, Jeong-Ha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6 no.4
    • /
    • pp.343-349
    • /
    • 2012
  •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ve safety of mixing/loading work of indoxacarb between wettable powder (WP) and water dispersible granule (WG). Hand exposure was monitored using cotton gloves while inhalation exposure was measured using personal air monitor. Method validation for the exposure monitoring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through several experiments. Limit of determina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were 0.25 and 1 ng, respectively. $R^2$ of calibration curve linearity was more than 0.9999 and reproducibility was 0.7-6. Recovery of indoxacarb from gloves, solid sorbent and glass fiber filter at three different levels was 81.5-108.8%. Trapping efficiency and breakthrough tests gave 981.5-108.8% of recovery. During mixing/loading procedure, hand exposure amount (75 percentile of 30 repetitions) for indoxacarb WP was 6 folds (459.8 mg/kg a.i) than that of WG (81.4 mg/kg a.i). This result indicates that WG has less drift than WP thanks to its granular type of formulation. Inhalation amount was $10^{-8}-10^{-7}%$ of spray mixture prepared and $10^{-4}-10^{-3}%$ of hand exposure. In inhalation ca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wo formulations. Margin of safety was calculated for risk assessment using male Korean average body weight and acceptable operator exposure level as the important exposure factors. Mixing/loading procedures for both of the formulations were considered to be of least risk because calculated MOS values were more than 1.

장기 노출된 철녹 콘크리트의 전기적 특성

  • 김찬오;손기상;김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57-261
    • /
    • 2002
  • 산업폐기물인 철녹을 콘크리트에 배합하여 그 강도특성을 밝힌 후에 다시 장기적으로 계절적 변화에 따라 노출된 구조 요소인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새로운 재료연구에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여기서 전기적 특성은 철의 본 성질을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폐기물로서도 사용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콘크리트와 비교해서 전기적으로 특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이에 대한 실험으로 사실확인을 하고 적용하는 요소에 따라 전기적 특성을 증진하는 배합요소를 찾고자 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