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인식

Search Result 87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Learning Similarity between Hand-posture and Structure for View-invariant Hand-posture Recognition (관측 시점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을 위한 손 모양과 손 구조 사이의 학습 기반 유사도 결정 방법)

  • Jang Hyo-Yeong;Jeong Jin-U;Byeon J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9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술에 기반을 둔 손 모양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학습을 통해 손 모양과 손 구조 간 유사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전 센서에 기반을 둔 손 모양 인식은 손의 높은 자유도로 인한 자체 가림 현상과 관찰 방향 변화에 따른 입력 영상의 다양함으로 인해 인식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비전 기반 손 모양 인식의 경우, 카메라와 손 간의 상대적인 각도에 제한을 두거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카메라와 손 간의 상대적 각도에 제한을 두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게 되며,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입력된 영상에 대한 인식 결과를 최종 인식 결과에 반영하는 방식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반 손 모양 인식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식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손 모양 특징을 손 구조적인 각도 정보와 손 영상 특징으로 나누고, 학습을 통해 각 특징 간 연관성을 정의한다.

  • PDF

Hand Expression Recognition for Virtual Blackboard (가상 칠판을 위한 손 표현 인식)

  • Heo, Gyeongyong;Kim, Myungja;Song, Bok Deuk;Shin, Bumj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12
    • /
    • pp.1770-1776
    • /
    • 2021
  • For hand expression recognition, hand pose recognition based on the static shape of the hand and hand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hand movement are used togeth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hand expression recognition method that recognizes symbols based on the trajectory of a hand movement on a virtual blackboard. In order to recognize a sign drawn by hand on a virtual blackboard, not only a method of recognizing a sign from a hand movement, but also hand pose recognition for finding the start and end of data input is also required. In this paper, MediaPipe was used to recognize hand pose, and LSTM(Long Short Term Memory), a type of recurrent neural network, was used to recognize hand gesture from time series dat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applied to the recognition of numbers written on a virtual blackboard, and a recognition rate of about 94% was obtained.

Sign Language Shape Recognition Using SOFM Neural Network (SOFM 신경망을 이용한 수화 형상 인식)

  • Park, Kyung-Woo
    • Journal of Integrative Natural Science
    • /
    • v.3 no.1
    • /
    • pp.38-42
    • /
    • 2010
  • 인간은 정보전달을 위하여 언어 이외에 동작,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인 수단을 이용한다. 이러한 비언어적인 수단을 정확히 분석 할 수 있다면 인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럽고 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은 단일 카메라 환경에서 손 형상을 입력정보로 사용하여 손 영역만을 분할한 후 자기 조직화 특징 지도(SOFM: Self Organized Feature Map)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 형상을 인식함으로서 수화인식을 위한 보다 안정적이며 강인한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으로는 피부색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으로부터 손 영역만을 추출한 후 추출된 손 영역의 형상을 인식한다(전처리과정으로 모델이미지의 사이즈와 압축 및 컬러에 대한 정보를 정규화 시켰다). 또한 인식 효율을 높이기 위해 SOFM 신경망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손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손 형상 인식률에 대한 안전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인식된 손 형상의 의미를 텍스트로 보여줌으로서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Static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Using Depth Camera (깊이 영상 기반 정적 수화 인식 시스템)

  • Kim, Ki-sang;Choi, Hy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323-3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의 손 모양, 특히 수화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손 모양 인식은 손가락 검출과 손 인식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손가락 검출을 위해 본 시스템에서는 Distance Transform을 이용하여 손의 뼈대를 검출 하고, Convex Hull을 통해 손가락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뼈대 검출은 보다 정확한 손가락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손 인식에는 손 중심과 손가락의 길이, 손의 축, 손가락의 축, 팔 중심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반복적 검사를 통해 인식의 오류율을 줄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수화 인식이 성공적으로 잘 인식 되었다는 것을 보인다.

  • PDF

Robot Control using Vision 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비전기반 손 제스처 인식을 통한 로봇 컨트롤)

  • Kim, Dae-Soo;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97-20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컨트롤 시스템을 위해 입력 받은 영상부터 몇 가지의 손 제스처를 인식하는 비전기반 손 제스처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로봇으로부터 입력 받은 이미지는 로봇의 위치, 주변환경, 조명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환경에서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시스템이 로봇 컨트롤을 위해 미리 지정한 몇 가지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한다. 먼저 이미지 조명 변화에 강한 손 제스처 인식을 위하여 레티넥스 이미지 정규화를 적용한 후, YCrCb 공간 상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손 영역을 검출 후 위치를 추정한다. 인식된 손 영역에서 특징벡터를 추출함으로서 입력 영상내의 존재할 수 있는 손의 크기나 손의 회전각도 등에 상관없이 필요로 하는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한다. 제안된 제스처 인식 결과는 로봇컨트롤을 위한 기존의 제스처인식과 비교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Edge Orientation Histogram Hand Shape Recognition for Window Player (윈도우 플레이어 제어를 위한 에지 방향성 히스토그램 손 형상 인식)

  • 김종민;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28-630
    • /
    • 2003
  • 본 연구는 손의 형상을 복잡한 배경환경에서 손 영역을 안정적으로 검출, 인식하여 윈도우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손은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2차원 형상의 불변량에 해당하는 에지의 방향성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인식을 행한다. 이 방법은 복잡한 배경에서 피부색을 지닌 손 영역이 정확히 추출되며 손 형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수행속도가 빠르고 조명변화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실시간 손 형상 인식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윈도우 플레이어 제어에 적용한 결과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있었다.

  • PDF

Gesture-based User-Interface Through Hand-region Detection and Hand-movement Recognition (손영역 획득과 손동작 인식에 의한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 Ko, Il-Ju;Bae, Young-Lae;Choi, Hyung-Il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8 no.4
    • /
    • pp.35-53
    • /
    • 1997
  • 본 논문은 컴퓨터 시각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하는 제스처 인식 방법은 손영역을 획득하는 손영역 획득 모듈?손영역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로 나누어 수행한다. 손영역 획득 모듈에서는 손색상 모델?손색상 결정함수를 정의하여 칼라영상의 영역 분리를 수행하였고,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손색상 모델을 갱신하고 탐색영역을 제한하여 영역 추적을 용이하게 하였다. 영역 추적은 전 시점의 손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현 시점의 손영역을 획득한다. 인식 모듈에서는 정적인 제스처를 표현하는 객체 프레임?행동 프레임, 그리고 동적인 제스처를 표현하는 스키마를 정의한다. 그리고 획득된 손영역?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제스처를 인식한다. 실험 결갬灌?제안하는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삼목(Tic-Tac-Toe) 게임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사용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게임을 진행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른 종류의 게임 프로그램이나 마우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윈도우 시스템의 제어, 그리고 가상 현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 PDF

CNN-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for Wearable Applications (웨어러블 응용을 위한 CNN 기반 손 제스처 인식)

  • Moon, Hyeonchul;Yang, Anna;Chun, Sungmoon;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58-59
    • /
    • 2017
  • 손 제스처는 스마트 글라스 등 웨어러블 기기의 NUI(Natural User Interface)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손 제스처 인식에서의 인식률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인식기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손 제스처 인식 기법 또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눈문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에서의 미디어 소비 등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손 제스처 인식 기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기법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깊이 정보와 색 정보를 이용하여 손 윤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손 윤곽선 영상을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여 CNN 에 학습을 시킨 후, 이를 바탕으로 손 윤곽선 영상으로부터 제스처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Hand Pose Recognition Using Orientation Histogram Data Ill Hand Pose Space (파라메트릭 손 포즈 공간에서 방향성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이용한 손 포즈 인식)

  • 김종민;위승정;양환석;이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87-78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 영상만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손 형상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손은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2차원 형상의 불변량에 해당하는 에지의 방향성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인식을 행한다. 이 방법은 복잡한 배경에서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손 영역이 정확히 추출되면 계산량이 적고 조명변화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실시간 손 형상 인식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손의 형상제시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도 인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법을 사용하여 인식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손 형상이 3차원적으로 회전에 의해 변하는 경우도 인식가능하게 되었다. 실험부분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가정용 가전제품이나 게임을 제어하는 실시간 휴먼 인터페이스 시스템 제작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Learning Similarity between Hand-posture and Structure for View-invariant Hand-posture Recognition (관측 시점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을 위한 손 모양과 손 구조 사이의 학습 기반 유사도 결정 방법)

  • Jang Hyo-Young;Jung Jin-Woo;Bien Zeung-Na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3
    • /
    • pp.271-274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a similarity decision method between the shape of hand-postures and their structures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vision-based hand-posture recognition system. Hand-posture recognition by vision sensors has difficulties since the human hand is an object with high degrees of freedom, and hence grabbed images present complex self-occlusion effects and, even for one hand-posture, various appearances according to viewing directions. Therefore many approaches limit the relative angle between cameras and hands or use multiple cameras. The former approach, however, restricts user's operation area. The latter requires additional considerations on the way of merging the results from each camera image to get the final recognition result. To recognize hand-postures, we use both of appearance and structural features and decid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types of features by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