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의 구조

Search Result 1,1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Learning Similarity between Hand-posture and Structure for View-invariant Hand-posture Recognition (관측 시점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을 위한 손 모양과 손 구조 사이의 학습 기반 유사도 결정 방법)

  • Jang Hyo-Yeong;Jeong Jin-U;Byeon J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9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술에 기반을 둔 손 모양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학습을 통해 손 모양과 손 구조 간 유사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전 센서에 기반을 둔 손 모양 인식은 손의 높은 자유도로 인한 자체 가림 현상과 관찰 방향 변화에 따른 입력 영상의 다양함으로 인해 인식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비전 기반 손 모양 인식의 경우, 카메라와 손 간의 상대적인 각도에 제한을 두거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카메라와 손 간의 상대적 각도에 제한을 두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게 되며,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입력된 영상에 대한 인식 결과를 최종 인식 결과에 반영하는 방식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반 손 모양 인식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식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손 모양 특징을 손 구조적인 각도 정보와 손 영상 특징으로 나누고, 학습을 통해 각 특징 간 연관성을 정의한다.

  • PDF

A Hand-Gesture Recognition Using Structural Information of Hand (손의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지문자 영상의 인식)

  • 최성현;양윤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502-504
    • /
    • 2001
  • 본 논문은 동작자가 표현하는 수화 동작 중, 지문자 영상을 2차원 영상처리에 의하여 이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손에 개인에 따라 변량이 존재하고 같은 동작을 표현하더라도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지문자 인식을 위하여 손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한다. 추출된 손 영역을 입력으로 하여 손의 외곽 정보를 이용한 MAT(Medial Axis Transform)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나온 골격의 변화에 따라 각각 손가락에 해당하는 2번 쇽(Shock)과 손 바닥에 해당하는 4번 쇽의 관계에 의하여 지문자를 인식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에 의해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를 제거할 수 있고, MAT를 이용할 때 나타나는 외곽영역의 잡음에 의한 구조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1개의 단순 지문자에 대한 270개의 입력영상을 실험한 결과 81.1%, 모양이 흡사한 지문자를 통합하여 26개의 지문자로 식별할 경우에는 91.1%의 인식율을 나타내었다.

  • PDF

Main Points Extraction and Layout Vectorization of Hand-designed Forms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의 주요점 검출 및 서식 구조 벡터화)

  • Kim, By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19-522
    • /
    • 2001
  • 본 논문은 손으로 자유롭게 그린 서식 문서의 주요점을 검출하여 서식의 구조를 벡터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선 성분의 주요점을 검출하여 그 구조를 벡터화하는 방법은 주로 인쇄 서식 문서의 구조 분석에 적용하기 좋은 방법이다. 이에 반해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는 주요점 부분이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점의 검출이 손쉽게 이루어지기 곤란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를 세선화한 다음 여유 성분을 갖는 마스크를 적용하고 후처리를 통해 주요점 부분의 심한 왜곡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에서도 주요점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 손으로 설계한 서식의 경우 91.9%, 인쇄 서식의 경우 100%의 벡터화 성공률을 보여주어 제안한 방법이 손으로 설계한 서식 구조의 벡터화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Shape-Estimation of Human Hand Using Polymer Flex Sensor and Study of Its Application to Control Robot Arm (폴리머 굽힘센서를 이용한 손의 형상 추정과 로봇 팔 제어 연구)

  • Lee, Jin-Hyuk;Kim, D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5 no.1
    • /
    • pp.68-72
    • /
    • 2015
  • Ultrasonic inspection robot systems have been widely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the real-time monitoring of structures such as power plants. However, an inspection robot that is operated in a simple pattern has limitations in its application to various structures in a plant facility because of the diverse and complicated shapes of the inspection objects. Therefore, accurate control of the robot is required to inspect complicated objects with high-precision results. This paper presents the idea that the shape and movement information of an ultrasonic inspector's hand could be profitably utilized for the accurate control of robot. In this study, a polymer flex sensor was applied to monitor the shape of a human hand. This application was designed to intuitively control an ultrasonic inspection robot. The movement and shape of the hand were estimated by applying multiple sensors. Moreover, it was successfully shown that a test robot could be intuitively controlled based on the shape of a human hand estimated using polymer flex sensors.

Learning Similarity between Hand-posture and Structure for View-invariant Hand-posture Recognition (관측 시점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을 위한 손 모양과 손 구조 사이의 학습 기반 유사도 결정 방법)

  • Jang Hyo-Young;Jung Jin-Woo;Bien Zeung-Na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3
    • /
    • pp.271-274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a similarity decision method between the shape of hand-postures and their structures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vision-based hand-posture recognition system. Hand-posture recognition by vision sensors has difficulties since the human hand is an object with high degrees of freedom, and hence grabbed images present complex self-occlusion effects and, even for one hand-posture, various appearances according to viewing directions. Therefore many approaches limit the relative angle between cameras and hands or use multiple cameras. The former approach, however, restricts user's operation area. The latter requires additional considerations on the way of merging the results from each camera image to get the final recognition result. To recognize hand-postures, we use both of appearance and structural features and decid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types of features by learning.

Real-time hand tracking and recognition based on structured template matching (구조적 템플렛 매칭에 기반을 둔 실시간 손 추적 및 인식)

  • Kim, Song-Gook;Bae, Ki-Tae;Lee, Chil-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37-10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오피스 환경에서 가장 직관적인 HCI 수단인 손 제스처를 사용하여 대형 스크린 상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손 제스처는 손 영역의 정보, 손 중심점의 위치 변화값과 손가락 형상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종류들을 미리 정의해 둔다. 먼저 효율적으로 손 영역 획득을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연속된 영상을 획득한다. 획득된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구조적 템플레이트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손의 중심(centroid) 및 손가락끝(fingertip)을 검출한다. 인식과정에서는 양손의 Euclidean distance와 손가락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제스처와 비교하여 인식을 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비전 기반 hand gesture 제어 시스템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 PDF

건강코너 - 손이 기형이라면?

  • Kim Ju-Su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99
    • /
    • pp.30-31
    • /
    • 2006
  • 아기가 세상에 태어났을 때 아기와 산모의 건강에 대한 염려 다음에는 흔히 손가락과 발가락이 모두 10개씩 맞는지 물어보고 헤아려 본다. 우리 몸에서 비슷한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 10개씩 되는 것은 손과 발 이외에는 그렇게 흔치 않다. 그래서인지 손에는 눈에 잘 띄지 않는 경한 기형에서부터 팔이 짧든지 손가락이 없는 심각한 변형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손의 기형에 대해 알아보자.

  • PDF

Virtual Two-View Technique for Real 3D Hand Interface (사실적 3D 손 인터페이스를 위한 가상 양시점화 기법)

  • Bae, Dong-Hee;Kim, Jin-Mo;Cho, Hy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162-166
    • /
    • 2010
  • 기존의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손 인터페이스들은 대부분이 2차원 영상을 분석, 제어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거나 3차원 분석의 경우 주로 두 대의 카메라로 영상을 입력 받아 매 프레임 많은 연산을 처리하는 불필요한 구조로 구현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 양시점화 기법은 두 카메라 사이의 변환 정보를 호모그래피(Homography) 행렬로 계산한 후에는 오직 한 대의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사실적인 3차원 손 좌표 복원을 수행한다. 즉, 초기에 구해진 호모그래피 행렬을 통해 가상의 두 번째 카메라의 좌표 값을 예측하여 한 대의 카메라만을 사용하면서도 두 대의 카메라로 처리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으려는 시도이다. 이는 단일 손 영상을 분석하여 3차원 정보를 유추하는 기존의 3차원 손인터페이스 방식에 비해 보다 정확한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두 대의 카메라를 동시에 구동할 때보다 연산량의 감소로 실시간 처리에 있어 효율적이다.

  • PDF

Constraint-Based Modeling of Human Hands (구속조건 기반의 손 모델)

  • Choi, Haeock;Song, Mankyun;Jun, B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3 no.1
    • /
    • pp.1-7
    • /
    • 1997
  • Technology for the realistic model and the motion control of human is applied to many areas of computer graphics,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simulations. Human body is a multi-articular body. Generally, to create a human model and motions. articulated body models are generated and their motions are controlled based upon kinematics. The hand of the human consists of many small articulations and each articulations have a various degree of freedom. This paper presents a model of human hand which is based on the two kinds of constraints to control the motions of the hand realistically. To build a hand model, we experimented the anatomy of the human hand, and the diverse motions of the hand are tested.

  • PDF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According To The Clinical Practice Of Paramedic Students

  • Yoo, Young-Gun;Kim, Sung-Lyoung;Lee, Nam-J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8
    • /
    • pp.129-135
    • /
    • 2020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paramedic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of education on hand washing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335 students in paramedicine department in P city and J city were the study subjects and we distributed URL to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o carry out untact survey using questionnaire.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23.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hand washing per day was 5~8 times (142 students, 42.4%) and average time for washing hands was 24.34 seconds. We could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nd washing to wrist' and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dry after hand washing' in terms of difference on awareness of hand washing according to the clinical experiences (p<0.05). In terms of differences in hand washing performance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efore touching equipment for clinical practice' and 'before taking foods such as drinks during practice'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showed that if awareness of hand washing is high, its performance is increased, too (p=0.001). We try to provide basic data of education on hand washing that can improve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hand was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