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씻기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2초

치과종사자의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과 손씻기 수행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washing practice and health belief model of hand washing among dental practitioners)

  • 김가현;권용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87-59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종사자의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과 손씻기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치과의원, 치과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140명의 치과종사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가보고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모든 자료는 통계분석은 t검정, 일원분산 분석, Pearson 상관계수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손씻기 수행도는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과 r=0.285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치과의원, 치과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종사자의 병원감염 예방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교육 시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수행을 위한 동기로 구성된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하고, 지속적인 손씻기 교육을 시행한다면 치과종사자의 손씻기 수행도도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손씻기 교육 후 태도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about Nursing Student's Attitude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 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21-630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손씻기와 관련된 교재, PPT 자료 그리고 실습을 통해 교육한 후 대상자들의 손씻기에 대한 태도유형을 파악하여 간호교육 및 간호실습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적용하였고, 2012년 10월 8일부터 10월 15일까지 간호학과 2학년 20명을 P표본으로 하여, 대상자들에게 Q표본을 9점 Q표본 분포도상에 강제분포하도록 하고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program에 의한 주인자 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손씻기 태도에 대한 유형은 3가지로 분류되었다. 3가지 유형은 아이겐값 1.0이상인 것으로 하였고, 유형별 변량은 40.41%, 10.14%, 그리고 6.11%로 전체 누적변량은 56.6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 1유형은 손씻기 횟수 증가형, 제 2유형은 손씻기 교육 필요성 인식형, 제 3유형은 손씻기 후 건조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손씻기 교육 후 태도에 대한 유형분류 의미는 간호교육과 간호실습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개별화된 중재 전략도 다르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Hand-Washing Education Volunteer

  • Kim, Yun-Jeng;Cho, Eui-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91-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교육 봉사 활동을 경험한 그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손씻기 교육 봉사에 참여한 학생은 1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11월 까지 2개월 실시하였으며, 3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주제와 10개의 하부주제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개인의 발전', '예비 간호사로서 자부심', '봉사의 의미를 알아감'등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은 손씻기 교육 봉사를 통해 봉사의 의미를 알게되었으며, 본인의 내적 성숙을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은 손씻기 교육봉사를 통해 봉사의 참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 대학생의 교육 봉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교육 봉사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학교 내 손씻기 미실천율과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for Not Washing Hands at School among Adolescents)

  • 사공효진;이유미;최은숙;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1호
    • /
    • pp.14-26
    • /
    • 2022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에서 학교에서의 손씻기 미실천율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에서의 손씻기 실천은 성별, 도시 규모, 학년, 학교 유형, 학업 성적, 경제적 상태, 집에서의 손씻기 실천, 연간 개인위생교육 경험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청소년의 학교 내 손씻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손씻기 실천 관련요인들을 고려한 지속적인 개인위생교육과 함께 손씻기를 용이하게 하는 적절한 환경과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손씻기 태도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on Handwashing Performance among Nursing Students)

  • 전재희;최은희;김진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2-14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handwash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self-efficacy, and handwashing attitud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2018. 223 students enrolled in nursing colleg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four sections: health belief in hand washing, self-efficacy, hand washing attitude, and general handwahsing characteristic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The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proper hand cleansing were perceived benefits and motivation of health belief model, handwashing time and frequency, and handwashing attitude. Out of these significant variables, perceived benefits was shown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eriodic and steady hand washing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handwashing practices of nursing students. Such handwash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content that sensitizes the benefits of hand washing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carry out hand washing in detail.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일개 병원 임상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 washing practice of a clinical nurse in a hospital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김가현;권용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32-539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 162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PSS Version 20.0, IBM, U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수행도는 모든 영역에서 평균은 3.1점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은 연령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근무연수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섯 개의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행을 위한 동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한 지속적인 병원에서의 감염관리교육과 올바른 손씻기 교육을 진행한다면 손씻기 수행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학생의 손씻기 실천과 감염병 이환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practices and infectious diseases in Korean students)

  • 장동방;이무식;홍수진;양남영;황혜정;김병희;김현수;김은영;박윤진;임고운;김영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4호
    • /
    • pp.206-22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손씻기 실천과 감기, 설사, 눈병, 식중독 등의 감염성 질환 이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손씻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교 청소년의 손씻기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 중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을 대상으로, 가구방문을 통한 방문면접과 온라인 조사를 9월 5일부터 9월 25일까지 시행하였다. 조사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손씻기 실태 및 손 씻는 방법을 독립변수로, 감기, 설사, 눈병, 식중독 등의 질병감염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카이제곱검정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중독을 제외한 감기, 설사, 눈병 등의 질병감염 경험이 학년이 높을수록 많았다. 특히, 감기 감염경험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에서, 비누와 물을 사용한 손씻기보다 물 또는 손소독제만 사용한 군에서, 손등을 씻는 군보다 손등을 안 씻는 군에서 감기 경험률이 높았다. 손씻기 실태조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손씻기 실천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이 연구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질병감염 경험률이 높고, 특히 감기감염경험의 경우 손씻기 방법이 좋은 군일수록 경험률이 낮은 것은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손씻기가 감기와 같은 감염병의 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청소년은 집단생활로 인한 감염병 질환의 위험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학교 내에서 청소년의 비누를 사용한 올바른 손씻기를 교육하고, 실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와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손씻기 교육이 간호사의 손씻기 행위와 중환자의 호흡기로의 MRSA 분리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 김남초;최경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3
    • /
    • 2002
  • Purpose: This is a clinical experimental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ensure quality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decrease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subjects included 5 nurses working at the NS ICU and 165 specimen for nasal swabs and 46 specimen for sputum cultures from 106 patients admitted to the NS ICU.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September 2000. Results: 1.The percentage of the nurses hand washing was 15.6percent but was improved to 46.5 percent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n particular, hand washing behavior was increased in situations such as after suctioning, before parenteral nutrition, and after providing hygiene care. 2. Results of nasal swab showed that MRSA isolation rate was reduced from 42.8 percent before the education to 18.6percent after the education. The sputum cultur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RSA rate was reduced from 40.7percent before the education to 34.6percent after the educ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e nurses' strict hand washing behavior and use of disposable gloves and paper towers as well as use of hand sterilization spray by visitors or families can decrease the MRSA isolation rate in the NS ICU patients. Since the NS ICU patients may have respiratory complications due to long-term hospitalization, the nurses regular hand washing is important enough to be emphasized. Future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the impact of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on the incidence of pneumonia, an iatrogenic infection.

  • PDF

배양검사를 통해 확인한 중환자실 직원의 손씻기 효과 (Hand Hygiene Effects Measured by Hand Culture in Intensive Care Unit)

  • 정재심;최정화;이순행;김양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5권2호
    • /
    • pp.21-30
    • /
    • 2003
  • The effect of hand hygiene was measured by hand culture before and after hand hygiene for 86 nurses, doctors, and nurses aide/housekeeper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The subjects were asked to press their dominant hand in hand-shaped Mannitol salt agar immediately after patient contact and then washed their hand by preferred hand hygiene agents [soap and water, waterless alcohol gel, or 4% chlorhexidine gluconate detergent (CHG)], and cultured one hand again Amount of isolated microorganism was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divided areas ($1{\times}1cm$) which is culture positive in hand culture plate.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from 58.1(${\pm}38.59$) to 27.4(${\pm}30.4$) cells after hand hygiene. The staff nurse's hand hygiene was more effective compared to medical doctors and nurses aide/housekeeper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was isolated in 41(47.1%) subjects ; but only removed 100% in 28(32.2%) subjects. When the amount of hand microorganisms was compared by subject's preferred hand hygiene agents, it was decreased in order of 4% CHG, waterless alcohol solution, soap and water, and water. The hand hygiene practice was inadequate to reduce hand microorganisms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y occupations.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nd hygiene improvement program which emphasize the quality of hand hygiene is recommended.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행위 전.후 손씻기 수행율 비교 (Rates for Handwashing Adherence Before and After Nursing Contact in Intensive Care Units)

  • 김영중;김희승;장윤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5-20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rates for handwashing adherence before and after nursing contact in intensive care units (ICU).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90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of an 800-bed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and 2000-bed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Seoul. Time for handwashing was calculated using the average number of handwashings during an 8-hour day shift. Nursing contact was based on indications as defin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2).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 t-test and ${\chi}^2$-test. Results: During an 8-hour day shift, the average number of times that hands were washed was 25.0. The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before the nursing contact than after the nursing contact when it involved sectioning, observation or contact with a wound, cleaning enteric feeding bag, physical exam, use of gloves, or contact with contaminant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s handwashing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before nursing contacts than after nursing contacts, there is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address this deficiency in handwa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