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상 크기

Search Result 81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mage Based Damage Detection Method for Composite Panel With Guided Elastic Wave Technique Part II. Damage Size Estimation Algorithm (복합재 패널에서 유도 탄성파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손상탐지 기법 개발 Part II. 손상크기 추정 알고리즘)

  • Kim, Changsik;Jeon, Yongun;Park, Jungsun;Cho, Jin 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1
    • /
    • pp.13-20
    • /
    • 2021
  • In this paper, a new algorithm is proposed to estimate the damage size by combining the reflected area with the reflected position and extracting contours in proportion to the maximum value of pixels from the visible image. The cumulative summation feature vector algorithm is used to obtain the area of the reflected signal. To get the position of the reflected signal, the signal correlation algorithm is used to decompose the reflected signal from the damage. The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and validated for composite panels. Repetitive experiments are performed and it is confirm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reproducible. Further, it is verified that the damage size can be estimated appropriately by the proposed algorithm.

Development of Self-Tuning Algorithm for Reducing Hearing Demage (청각 손실 방지를 위한 Self-Tuning 알고리즘 개발)

  • Kim, Hyun-Tae;Park, Jang-Si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4-236
    • /
    • 2009
  • 종래의 음향기기에서 소리 크기는 각 주파수별로 다른 감도를 갖는 개인의 주파수 청력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선형으로 소리 크기를 조절한다. 따라서 감도가 높은 주파수대에서 청력 손상을 일으킨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표준 청력특성, ISO266:2003 표준을 이용한 평활화 방법이 있지만, 이 표준에 따른 등청감곡선은 여러 사람에 대해 평균한 청력특성이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의해 변형된 개인별 청력특성에 맞지 않아 청력 손상을 감소시키는 실질적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사람마다 다른 최소가청한계 특성을 갖는 청각특성과 최대가청한계를 고려하여 소리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음향기기에 의한 청각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청력 특성이 좋은 대역에서 기존 방법에 비해 보다 낮은 소리 크기에서 불편없이 인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과도한 대역별 소리 에너지를 줄여 청각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ulti-Damage Detection in RC Bridges Using Differential Evolutionary Algorithm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중 손상된 RC교량의 손상평가)

  • Tak, Moon-Ho;Noh, Myung-Hyun;Park, Tae-Hyo;Jang, Han-Tea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96-299
    • /
    • 2009
  • 본 논문은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중 손상된 RC 슬라브 교량에 대한 시스템 인식(System Identification)기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여 이동하중에 의한 교량의 동적응답을 기반으로 손상유무, 위치, 크기가 추정된다. ABAQUS를 이용한 손상된 3차원 슬라브 모델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모델로부터 동적응답을 찾아내었다. 차분진화 알고리즘(Differential Evolutioinary algorithm)을 기반으로 동적응답과 Bi-variate Gaussian 함수로 강성저하된 2차원 유한요소 MZC모델을 이용하여 손상된 위치와 크기, 이동하중의 크기와 속도가 추정되었다.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RC교량의 손상위치와 이동하중에 대한 추정은 3%이내의 오차를 보였고, 이로부터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검증되었다.

  • PDF

Damage detection of a structure based on natural frequency ratio measurements (고유진동수비 측정에 기초한 구조물 손상탐지)

  • Hwang, Ho-Y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8
    • /
    • pp.726-734
    • /
    • 2007
  •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하면 구조물의 강성변화로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손상 전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하는 고유진동수가 같다고 가정하고 해석적인 방법으로 손상전후 고유진동수비를 구하여 3차원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손상이 한 부위에 존재할 경우 진동실험으로 구한 고유진동수비를 고유진동수비 그래프와 비교하여 손상의 위치, 크기 및 방향을 알 수 있었으나 여러 지점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손상을 파악하기 위해 고유진동수비 그래프 외에 주파수 응답함수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Finite Element Simulation of Elastic Waves for Detecting Damages in Underwater Steel Plates (수중 강판에 존재하는 결함탐지를 위한 탄성파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 Woo, Jin-Ho;Na, Won-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23-626
    • /
    • 2011
  • 본 연구는 수중 강판에 존재하는 결함탐지를 위한 탄성파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강판은 외부의 물로 인하여 결함의 탐지가 어렵다. 이러한 수중 강판의 결함탐지에는 잠수부가 수중 강판 표면에 비파괴 검사 장비를 활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잠수부의 경험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강판의 표면이 아닌 수중에서 탄성파를 발생시켰을 경우 수중 강판의 결함탐지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손상의 위치와 손상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응답을 알아보았다. 강판의 상하부에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손상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해석을 수행하였다. 손상이 없는 경우의 응답을 기준으로 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기계적인 손상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답을 비교하였다. 동적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NSYS/LS-DYNA를 사용하여 결함탐지 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손상의 종류에 따라 응답신호의 진폭 감소가 나타났으며 손상의 크기가 커질수록 진폭 감소가 커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The Response of the Structure with the Damage Curve (손상곡선에 의한 구조물의 거동파악)

  • Lee, Sang-Ho;Song, Hyun-Seo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9 no.1
    • /
    • pp.189-196
    • /
    • 2005
  • The effects of the impulse and the magnitude of the impulsive loads to the responses of the structure are analyzed with the safety criteria established with the peak load and impulse ratio. It is shown for the loadings with short duration that the impulse is dominant factor for the damage of the structures due to the inertial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of the load is dominant factor for the load with long duration due to the duration time long enough for the loads to overcome the inertia force. It is also shown that the peak particle velocity and the peak particle acceleration of the foundation have the same influences as the impulse and the magnitude of the loads do to the structures.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Blur Extent from a Motion Blurred Image (모션 블러된 이미지로부터 블러의 크기를 추출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

  • Hwang, Joo-Yeon;Yang, Hong-Taek;Paik, Doo-W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10
    • /
    • pp.1251-1259
    • /
    • 2007
  • Motion blurs are caused by relative motion between the camera and the scene. The blurred image needs to be restored because undesired blur effect degrades the quality of the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blur extent.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dentifies blur exte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lur and the object in the original image.

  • PDF

Nondestructive Damage Detection in PSC Beams : Frequency-Based Method Versus Mode-Shape-Based Method (고유진동수 이용 손상추정법과 모드형상 이용 손상추정법에 의한 PSC 보의 비파괴 손상검색)

  • 김정태;류연선;조현만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5 no.1
    • /
    • pp.43-58
    • /
    • 2002
  • A methodology to nondestructively locate and estimate size of damage in beam-type structures using a few natural frequencies or a few mode shapes is presented. A damage-localization algorithm to locate damage from changes in natural frequencies and a damage-sizing algorithm to estimate crack-size from natural frequency perturbation are outlined. A damage index algorithm to localize and estimate severity of damage from monitoring changes in mode shapes is outlined. The frequency-based method and the mode-shape-based method are evaluated for several damage scenarios by locating and sizing damage in PS concrete beams lot which a few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are generated from finite element models. The result of the analyses indicates that the two methods correctly localize and closely estimate the size of the crack simulated in the test beam.

A Cumulative Damage Theory of Concrete under Variable Amplitude Fatigue Loadings (변동진폭(變動振幅)의 피로하중(疲勞荷重)을 콘크리트의 누적손상이론(累積損傷理論))

  • Oh, Byung 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6 no.4
    • /
    • pp.79-88
    • /
    • 1986
  • A nonlinear cumulative damage theory, which can model the effects of the magnitude and sequence of variable amplitude fatigue loadings, is proposed. The concrete beam specimens are prepared and tested in four-point flexural loading conditions. The variable-amplitude fatigue loadings in two and three stages are considered.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indicates that the fatigue failure of concrete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magnitude and sequence of applied, variable-amplitude fatigue loadings. It is seen that the linear damage theory proposed by Palmgren and Miner is not directly applicable to the concrete under such loading cases. The sum of the cumulative damage is found to be greater than 1 when the magnitude of fatigue loading is gradually increased and less than 1 when the magnitude of fatigue loading is gradually decreased. The proposed nonlinear damage theory, which includes the effects of the magnitude and sequence of applied fatigue loadings, allows more realistic fatigue analysis of concrete structures.

  • PDF

혼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선형 구성방정식 개발 동향

  • 정규동;윤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5a
    • /
    • pp.85-93
    • /
    • 1996
  • 비선형 해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혼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선형거동중 재료비선형에 대한 거시적/미시적 현상을 설명하고, 그 주요한 원인으로서 Mullin 효과와 결합제/충전미립자 사이의 접착분리(Dewetting)를 주로 고찰하였다. 이를 응용한 지금까지의 비선형 구성방정식의 개발동향을 검토하여 비교하였으며 최근에 제시되고 있는 손상변수를 분석하였다. 여러 변형률 크기에 대한 응력이완 모듈러스 실험을 통하여 변형률 크기가 손상변수로서 적합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변형률 크기에 따라 모듈러스의 저하가 크기 때문에 비선형 점탄성 해석이 중요한 문제임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