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 중증도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2초

대구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급성 콩팥손상 환자의 진단을 위한 호중구 젤라티나제 관련 리포칼린 키트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Kit for Acute Kidney Injury Patients at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in Daegu)

  • 이승진;박상욱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9-53
    • /
    • 2016
  • 급성 심 질환 환자는 트로포닌(troponin)과 같은 생물학적 표지자(biomarker)가 등장하면서 진단과 치료에 많은 개선이 있었다. 콩팥 질환에서는 많은 치료약제 개발이 꾸준하게 진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망률이나 이환률은 별로 개선되지 않았다. 급성 콩팥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의료센터에서 측정한 NGAL의 측정치는 NGAL이 증가할수록 Creatinine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그러나, AST, ALT, BUN, Na, K, Cl 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NAGL kit와 ELISA의 민감도는 ${\geq}300$ (92.2%), ${\geq}200$ (95.6%), ${\geq}100$ (99.6%), 특이도는 ${\geq}300$ (95.1%), ${\geq}200$ (97.3%), ${\geq}100$ (99.4%)로 조사되었으며 양성예측도는 ${\geq}300$ (93.3%), ${\geq}200$ (93.4%), ${\geq}100$ (99.2%), 음성예측도는 ${\geq}300$ (96.7%), ${\geq}200$ (97.7%), ${\geq}100$ (98.1%)로 조사되었으며, 급성 콩팥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로써 조기 진단 및 예후를 예측함에 있어서 환자의 치료의 결정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다. 향후 응급의료센터에서 콩팥 질환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며,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NGAL kit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세 미만 소아의 첫 발열성 요로 감염에서 연령군에 따른 발병양상 및 영상의학적 검사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with First Febrile UTI Under 2 Years of Age)

  • 고희정;김태형;조혁;김지홍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229-238
    • /
    • 2007
  • 목 적 : 2세 미만의 요로감염 환아는 방광요관 역류의 빈도와 역류성 신염의 유병률이 높아 VCUG를 시행하여 신요로계의 기형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검사의 부작용 및 합병증으로 모든 환자에서 시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2세미만의 요로감염 환아를 6개월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임상양상과, 급성 신실질 손상의 빈도, 방광요관역류 유병률을 조사하여 연령군별 특성을 파악하고, 방광요관역류의 동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영상의학적 지표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첫 발열성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11명의 환아를 연령에 따라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의 영아군과 6개월 이상 2세 미만의 유아군으로 구별하여 발병 당시의 임상양상, 진단검사의학적 결과, 영상의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총 212명의 환아 중 영아군은 121명(57%), 유아군은 91명(43%)이었으며, 영아군에서 남아의 요로감염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고 원인균주로 E.coli의 비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DMSA 신스캔상 급성 신실질 손상은 영아군에서 50%, 유아군에서는 33%로, 영아군에서 급성 신실질손상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방광요관역류는 VCUG를 시행한 84명 중 24명(29%)에서 발견되었고, 첫 발열성 요로감염을 보였던 전체 대상 환아의 11%(211명 중 11명)에서 발견되었으며, 두 연령군 간의 의미 있는 빈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MSA 신스캔상 신실질손상이 있었던 환아에서의 방광요관역류의 빈도는 40%로 손상이 없었던 환아의 빈도 15% 보다 의미 있게 높았으며, 특히 영아군에서 DMSA상 신실질 손상유무에 따른 방광요관역류 존재 가능성이 의미 있게 높았다. 경증의 방광요관역류 환자 중 55%, 중증의 방광요관역류 환아 중 100%에서 DMSA 신스캔상 신실질손상이 관찰되어, 중증의 방광요관역류에서 신실질손상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 PDF

119로 내원한 노인교통사고 환자의 손상과 손상중증도계수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injury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in geriatric traffic accident patients transported by 119 rescue services)

  • 박유진;김병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1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jury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in geriatric traffic accident patients transported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40 traffic accident patients over 65 years old transported by 119 rescue services emergency departments in Busan from January 1, 2014 to August 31, 2015. Results: ISS increased in motorcycle traffic accidents (p=.026), truck injuries (p=.005), and head and neck injury (p<.001). Vital signs were evaluated by 119 rescue EMT. ISS increased in cases of unresponsive unconsciousness (p<.001), hypotension (p=.001), and bradycardia (p<.001). The need for bleeding control and dressing by the EMTs increased ISS significantly (p=.022). Conclusion: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geriatric traffic patients, ISS can increase in motor cycle accidents and truck injuries. Due to high ISS, patients with head and neck injury, chest injury, hypotension, or tachycardia should be transferred to advanced level hospitals.

초급성기 중증 뇌 손상 환자의 영양 상태 변화양상과 인공영양 전·후의 영양 상태에 대한 비교 (Changing Pattern and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es before and after Nasogastric Tube Feeding for the Severe Brain Injury Patients in Critical Period)

  • 박종숙;오현수;서화숙;서연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4-5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severe brain injury adult patients in critical period, and to compare the nutritional states before and after tube feeding. Methods: Data from 19 patients admitted to the SICU in a university hospital due to severe brain injury were analyzed. Nutritional states were measured by anthropometric and blood biochemical indicators. Results: MAC and MAM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at 7 days after admission compared with those on the day of admission. TS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7 days to 14 days after admission. Fat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 days to 14 days after admission. Hb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at 3 days after admission. Album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 days to 14 days after admission. However, lymphocy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4 days after admission. TSF and Albumin became significantly worse even after initiating tube feeding. Conclusions: Nutritional status of severe brain injury patients in SICU became worse after admission whichever indicators were adopted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anthropometric or blood biochemical indicators, and became worse even after initiating tube feeding.

  • PDF

신생아와 영아의 지속적 신대체 요법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Infants and Neonates)

  • 김성헌;신재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1호
    • /
    • pp.13-17
    • /
    • 2014
  • 지속적 신 대체 요법(CRRT)은 급성 신손상이 있는 중증 소아의 치료로 점차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CRRT의 기술과 실제 사용법이 발달하면서 작은 영아나 신생아에서도 그 사용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고암모니아혈증이나 체외막산소화 장치(ECMO) 치료 중에 발생한 급성 신손상 등의 경우 CRRT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으나, 혈관 접근이나 출혈 그리고 신생아 전용 CRRT device의 부재로 인한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다. 이 종설에서는 기본적인 CRRT의 원리를 알아보고 신생아와 영아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중증 뇌 손상환자를 위한 바비튜레이트 혼수요법의 표준임상지침(Critical Pathway) 개발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of Barbiturate Coma Therapy in the Management for Severe Brain Damage)

  • 김정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7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analyze prognostic factors of barbiturate coma therapy (BCT) for severe brain damage patients, to develop a critical pathway (CP)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clinical application. Method: We analyzed medical records of 76 patients who received BCT for more than three days between January 1999 to July 2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eveloped a CP and applied it to 12 people during August-December of 2005. Result: By application of BCT CP, the mortality rate decreased from 31.6% to 16.7%. It was found that the period of staying at ICU and total period of hospitalization were shortened by 2.78 (13.9%) days and 16.43 (29.4%) days, respectively. The Glasgow coma scale of the recovery group by CP application was 9.03 (4.64) at 72 hours post of BCT and 14.28 (1.82) at discharge from hospital, and DRS was 6.62 (6.38) points. Conclusion: By verifying clinical validity of the suggested CP, we believe that we have obtained visible effects standardizing the treatment pathway of BCT for brain damage patients.

전복사고에서의 탑승자 손상중증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of occupant in rollover accident)

  • 전혁진;김상철;이강현;김호중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26
    • /
    • 2014
  • Fatality of accidents on curved roads where rollover accidents are likely to take place was higher than that on straight roads. We ought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of occupant in a vehicle rollover accident.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3, we collected data about rollover motor vehicle crash accident. We surveyed occupant's injury, vehicle type, safety devices, type of rollover accident and the number of turn in accident. Of the 132 subjects, 56.1% were males, 50.8% were drivers, 48.5% fastened seat belt, and air bag deployed in 12.1%. Among injuries sustained head, chest and abdomen were major sites of severe injury(Abbreviated injury scale>2). Seat belt use, rollover type, and the number of 1/4 tur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jury Severity Score. The regression analysis herein found significance in safety belt use and the number of 1/4 turn. Seat belt us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injury severe of occupant in rollover accident.

기계 환기가 요구된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저용량 하이드로코르티손 주입의 효과 (Efficacy of Low-dose Hydrocortisone Infusion for Patients with Severe Community-acquired Pneumonia Who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 김호철;이승준;함현석;조유지;정이영;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4호
    • /
    • pp.419-425
    • /
    • 2006
  • 배경: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은 항생제의 발달과 보조요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호흡부전으로 진행되어 기계환기가 필요한 경우 사망률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최근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저용량 하이드로코르티손 주입이 사망률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기계환기가 요구된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 환자에서 하이드로코르티손 정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2005년 2월부터 7월까지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으로 기계환기를 유지한 13명의 환자(남:여=10:3, 평균 연령: $68.6{\pm}14.1$)를 대상으로 하이드로코르티손을 240mg을 부하로 정주하고 시간당 10mg을 지속적으로 7일간 주입하였다. 대조군은 연구 기간 이전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으로 기계환기를 유지하고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지 않았던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이드로코르티손 주입 전과 주입 8일째 두 군 간의 임상적, 생리적 지표의 차이와 최종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1) 하이드로코르티손 주입 전 주입군과 대조군의 나이, 성별, 내원 당시의 SAPS II, SOFA 점수, 체온, 백혈구 수, PaO2/FiO2(P/F) 비, P/F 200이하인 환자수, 흉부방사선 사진 점수, 폐손상 점수, 카테콜라민 의존성 패혈성 쇽의 빈도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하이드로코르티손 주입 8일 후 대조군에 비해 주입군이 P/F비가 100이상 호전된 환자의 비율과 흉부 방사선 점수가 호전된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61.5% vs. 15.4% p=0.016, 76.9% vs. 23.1% p<0.05). 이외 다른 임상적 및 생리적 지표들은 주입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두 군 간에 기계환기 유지기간, 중환자실 재원기간, 병원내 재원기간, 재원 10일째와 30일째의 사망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기계환기가 요구되는 중증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하이드로코르티손 정주는 산소화와 흉부 방사선 점수의 빠른 호전을 보이지만 최종 치료 성적에 대해서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원된 외상성 뇌 손상환자에서 중증도에 따른 일상적인 반복CT의 유용성 (The Utility of Routine Serial Brain Computed Tomography for Referre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raumatic Brain Injury)

  • 황정인;조진성;이승철;이정훈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134-141
    • /
    • 2009
  • Purpos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were referred from other hospitals for further management. In addition, patients routinely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examinations of the head (HCT) in the referral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trospectively the utility of routine HCT scan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BI. Methods: Patients with TBI referred to our hospital between December 2005 and July 2008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CT findings, indications for repeat HCT examinations (routine versus a neurological change), and neurosurgical interventions. The head injury severity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Glasgow Coma Scale (GCS) score, including mild, moderate, and severe TBI. The use of neurosurgical interventions between patients who underwent routine HCT scans and patients who underwent HCT scans for a neurological change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BI. Results: A total of 81 patients met the entry criteria for this study. Among these patients, 67%(n=54) of the patients underwent HCT scans on a routine basis, whereas 33%(n=27) of the patients underwent HCT scans for a neurological change. A total of 21 patients showed signs of a worsening condition on the HCT scans. Neurosurgical intervention was required for 23(28.4%) patients. For patients who underwent routine HCT examinations, no patient with mild TBI underwent a neurosurgical intervention. However, one patient with moderate TBI and three(13%) patients with severe TBI underwent neurosurgical interventions. The kappa index, the level of agreement for HCT indications of intervention and referral reasons for intervention, was 0.65 for high hierarchy hospitals and 0.06 for low hierarchy hospitals. Conclusion: Routine serial HCT examinations in the referred hospitals would be useful for patients with severe head injury and for patients from low hierarchy hospitals where no emergency physicians or neurosurgeons are available.

전북지역 거주 선천성기형 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in Seoul Metropolitan regios by Patients with Congenital Malformations Residing in Jeollabuk-do)

  • 정연자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5-283
    • /
    • 2022
  • 본 연구는 전북지역 거주 선천성기형 환자의 서울·수도권 지역 의료이용 요인을 파악하고 주민들의 의료이용에 대한 지역적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2020년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은 19-44세가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둘째, 병상규모가 클수록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셋째, 주진단의 경우 호흡기계통의 선천성기형에서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넷째, 입원환자가 수술을 시행하고 중증도가 높을수록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이용에 대한 지역적 형평성을 위해서는 정부가 주도하는 보건의료정책 및 의료계획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