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 네일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5초

식이복합영양제가 젤네일 시술에 의한 네일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tional Convergent supplement on Damaged Nails Treated by Gel Nail Procedure)

  • 권혜진;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37-443
    • /
    • 2016
  • 최근 뷰티산업 분야의 네일 아트 비중이 높아지면서 젤 네일 기술과 제품이 큰 발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젤 네일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시술로 인한 네일 손상 발생률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일 손상을 개선하고자 20~30대 여성 19명을 대상으로 젤 폴리쉬 시술 후 무 처치 실험 A군(n=6), 식이 복합 영양제를 섭취하는 실험 B군(n=6), 식이 복합 영양제와 네일 복합 영양제를 동시 적용하는 실험 C군(n=7)으로 나누어 네일의 표면 변화, 두께 변화, 손상도 분석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이 복합 영양제와 네일 복합 영양제를 동시 적용한 실험 C군의 모든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전자주사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한 표면의 형태학적 변화는 실험 B군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고, 두께 변화와 만족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식이 복합 영양제의 섭취는 손상 네일의 두께와 표면 개선에 도움이 되며, 네일 복합 영양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네일 융복합보강제의 사용실태 및 인식도 조사 (Survey on the Use and Awareness of Nail Convergent Strengtheners)

  • 김미원;백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535-542
    • /
    • 2015
  • 네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트렌드를 주도하는 네일 시술을 통한 자연 네일 손상에 대한 우려 및 네일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적으로 도출된 네일 손상을 감소시키는 네일 융복합보강제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특히 네일 미용인들의 네일 보강제에 대한 사용실태와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네일 미용을 만드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먼저 네일 미용과 네일 손상 및 네일 보강제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KSDC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KSDC 고급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보강제에 대한 주요 인식에 대한 문항에서 보강제의 특징, 효과, 사용방법, 시술순서는 대체로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분 인식의 경우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네일미용은 최근 들어서는 건강관리 차원의 실용성이 중시되고 있다. 자연네일의 건강한 유지를 위하여 본 연구가 네일보강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희망하며 보다 구체적인 네일 보강제 성분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네일 건(Nail Gun) 사고에 의해 전경부 기도 손상은 있었으나 식도 손상 없이 장 내로 유입된 못에 대한 치험 - 1예 보고 - (Treatment of a Nail in the Intestine after a Neck Injury from Accidental Firing of the Nail Gun - A case report -)

  • 양진성;신화균;이재욱;원용순;박영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75-678
    • /
    • 2008
  • 42세 남자 환자가 건축 현장에서 작업 도중 네일 건(nail gun)의 못이 목의 앞면에 발사되는 사고로 내원하였다. 처음 시행한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못은 전경부에 있었고, 점차 흉부에서 복부로 이동하였다. 전경부 기도 손상은 보였으나 식도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못은 장내에 위치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금식 및 항생제 투여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특별한 합병증 없이 치유되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긴장도, 근경직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on improvement of knee pain, isokinetic strength,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in an elite volleyball player with knee injury)

  • 왕중산;안호정;김용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26-333
    • /
    • 2016
  • 본 연구는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근력, 근긴장도, 근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자는 왼쪽 무릎관절에 연골결손과 수술경험이 있고 평소 지속적인 통증과 운동 시 통증을 호소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8월 5일부터 12월 24일이며, 왼쪽 무릎관절에 관절가동술을 1일 1회 15분씩 총 8회 적용하였다. 연구의 측정은 시각적사상척도를 이용하여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측정장비를 사용하여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뒤근육 동심성 최대회전력, 근긴장도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손상쪽에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긴장도와 근경직을 중재 전과 중재 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간 관절가동운동이 손상 쪽 무릎통증 감소, 양쪽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뒤근육 동심성 최대회전력의 증가, 손상 쪽 넙다리네갈래근의 근경직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히 손상 쪽 넙다리네갈래근의 경우 관절가동운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동심성 최대회전력이 크게 증가되어 손상 쪽과 정상 쪽 다리의 동심성 최대회전력의 차이가 크게 감소되었다. 하지만 손상 쪽 넙다리뒤근육/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비율의 개선에는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엘리트 배구선수에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경직 개선을 위해 단기간에 관절가동운동이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지만 적절한 근력비율을 위해 트레이닝을 함께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전단변형에 따른 쏘일네일의 전이길이 (Transfer Length of the Soil Nail Induced by the Shear Deformation)

  • 유민구;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61-73
    • /
    • 2018
  • 쏘일네일 보강지반에 전단변형이 발생하면 쏘일네일 주변지반에는 수동토압이 유발되고, 전단변형의 증가는 주변지반의 토압 변화와 쏘일네일의 변형 및 부재력 변화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직접전단시험기를 이용하여 쏘일네일의 수직방향으로 전단변형을 유발하면서 쏘일네일의 전단거동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전단면에서 이격된 쏘일네일의 정착부 길이(6D, 8D, 10D, 12D) 변화를 변수로 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단변형의 지속적인 증가는 그라우트의 손상을 유발함을 확인하였으며, 정착부 길이변화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된 쏘일네일의 전이길이는 0.2~0.22m로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0.1m보다 크게 증가하였으며, 전단영역은 전단면에서 0.6m까지의 범위로 확인되었다.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 특성 평가 (Evaluation of Healing Properties of Asphalt Mixtures)

  • 김부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69-76
    • /
    • 2005
  • 반복적인 교통하중은 아스팔트 포장에 손상을 누적시키는 반면, 휴식기 동안 아스팔트 혼합물에는 축적된 손상의 회복현상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손상회복 현상은 아스팔트 포장의 피로수명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간접인장시험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일단 아스팔트와 개질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총 네 가지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손상회복시험은 반복재하시험과 일련의 $M_R$시험으로 구성된다. 반복재하시험과 $M_R$ 시험 동안 회복변형 (resilient deformation)을 측정하고 응력과 변형률을 이용하여 DCSE (Dissipated Creep Strain Energy)를 구하고 이를 통해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파라메터로서 $DCSE/DCSE_{applied}$를 이용한 정규화된 손상회복속도 (normalized healing rate)를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속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은 폴리머 개질과 같은 아스팔트 바인더의 특성보다는 아스팔트 함량과 같은 혼합물의 구조적인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아세톤 농도에 따른 젤네일 리무버액이 손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l Nail Remover Liquid on Nail According to Acetone Concentrationon)

  • 김영희;리순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48-257
    • /
    • 2019
  • 본 연구는 아세톤 농도에 따른 리무버액의 젤네일 제거 정도, 손톱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100%아세톤, 5%아세톤, 0%아세톤, 아보카도 넌아세톤 4종의 리무버액으로 젤네일을 제거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손톱 변화를 관찰하였고 제거 전 후의 손톱 표면거칠기, 표면볼륨, 수분량 및 경피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젤네일 제거정도에서 100%아세톤, 아보카도 넌아세톤, 5%아세톤, 0%아세톤 순으로 젤이 제거되었고 손톱 표면거칠기에서는 5%아세톤, 0%아세톤, 아보카도 넌아세톤이, 표면볼륨에서는 0%아세톤이 젤네일 제거 전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손톱 표면수분량에서는 0%아세톤의 경우 젤네일 제거 전 후 감소가, 경피수분증발량에서는 0%아세톤의 경우 젤네일 제거 전 후 증가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5%, 0%아세톤이 젤네일을 제거하는 리무버액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손톱 손상에 영향이 제일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비아세톤계 리무버 제품 개발과 네일 미용 발전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esoscopic Network를 이용한 딥페이크 감지 기법 (Deepfake Detection with Mesoscopic Network)

  • 이혜리;양희규;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52-654
    • /
    • 2022
  •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디지털 이미지와 비디오를 만들어 내는 일이 매우 흔해졌다. 전통적인 이미지 포렌식 기술 압축 방법은 데이터를 손상시킨다는 점에서 비디오에 적용하기 부적절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과 MesoNet을 이용한 모델을 통해 참 혹은 거짓만 나타내는 기존의 결과 산출 방법에서 더 나아가 네가지의 분류 방법으로 딥페이크 감지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입수로 인한 보강토옹벽의 피해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amage of Reinforced Soil Walls due to Inflow Water)

  • 이광우;조인휘;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23-134
    • /
    • 2022
  • 1990년대 중반 이래로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보강토옹벽이 콘크리트 옹벽을 급속도로 대체하였다. 보강토옹벽의 적용이 증가하면서 피해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강토옹벽의 파손은 주로 부적절한 설계와 시공관리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보강토옹벽 상부 및 배면으로의 유입수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2개소 현장을 대상으로 피해 발생 원인을 검토하고 복구대책을 제안하였다. 일련의 현장 지반조사를 통해 손상된 보강토옹벽의 피해발생 원인과 손상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손상 범위 및 정도를 고려하여 쏘일네일링으로 보강토체를 보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Jurkat 세포주 DNA 손상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DNA Damage of Jurkat Cell Line)

  • 조윤정;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4-39
    • /
    • 2015
  • 본 연구는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생리활성의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통해 조리방법을 달리한 버섯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방호효과를 살펴보았다. Human lymphocyte에 조리방법을 달리한 3가지 버섯(느타리, 팽이, 표고)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hydrogen peroxide($H_2O_2$)로 산화적 손상을 준 후, DNA 감소 효과를 Comet assay로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3가지 버섯 모두 비조리군이 조리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리과정에 의한 페놀성 화합물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조리군 중에서 볶기와 전이 비교적 낮은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은 조리 시 첨가되었던 대두유의 가열 산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조리된 버섯은 생버섯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효과가 낮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조리법(굽기, 데치기, 볶기, 전) 중 DNA 손상 감소에 효과적인 조리법은 대두유를 사용하지 않은 굽기와 데치기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