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속성 기반 암호화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4초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허가형 블록체인 기반 민감한 센싱 데이터 공유 시스템 (Private Blockchain-based Sensitive Sensing Data Sharing System in IoT Environment)

  • 강길욱;김영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6-139
    • /
    • 2021
  • 사물인터넷 기기들의 빠른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들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센싱 데이터 중 헬스케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헬스케어 데이터는 민감한 데이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헬스케어 데이터의 공유가 이뤄질 경우, 적절한 사용자만이 헬스케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속성기반암호화를 통해 적절한 사용자만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책임추적성을 보장하는 민감한 센싱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속성기반 접근 제어 프로토콜 (Access Control Protocol for Privacy Guarantee of Patient in Emergency Environment)

  • 정윤수;한군희;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79-284
    • /
    • 2014
  • 최근 m-헬스케어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의 정보가 제 3자에게 쉽게 노출되어 악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m-헬스케어의 응급상황 환경에서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프라이버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속성 기반의 환자 접근 제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환자의 민감한 정보를 제 3자에게 노출시키지 않도록 환자의 민감한 정보를 개인 건강 정보에 포함하여 병원관계자와 환자가 생성한 랜덤수로 해쉬한 서명키로 암호화한다. 또한 제 3자로부터 환자 정보가 불법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환자와 병원관계자 사이의 동기화를 유지함으로써 개인 건강 정보의 유출을 예방한다.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위한 LFSR 곱셈기 설계 (Design of LFSR Multipliers for Public-key Cryptosystem)

  • 이진호;김현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3-4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GF(2m)상에서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구조기반의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먼저 모듈러 곱셈기와 제곱기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곱셈과 제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한다. 제안된 구조는 기약다항식으로 모든 계수가 1인 속성의 All One Polynomial 을 이용한다. 제안된 구조는 구조복잡도면에서 기존의 구조들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제안된 곱셈기는 공개키 암호의 핵심이 되는 지수기의 구현을 위한 효율적인 기본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LFSR 구조를 이용한 $AB^2$ 곱셈기 ([ $AB^2$ ] Multiplier based on LFSR Architecture)

  • 전일수;김현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7-63
    • /
    • 2005
  • Kim과 Fenn등은 LFSR 구조를 이용한 두 가지 구조의 효율적인 모듈러 AB 곱셈기를 구현하였다. 그들의 구조는 기약다항식으로 모든 계수가 1인 속성의 AOP를 이용함으로서 기존의 곱셈기들보다 효율적인 구조복잡도를 가졌다. 본 논문에서는 Kim의 곱셈기보다 효율적인 공간 복잡도를 가진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구조 기반의 모듈러 $AB^2$ 곱셈기와 모듈러 지수승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조도 Kim의 구조에서와 같이 기약다항식으로 AOP를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AB^2$ 곱셈기가 구조복잡도 면에서 Kim의 구조보다 XOR와 AND 게이트의 개수를 약 $50\%$ 정도 줄일 수 있었다. 제안한 구조는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을 위한 기본구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악성코드 포렌식을 위한 패킹 파일 탐지에 관한 연구 (Packed PE File Detection for Malware Forensics)

  • 한승원;이상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5호
    • /
    • pp.555-562
    • /
    • 2009
  • 악성코드 사고 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하게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수집하는 것이다. 기존의 조사 방법은 시그니쳐 기반의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시그니쳐 기반의 탐지는 실행파일 패킹, 암호화 등을 통해 쉽게 탐지를 회피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악성코드 조사에서 패킹을 탐지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패킹탐지는 패킹 시그니쳐 기반과 엔트로피 기반의 탐지 방법이 있다. 패킹 시그니쳐기반의 탐지는 새로운 패킹을 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엔트로피 기반의 탐지 방법은 오탐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진입점 섹션의 엔트로피 통계와 패킹의 필수적인 특징인 'write' 속성을 이용하여 패킹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패킹 PE 파일을 탐지하는 도구를 구현하고 도구의 성능을 평가한다.

GDPR에 기반한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강화 방안 (A GDPR based Approach to Enhancing Blockchain Privacy)

  • 한세진;김순태;박수용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3-3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유럽연합의 개인정보 보호 규제인 GDPR을 준수하는 새로운 블록체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블록체인 거래에 포함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을 권한에 따라 차등적으로 통제하여 불법적인 개인정보 처리를 방지하는 한편, 보유기간이 경과된 또는 임의의 합법적 삭제 요청을 받은 개인정보에 대하여 접근을 영구히 차단하여 잊혀질 권리을 보장한다. 제안 모델의 핵심 메카니즘은, 개인정보를 접근정책에 따라 속성기반암호화한 후 이를 조회자의 속성(소속, 직무 등)을 반영한 일회용 토큰으로 복호화하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기존 기술이 제3의 신뢰기관을 필요로 하였다면 제안 모델은 신뢰기관 없이 블록체인에서 선발된 다수의 노드들로 하여금 그 기능을 대체하도록 하여 신뢰기관 리스크를 개선하였고, 아울러 속성 갱신에 따른 키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복호키를 일회용 토큰으로 생성하였다는 점이다. 우리는 제안 모델을 허가형 블록체인인 패브릭의 체인코드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고, 보안성을 분석함으로써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중 인가자와 계층적 속성기반 암호화를 활용한 접근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ccess Control System with Multi-Authority and Hierarchical Attribute-Based Encryption in Cloud Environment)

  • 이진아;정준권;정성민;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8-651
    • /
    • 2013
  • 클라우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소유자가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각 개인의 데이터에 대한 저장과 관리를 책임진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 상의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보장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슈이다. 데이터 보안 문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접근제어 기술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은 접근제어의 형태가 주로 수직적이고, 데이터 접근가능 여부를 역할이라는 고정적인 값에 따라 결정하기 때문에 동적인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 HASBE(Hierarchical attribute set based encryption) 모델은 ABAC(Attribute based access control)를 통해 유연하고 탄력적인 접근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HASBE 는 인가자(Authority)와 사용자의 관계 모델이 계층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큰 조직에서 수많은 사용자들의 데이터 관리와 키 분배를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계층적인 모델에서 더 나아가서, 실제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복잡한 속성과 인가자의 관계를 고려해 다중 인가자의 개념이 더해진 모델을 제안한다.

공개키 기반 구조에서 KT Single Sign-On 설계 (Design of KT′s Single Sign-On on Public Key Infrastructure)

  • 연승호;박현규;오희수;김영헌;전병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2호
    • /
    • pp.231-239
    • /
    • 2002
  • 본 논문은 인증서를 기반으로 한 SSO(Single Sign-On)를 구현함에 있어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의 DN(Distinguished Name)과 속성(Attribute)을 지정함에 따라 다양한 응용서비스들을 수용할 수 있는 데이타 구조를 설계하였다. 조직의 인사데이타를 바탕으로 LDAP 데이터를 구축하고, 수시 변경되는 자료에 대하여는 연동에 의한 지속적인 자동수정 기능을 적용하였다. 또한 인증서 발급을 위해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CA(Certificate Authority) 서버를 적용하였으며, 인증통신을 위한 데이타 암호화는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SHTTP(Secur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을 적용하였다.

공공기관 실제 사례로 보는 랜섬웨어 탐지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ansomware Detection Methods in Actual Cases of Public Institutions)

  • 박용주;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499-510
    • /
    • 2023
  • 최근 지능적이고 고도화된 사이버 공격은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일을 이용하여 공공기관의 전산망을 공격하거나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으로 그 피해가 커지고 있다. 다양한 정보 보호시스템이 구축된 공공기관에서도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이나 정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악성코드 및 랜섬웨어 파일 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알려진 공격은 탐지가 가능하나 알려지지 않은 동적 및 암호화 공격에 대해서는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탐지 방안은 공공기관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정보보호시스템 중 악성코드 및 랜섬웨어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탐지 결과 데이터를 추출한 후 결합하여 여러 가지 속성을 도출해 내고, 머신러닝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한 속성들이 어떻게 분류되고 어떤 속성이 분류 결과와 정확도 향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서는 특정 속성이 포함된 경우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알고리즘마다 상이하지만, 특정 속성이 포함된 학습에서는 정확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추후 정보보호시스템의 랜섬웨어 파일 및 이상행위 탐지 알고리즘 제작 시 속성 선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EIS를 위한 PMI 기반의 RBAC 인증과 DB 보안 구현 (Implementation of RBAC Certification & DB Security Based on PMI for NEIS)

  • 유규두;문봉근;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7호
    • /
    • pp.981-992
    • /
    • 2004
  • 기존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보안 관리에 많으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 인증에서 PKI 인증만을 사용하여 권한에 따른 접근제어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앙 집중식 DRMS 운용과 평문화된 데이터의 사용으로 NEIS의 해킹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와 권한 인증을 위하여 새로운 교육행정정보시스템(RNEIS)을 제안한다. 첫 번째, 권한기반관리구조(PMI)의 속성인증서(AC)에 의한 접근 권한과 역할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및 접근제어(RBAC)를 제시한다. 두 번째, DB의 해킹 방지를 위하여 전자서명에 의한 DB암호화를 설계 구현하였다. 세 번째, 일방향 해쉬함수에 의한 SQL 쿼리 위변조 방지 미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