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성기반

Search Result 2,208,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Feature Selection for Case-Based Reasoning using the Order of Selection and Elimination Effects of Individual Features (개별 속성의 선택 및 제거효과 순위를 이용한 사례기반 추론의 속성 선정)

  • 이재식;이혁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8 no.2
    • /
    • pp.117-137
    • /
    • 2002
  • A CBR(Case-Based Reasoning) system solves the new problems by adapting the solutions that were used to solve the old problems. Past cases are retained in the case base, each in a specific form that is determined by features. Features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representing the case in the best way. Similar cases are retrieved by comparing the feature values and calculating the similarity scores.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CBR depends on the selected feature subsets. In this research, we measured the Selection Effect and the Elimination Effect of each feature. The Selection Effect is measured by performing the CBR with only one feature, and the Elimination Effect is measured by performing the CBR without only one feature. Based on these measurements, the feature subsets are selected. The resulting CBR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and efficiency than the CBR with all features.

  • PDF

속성기반 암호기술

  • Park, Kwang-Yong;Song, You-Jin
    • Review of KIISC
    • /
    • v.20 no.2
    • /
    • pp.85-92
    • /
    • 2010
  • 인터넷상에서 각종 민감한 데이터들이 공유 유통되어지는 가운데 외부공격자나 내부사용자의 관리 미흡으로 인해 데이터 유출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암호방식으로 본 논문에서는 ID기반 암호의 확장된 개념의 속성 기반 암호방식에 대해 검토한다. 그리고 속성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방식도 함께 검토 하였다.

Efficient Attribute Based Digital Signature that Minimizes Operations on Secure Hardware (보안 하드웨어 연산 최소화를 통한 효율적인 속성 기반 전자서명 구현)

  • Yoon, Jungjoon;Lee, Jeonghyuk;Kim, Jihye;Oh, Hyunok
    • Journal of KIISE
    • /
    • v.44 no.4
    • /
    • pp.344-351
    • /
    • 2017
  • An attribute based signature system is a cryptographic system where users produce signatures based on some predicate of attributes, using keys issued by one or more attribute authorities. If a private key is leaked during signature generation, the signature can be forged. Therefore, signing operation computations should be performed using secure hardware, which is called tamper resistant hardware in this paper. However, since tamper resistant hardware does not provide high performance, it cannot perform many operations requiring attribute based signatures in a short time frame. This paper proposes a new attribute based signature system using high performance general hardware and low performance tamper resistant hardware. The proposed signature scheme consists of two signature schemes within a existing attribute based signature scheme and a digital signature scheme. In the proposed scheme, although the attribute based signature is performed in insecure environments, the digital signature scheme using tamper resistant hardware guarantees the security of the signature scheme.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performance by 11 tim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attribute based signature scheme on a system using only tamper resistant hardware.

Prompt Tuning For Korean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프롬프트 튜닝기법을 적용한 한국어 속성기반 감정분석)

  • Bong-Su Kim;Hyun-Kyu Jeon;Seung-Ho Choi;Ji-Yoon Kim;Jung-Hoon J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0-55
    • /
    • 2023
  • 속성 기반 감정 분석은 텍스트 내에서 감정과 해당 감정이 특정 속성, 예를 들어 제품의 특성이나 서비스의 특징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하는 태스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속성 기반 감정 분석 데이터를 사용한 다중 작업-토큰 레이블링 문제에 프롬프트 튜닝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포괄적인 방법론을 소개한다. 이러한 방법론에는 토큰 레이블링 문제를 시퀀스 레이블링 문제로 일반화하기 위한 감정 표현 영역 검출 파이프라인이 포함된다. 또한 분리된 시퀀스들을 속성과 감정에 대해 분류 하기 위한 템플릿을 선정하고, 데이터셋 특성에 맞는 레이블 워드를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함으써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최종적으로, 퓨샷 세팅에서의 속성 기반 감정 분석 태스크에 대한 몇 가지 실험 결과와 분석을 제공한다. 구축된 데이터와 베이스라인 모델은 AIHUB(www.aihub.or.kr)에 공개되어 있다.

  • PDF

Attribute-Based Two-Party Key Agreement (속성 기반의 이자간 키 교환 방법)

  • Lee, Kwang-Su;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77-80
    • /
    • 2008
  • 속성 기반의 키 교환 방법은 사용자의 아이디가 다수의 속성들로 표현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정책을 만족하는 속성들을 소유한 두 사용자간에 안전한 키 교환이 가능한 방법이다. 속성 기반 키 교환은 기존의 아이디 기반 키 교환 (Identity-Based Key Agreement) 방법과 달리 키 교환을 수행할 상대방을 미리 결정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단지 키 교환을 맺고자 하는 상대 사용자가 어떠한 속성을 가지기를 지정한 정책을 지정하고 이 정책을 만족하는 임의의 사용자와 키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속성 기반 키 교환은 사용자를 자신이 수행하는 역할들의 리스트로 기술하여 접근 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 기반 접근 통제 (Role-Based Access Control)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Interoperable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Framework for Heterogeneous IoT Platforms (이기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 가능한 속성기반 접근제어 프레임워크)

  • Kang, Giluk;Koo, Jahoon;Kim, Young-Ga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219-221
    • /
    • 2022
  • 현재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활발히 개발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플랫폼들이 독자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상호운용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플랫폼마다 리소스를 표현하는 방식이 서로 불일치하여 리소스가 공유되더라도 이기종 플랫폼의 사용자는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각각의 플랫폼들이 다양한 접근제어 모델을 사용함에 따라, 이기종 플랫폼의 사용자가 리소스 접근을 요청하더라도 인증/인가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호운용성 문제는 사물인터넷의 주요 목적인 초연결성을 달성하는 데 한계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이 가능한 속성기반 접근제어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MDR(Metadata Registry)를 기반으로 속성기반 접근제어를 위한 속성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고 허가형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속성기반 접근제어를 사용하지 않는 플랫폼이라도 접근제어에 대한 상호운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속성인증기술과 PMI

  • 진승헌;최대선;조영섭;윤이중
    • Review of KIISC
    • /
    • v.10 no.4
    • /
    • pp.33-40
    • /
    • 2000
  • 공개키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는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위한 정보보호 기반구조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개키 인증서는 사용자의 신원확인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원확인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필요한 일반 응용 환경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의 권한, 지위, 임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공개키 인증서의 제한적인 기능을 확장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인증서 구조에 사용자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권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속성 인증서 기술과 속성 인증서를 발급, 저장 유통을 제어하는 기반구조인 권한관리기반구조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PMI)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A Case-Specific Feature Weighting Method in Case-Based Reasoning (사례기반 추론에서 사례별 속성 가중치 부여 방법)

  • 이재식;전용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91-398
    • /
    • 1999
  • 사례기반 추론을 포함한 Lazy Learning 방법들은 인공신경망이나 의사결정 나무와 같은 Eager Learning 방법들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상대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Lazy Learning 방법은 역시 상대적인 단점들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사례를 저장하기 위하여 많은 공간이 필요하며, 둘째로 문제해결 시점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러나 보다 심각한 문제점은 사례가 관련성이 낮은 속성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에 Lazy Learning 방법은 사례를 비교할 때에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며, 이로 인하여 분류 정확도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azy Learning 방법을 위한 속성 가중치 부여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에 발표된 대부분의 방법들이 속성 가중치의 유효 범위를 전역적으로 하는 것들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지역적 속성 가중치 부여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속성 가중치 부여 방법(CBDFW : 사례기반 동적 속성 가중치 부여)은 사례별로 속성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사례기반 추론의 원리를 속성 가중치 부여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다. CBDFW의 장점으로서 (1) 수행 방법이 간단하며, (2) 논리적인 처리 비용이 기존 방법들에 비해 낮으며, (3) 신축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용 평가 문제에 CBDFW의 적용을 시도하였고, 다른 기법들과 비교에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Attribute based Encryption (속성기반 암호화를 이용한 원격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 Song, You-Jin;Do, Jeong-Mi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9C no.1
    • /
    • pp.63-70
    • /
    • 2012
  • To ensure privacy of individual information in remote healthcare service, health data should be protected through a secure technology such as encryption scheme. Only user who delegated decryption right can access to sensitive health data and delegator needs capability for revocating access privilege. Recently, in ubiquitous environment, CP-ABTD(Ciphertext-Policy Attribute-Based Threshold Decryption with Flexible Delegation and Revocation of User Attributes) which extends CP-ABE(Ciphertext-Policy Attribute-Based Encryption) has been proposed for these requirements. In this paper, we construct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with delegation and revocation capability for attribute in CP-ABTD. Finally, we analyze collusion attack between users in our system.

Question Analysis for Constraint-based KBQA (제약기반 KBQA를 위한 질문분석)

  • Heo, Jeong;Lee, Hyung-Jik;Bae, Kyoung-Man;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665-66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제약기반 KBQA를 위한 질문분석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핵심개체와 속성에 대한 연결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세 종류의 제약정보 활용을 제안한다. 세 종류의 제약은 핵심개체에 기반한 제약, 의미정답유형에 기반한 제약, 속성단서에 기반한 제약이다. 제약을 위해서는 질문 내에서 핵심개체와 속성단서를 인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과 휴리스틱에 기반한 핵심개체와 속성단서 인식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핵심개체와 속성단서 인식 실험은 구축된 229개의 질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핵심개체와 속성단서가 모두 정확히 인식된 정확도(accuracy)가 57.21%이고, KBQA 대상질문에서는 71.08%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