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도양상

Search Result 81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lkali Gelatinization of Starches Isolated from Various Hydration Groups of Milled Rice (수화그룹별 쌀 전분의 알카리 호화)

  • Kim, Sung-Kon;Chung, Hye-Mi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29 no.1
    • /
    • pp.29-35
    • /
    • 1986
  • Viscosity development pattern, in aqueous sodium hydroxide, of rice starches isolated from various hydration groups of milled rice was investigated. The maximum viscosity and viscosity development rate of Japonica rice starches at a given alkali concentration were loswer than those of J/Indica counterparts. The difference in the viscosity development rate of starches by increment of 0.1N (0.02 meq/g) was greater in J/Indica rice starches in comparison with Japonica ones. Viscosity of rice starch was not correlated to that of rice flour and to hydration rate of milled rice.

  • PDF

Relationship between Leaf Senescence and Photosynthate Translocation during Grain filling in Barley (대맥의 등숙기간중 엽신의 노화와 동화산물의 전류와의 관계)

  • 남윤일;구본철;연규복;맹돈재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6 no.1
    • /
    • pp.34-40
    • /
    • 1991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s of leaf senescence and photosynthate translocation at post-anthesis. Seven barley varieties were observed at Suweon in 1988-89. The varietie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number of leaves survived and the rate of photosynthate transolcation with the progress of grain filling. The rate of grain filling was higher in the fast leaf sene-scencing varieties than the slow senescencing ones. There was a close coincidence between the rates of grain filling and $\^$14/c translocation into grains. Photosynthesis was higher in the fast leaf senescencing varieties at early stage of grain filling, but the reverse phenomenon was observed at the late stage of grain filling. The grain yield of fast senescencing varieties was higher than that of slow ones.

  • PDF

A Study of Seismic Wave Propagation for Tunnel Exploration (터널 탐사를 위한 탄성파 전파 양상에 관한 연구)

  • Suh, Baek-Soo;Oh, Seok-Hoon;Sohn, Kwon-I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5
    • /
    • pp.539-547
    • /
    • 2006
  • The activity of the seismic wave propagation around the cavity is investigated for the exact inversion of the crosshole tomography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inside the underground cavity. It is found that the adequate frequency range for the tunnel investigation is about 2 kHz to 5 kHz, and the grid space should be set up to 1/10 of the wavelength. The propagation of the seismic wave near the cavity may go through or detour the cavity according to the seismic velocity inside the cavity. The detouring wave propagates with the seismic velocity of mother rock in spite of the velocity of inside of the cavity. The smaller the velocity difference is between the mother rock and cavity, the more frequent penetration of the seismic wave through the cavity appears.

Study of seismic wave propagation around tunnel (터널 주위의 탄성파 전파양상에 관한 연구)

  • Suh, Baek-Su;Oh, Seok-Hoon;Shon, Kwon-Ik;Lee, Sang-Chul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291-296
    • /
    • 2006
  • The aspect of wave propagation around cavity was investigated for the exact inversion of crosshole tomography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underground cavity. We found that the adequate frequency range for the tunnel investigation was about 2kHz to 5kHz, and the grid space was set up to 1/10 length of wavelength. The propagation of the seismic wave near the cavity may go through or detour the cavity according to the seismic velocity of inside of cavity. The detouring wave propagates with the seismic velocity of mother rock in spite of the velocity of inside of cavity. The smaller the velocity difference between the mother rock and cavity, the more frequent penetration of the seismic wave through the cavity was appeared.

  • PDF

Future Warfare for Hyper Connected Era (초 연결시대의 미래전 양상)

  • Lee, Chang-In;Jung, Min-Sub;Park, Sang-Hy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3
    • /
    • pp.99-103
    • /
    • 2020
  • The warfare caused a dramatic change when new technology was introduced to the battlefield or when the technology was matured to change the concept of operation. Thus,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since the 19th century is also rapidly changing the aspect and speed of war, and the recent speed of change is making it more difficult to predict future warfare than in the past In particular,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warfare based on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because it was difficult to spread and seiz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But global human exchange, technology hijacking by internet, and developing of asymmetric skills and methods caused more complex to technology based warfare prediction. In other words,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war,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togther to predict future warfare.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ory and principles of war and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to predict the future warfare situation that the military will face.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 초기 Fe 함량이 강판의 용출속도에 미치는 영향 및 강판의 용출 메커니즘 고찰

  • Lee, Sang-Myeong;Park, J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06-106
    • /
    • 2016
  • 강의 산화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처리 강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 중 용융아연도금 강판은 뛰어난 경제성 및 도금성, 그리고 희생적 방식 특성으로 각광받고 있다. 자동차용 강판의 경우 도금 공정 이후의 표면 상태가 매우 중요하다. 도금 공정의 주된 표면 결함은 강판이 도금욕 내에서 이동 하면서 수반된 도금욕 내의 Zn-Fe-Al dross 입자에 기인한다. 도금공정 중 강판으로부터 용출된 Fe는 도금욕 내의 Zn 와 Al 과 반응하여 밀도가 높은 Bottom dross 나 밀도가 낮은 Top dross를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판으로부터 Fe의 용출속도에 미치는 도금욕 내 초기Fe 농도의 영향을 속도론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inger rotating method (FRM)'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수직 관상로 내부에 Zn-Al-Fe 시료를 장입한 알루미나 도가니를 위치시킨 후 온도를 $455^{\circ}C$로 설정하고, 지름 20mm의 Iron rod를 회전모터에 연결하여 Zn-Al-Fe 용탕에 침적한 후 회전시켰다. 실험 결과, 초기 Fe 함량과 용탕의 Fe포화 농도의 차이가 적을수록 Fe의 용출 속도는 감소하였으며 Dross 생성량 또한 적었다. 용탕 및 Iron rod 샘플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회전하는 Fe 시편으로부터 도금욕으로의 Fe 용출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용출 모델을 토대로 모델링 한 결과, 용탕 내 Fe 농도 변화양상이 모델링 data와 실험 data가 동일한 양상을 보임을 확인 하였다.

  • PDF

Study of Terminal Velocity of 2-D Elliptical Object by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2차원 타원형 물체의 유체 중 침강특성이 종단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 Jae-Y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548-553
    • /
    • 2016
  • 본 연구는 타원형 물체가 유체 중에서 침강할 때 물체의 형상과 밀도에 따른 침강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종단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복잡한 형태의 물체를 타원기둥으로 단순화하였고, 낮은 Reynolds 수(=0.5~100)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침강형태가 종단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수치해석 검증을 통해 정확하고 효율적인 격자 크기를 결정하였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단순히 종단속도의 변화를 본 것이 아니라 진동하지 않은 물체의 이론적 속도와 비교하여 이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장단축비에 따라 물체의 침강특성이 크게 변하였고 그 경향은 밀도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각의 진동에 대한 진폭과 진동수가 물체의 침강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고 그 원인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 PDF

Cu 나노콜로이드 스핀코팅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의 색 구현

  • Yun, Hoe-Jin;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70.2-370.2
    • /
    • 2016
  • 투명 박막 태양전지는 건물과 일체화 된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s (BIPV) 시스템에 적용되어 건물의 외장재로서 외관의 심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현재 BIPV 모듈은 glass 타입의 형태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1], 건물의 외부 미관을 고려하여 투명 박막 태양전지에 색을 구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투명 박막 태양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핀코팅을 이용하여 표면 플라즈몬 효과가 큰 Cu 나노입자를 Si 웨이퍼와 유리기판 위에 각각 분포 시킨 후,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스핀코팅의 속도(rpm)를 다양하게 변화 시킨 후 나노 입자의 분포를 관찰하였으며, 속도가 증가할수록 나노입자의 수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 사이의 거리는 멀어졌으며, 최저 속도 100 rpm에 비해 4000 rpm에서 스핀코팅 한 입자들은 응집이 상대적으로 되지 않았음을 관찰하였다. 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가 기판 위에 적게 잔재하기 때문에 반사율과 투과율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증가하였으며, 유리 기판에 구현한 색깔이 점차 옅어짐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스핀코팅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나노입자의 분포 양상과 이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유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