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화율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35초

육성돈 사료내 건조 맥주박의 첨가수준에 따른 옥수수-대두박 대체급여가 생산성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evel of brewer's dried grain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 유종상;김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64-568
    • /
    • 2008
  • 본 시험은 육성돈 사료내 건조 맥주박의 급여가 생산성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원 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육성돈 48두를 공시하여 42일간 실시하였으며 개시 체중은 19.3 kg 이었다. 시험설계는 1) CON (basal diet), 2) BDG5 (basal diet + 5 % brewer's dried grain) 및 3) BDG10(basal diet + 10% brewer's dried grain)로 3처리로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마리씩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건조 맥주박의 급여가 육성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 중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 BDG5 처리구가 CON과 BDG10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BDG10 처리구가 CON과 BDG5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BDG5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BDG5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육성돈 사료내 건조 맥주박의 급여는 성장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내 송이의 첨가가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넙치 치어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 및 단백질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coria on Growth and Protein Digestibility in Juvenil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고경용;임세진;김성삼;오대한;이경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3-138
    • /
    • 2008
  •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넙치 P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사료 내 송이(Scoria)의 첨가에 따른 사육효과 및 단백질 소화율을 알아보기 위해 2가지 실험이 수행되었다. 돌돔(초기평균무게: 7.6 g)을 대상으로 한 1차 사양실험에서는 사료 내 송이함량을 0%(Con), 1%와 2%를 첨가하여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9주간의 성장실험 결과, 송이 2%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송이 1%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소화율 측정 결과에서는 45.0%(Con), 60.6%(송이 1%), 64.0%(송이 2%)로 송이가 첨가된 실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단백질 소화율을 나타내었다. 넙치를 대상으로 한 2차 실험은 1차 사양실험에서 확인되어진 증가된 단백질 소화율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사료는 송이 0%(Con), 1%, 2%, 3%, 4%로 조성되었다. 2차 실험의 단백질 소화율 결과에서는 사료 내 송이를 1%(56.7%), 2%(65.5%), 3%(52.8%) 첨가한 실험구에서 대조구(43.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이 보였다. 반면 송이 4%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단백질 소화율의 값이 41.4%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2차 사양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해산어 배합사료 내 송이의 첨가는 사료 내 단백질 소화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그 첨가함량은 $2{\sim}3%$ 내외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단백질(蛋白質) 분해효소(分解酵素) 첨가시(添加時) 우육(牛肉)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VI. Papain처리(處理)가 우육(牛肉)의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Aging of Beef at Adding the Proteolytic Enzyme -VI. Effects of Papain Treatment on the Enzymatic Digestibility of Beef-)

  • 윤정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4-397
    • /
    • 1978
  • 한우(韓牛)의 round muscle에 papain으로 일차(一次) 분해(分解)시킨 후 pepsin에 의한 in vitro소화율(消化率)과 소화과정중(消化過程中) 생성(生成)되는 amino 태(態)-N의 경분적(經分的)인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효소처리구(酵素處理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소화율(消化率)도 높았으며 소화시간(消化時間)도 단축되었다. 2. 효소처리구(酵素處理區)는 소화과정중(消化過程中) $6{\sim}10$분간(分間)사이에 소화율(消化率)이 현저하게 증가(增加)하였다. 3. amino태(態)-N는 소화율(消化率)과 소화시간(消化時間)에 거의 비슷하게 증가(增加)하였다. 4.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효소처리구(酵素處理區)가 amino태(態)-N 생성량(生成量)이 현저하게 높았으며$2{\sim}8$시간(時間)사이에서 그 증가율(增加率)이 가장 높았다.

  • PDF

육류단백질(肉類蛋白質)의 소화(消化)에 미치는 조리조건(調理條件)의 영향(影響) <식용우육(食用牛肉)과 오징어육(肉)의 소화흡수율(消化吸收率)> (Effect of Cooking Condition on the Enzymatic Digestibility of Meat Protein )

  • 최흥민;신광순;윤정의;이부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0-74
    • /
    • 1974
  • 한우(韓牛)의 round muscle과 오징어 근육(筋肉)을 여러 가지 조리조건(調理條件)으로 처리(處理)하여 pepsin에 의한 in vitro 소화율(消化率)과 소화과정중(消化過程中)의 amino태(態) N, 유기용매(有機溶媒) 처리(處理)가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AOAC에 의한 semi-micro Kjeldahl법(法)으로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소화율(消化率)은 우육(牛肉)에서 autoclaving, frying, raw, freezing, roasting, boiling, dry heating의 순서이며 오징어육(肉)에서는 raw, autoclaving, boiling, freezing, frying, dry heating, roasting의 순서로 높았다. 2. Amino태(態) N는 우육(牛肉), 오징어육(肉) 공(共)히 소화율(消化率)이 높은 순서로 비례해서 증가(增加)한다. 3. 우육(牛肉)과 오징어육(肉)의 raw condition에서 ether처리(處理)가 소화율(消化率)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PDF

육계에서 옥수수 주정박의 아미노산 소화율 조사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Corn Distillers Dries Grains with Solubles in Broiler Chickens)

  • 황보종;홍의철;나재천;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7-303
    • /
    • 2012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의 첨가가 소화 부위별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Ross종 육계 수컷 24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P 19%, ME 3,150 kcal/kg)를 기초 사료로 하였으며, 주정박을 6%와 12% 첨가한 사료를 시험사료로 하였다. 시험 설계는 사료 내에 주정박을 첨가시킨 양에 따른 3처리구(처리구당 8수)로 나누고, 소화물 채취 부위에 따른 4처리구로 나누어 $3{\times}4$의 복합 요인으로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소화율 측정을 위한 시료 수집 부위는 공장의 말단부(DJ, the distal end of the jejunum), 회장의 중부(MI, the middle part of the ileum), 회장의 말단부(DI, the distal end of the ileum) 및 직장의 말단부(DR, the distal end of the rectum)로 하였다. 주정박 첨가 수준과 채취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시험의 진정 소화율은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CDDGS 첨가 수준에 따른 소화율은 필수 아미노산 중 lys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비필수 아미노산에서는 glyc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DDGS는 lysine과 glysine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소화율을 보여 부존 자원으로서 가금 사료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수산식품 단백질 품질평가를 위한 새로운 모델 설정 2. 해산 갑각류의 C-PER 및 DC-PER (Predicting the Nutritional Value of Seafood Proteins as Measured by Newer In Vitro Model 2. C-PER and DC-PER of Marine Crustacea)

  • 류홍수;이근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9-226
    • /
    • 1986
  • 수산식품단백질의 정확한 품질평가를 위한 새로운 실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전보(Ryu등, 1985)에 이어 6종의 해산 갑각류를 선정하여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four-enzyme digestion technique 및 C-PER assay를 사용하여 이의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이들 technique의 갑각류 단백질에 적용 여부 및 선택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시료로 사용된 해산 갑각류는 조단백질이 $85\%$ 이상(건물중량)으로 고급의 단백질원이었으며 이에 조지방 및 조회분을 합하면 $95\%$를 상회하여 이들 세 성분이 주성분이었다. In vitro소화율은 새우류의 경우 $83{\sim}86\%$이었고 어체가 작을 수록 소화율은 높은 반면 trypsin 비소화성물질은 적었다. 생 꽃게육의 소화율은 $80\%$ 정도인 반면, 자숙한 붉은 대게류의 소화율은 $86\%$ 이상으로 자숙에 의한 소화율 증가를 보였고, 부위별로는 집게육의 소화율이 높았다. 일반적으로 생 갑각류의 in vitro 소화율이 낮은 것은 선도저하에 의한 육의 pH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새우류 및 게류의 lysinc 함량은 표준 ANRC casein보다 높았으나 다른 필수 아미노산인 Trp, Cys, Met 등은 약간 낮았고 특히 Val, Tyr, Phe 등의 함량은 $50\%$ 정도에 불과하였다. 전반적인 해산 갑각류의 C-PER과 DC-PER은 $2.1{\sim}2.4$정도로 표준단백질 및 다른 어류단백질의 C-PER 및 DC-PER보다 낮았으나 예측소화율은 모두 $90\%$ 이상을 상회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C-PER이 낮은 육단백질의 DC-PER은 훨씬 높다는 일반적인 경향과 상이한 결과를 보여 해산 갑각류 단백질 품질평가시, 소화율은 예측소화율(predicted digestibility) 측정법으로 단백효율비는 보다 정확한 in vitro 소화율 측정법의 개발을 전제로 C-PER technique를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 같으며, 보다 정확한 in vitro 소화율 측정에는 선도에 따른 최초의pH,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및 TIS 함량 등이 고려된 새로운 model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xpanding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계란 품질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panding Feed Processing Technologies on Egg Characteristic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 유종상;채수진;박송이;장해동;석호봉;김인호;김용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7-131
    • /
    • 2006
  • 본 시험은 expanding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9주령 Hy-line Brown 270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1) MS(mash), 2) EC(expanded crumble) 및 3) EP( expanded pellet) 으로 3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처리 당 15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은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난중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난각 강도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지만(p<0.05), 난각 두께는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난황색은 EC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 계수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Haugh uint에 있어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변화량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칼슘, 인 소화율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소화율을 개선시켰다(p<0.05). 본 연구 결과는 2차적인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에 서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하였다.

돼지 사료내 황기와 건조양파분의 첨가가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Astragalus Membranaces and Dried-Onion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Pig Diets)

  • 손경승;홍종욱;권오석;민병준;조진호;진영걸;김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73-278
    • /
    • 2004
  • 본 연구는 자돈 및 비육돈에 있어 황기 및 건조앙파분 혼합물(AO ; Astragalus Membranaces and dried-onion meal complex)을 급여하였을 때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돈은 개시시 체중 11.44±0.13㎏ 3원 교잡종 자돈 60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basal diet), 기초사료에 AO를 0.2% 첨가한 구(AO 0.2), 0.4%(AO 0.4) 및 0.6%(AO 0.6)로 구성하였다. 사양시험기간동안 AO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일당증체량(Linear effect, p=0.01) 및 일당사료섭취량(Linear effect, p=0.05)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AO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Linear effect, p=0.01)및 질소(Linear effect, P=0.01)소화율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성돈은 개시시 체중 37.97±0.54㎏ 3원 교잡종 육성돈 30두를 공시하였다.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의 성장율이 20%(728 vs 871 g/day) 향상되었으며(P<0.05),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가 각각 15%(1896 vs 2183 g/day), 5%(0.38 vs 0.40)더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약제 처리구의 건물 및 질소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자돈 및 육성돈 사료내에 AO를 급여하면 성장능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도시하수슬러지의 호기성 소화시 영양염류 용출에 관한 연구 (Nutrient Release during the Aerobic and Alternant Aerobic Sludge Digestion)

  • 박종안;김성홍;허준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2-87
    • /
    • 2000
  • 생물학적 슬러지를 대상으로 간헐포기 소화와 호기성 소화의 회분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물학적 슬러지의 간헐포기 및 호기성 소화 초기단계에서 미생물의 감량은 주로 내생 호흡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질소는 곧바로 용출되지 않고 슬러지내에 잔존함으로서 슬러지의 질소함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소화후반에서는 최초의 질소함량수준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34일간의 회분식 소화에서 호기성 소화의 총질소 제거효율은 0.1%로서 거의 제거가 안된 반면, 포기 비율 0.25, 05 및 0.75인 간헐포기 소화에서는 각각 42.7%, 42.5% 및 17.6%로 나타나 간헐포기 소화가 호기성 소화보다 질소 제거측면에서 우수하였다. VSS의 감소에 따라 슬러지내의 인도 수중으로 용출하였으나, 인 용출율은 VSS 감소율 보다 훨씬 낮았고 그 결과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호기성 소화와 간헐포기 소화는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이 증가하는 공정이므로 반송수의 인 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는 하수의 영양염류 제거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손장호;이상진;최철환;나재천;이덕수;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9-110
    • /
    • 2004
  • 참옻나무 추출액이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미생물 변화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일령 육계(Ross) 960수를 공시하여 평사에서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은 추출액 급여구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역시 차이가 없었다. 장내미생물 변화에서 맹장내 유산균, E. coli 및 Salmonella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추출액 첨가구가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