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행성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심우주 탐사선과 통신을 위한 심우주 통신 프로토콜 분석 (A Study of Deep Space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Spacecraft on Deep Space)

  • 구철회;류동영;주광혁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1호
    • /
    • pp.120-128
    • /
    • 2014
  • 우주 탐사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이제 태양계 바깥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0년대 전후의 우주 탐사 무대는 달에서 벗어나 주로 화성, 금성, 그리고 소행성(Asteroids)이 되고 있다. 우주선이 지구에서 멀어 질수록 여러 가지 기술적인 도전을 받고 있는데 통신 프로토콜이 대표적인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심우주 탐사선과 통신을 위해서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 기술을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이는 2017년에 한국으로는 최초로 발사되는 시험용 달 궤도선 개발에 중요한 참고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Case Study on Solar System Objects using Mid-IR Spectrometer

  • Seo, Haingja;Kim, Eojin;Kim, Joo Hyeon;Lee, Joo Hee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97.1-97.1
    • /
    • 2013
  • 적외선 분광 관측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태양계 천체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강력한 관측 기술이다. 특히 근적외선 및 중적외선 분광선은 태양계 천체의 지표 및 대기의 성질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주는 파장대이다. 따라서 우주탐사선 뿐만 아니라 지상 망원경으로도 근적외선 및 중적외선 영역의 분광관측은 지속적으로 관측이 수행되고 있는 영역이다. 이렇게 획득된 분광선은 모델링의 과정을 통하여 천체의 구성성분, 생성 과정 및 생성 시기, 물리, 화학적 진화 등을 연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 중인 3~5 micron 중적외선 분광기 지상모델은 향후 태양계 천체들에서 물 또는 얼음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파장대이며, 또한 국내에서 개발된 적이 없는 파장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탐사선에 탑재된 중적외선 분광기에 의해 관측된 지표를 가진 태양계 천체 (수성, 금성, 화성, 타이탄, 혜성, 소행성)들의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 자료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중적외선 분광기 지상모델의 완성 단계에서 지표를 가진 태양계 천체, 특히 달에 대한 과학적 임무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PDF

가평지역에서 발견된 철운석에 대한 암석학적, 광물학적 기재 및 예비분류

  • 안인수;김태경;최변각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5
    • /
    • 2006
  • 최근 경기도 가평지역에서 새로운 철운석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에 낙하(fall) 또는 발견(find)된 운석 중 다섯 번째 기록이다. 가평운석(가칭)은 북위 $37^{\circ}52'08'$, 동경$127^{\circ}27'54'$, 고도 147m 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운석의 분류상 철운석에 속한다. 가평운석의 표면은 지표상에서 풍화를 받은 흔적이 나타나나, 내부는 비드만스태튼 무늬(Widmanstatten pattern)와 같은 철운석의 특징이 잘 보존되어 있다. 가평운석의 암석학적, 광물학적 기재와 분류를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및 전자 현미분석기(electron probe micro-analyzer)를 이용했다. 풍화의 산물인 철산화물이 나타나는 최외각부를 제외하면 가평 운석은 거의 순수한 철-니켈 금속광물(Fe-Ni metal)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니켈 함량이 적은 카마사이트(kamacite)가 대부분이며 소량의 태나이트(taenite)가 산출되어 비드만스태튼 무늬를 구성한다. 비드만스태튼 무늬의 특징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가평운석은 중립질 또는 조립질 옥타헤드라이트(octahedrite)에 속한다. 철운석은 화학적으로 열 개 이상의 하부그룹으로 세분되며, 가평운석의 정확한 하부그룹으로의 분류는 친철원소에 대한 미량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가평운석의 냉각률은 $^{\sim}1^{\circ}C/Ma$이하로 나타나며, 이는 가평운석이 천천히 냉각된 비교적 규모가 큰 소행성의 핵에서 유래했음을 지시한다.

  • PDF

보현산 천문대 소행성 관측 연구 (KEEP-North : Kirkwood Excitation and Exile Patrol of the Northern Sky)

  • Kim, Myung-Jin;Choi, Young-Jun;Moon, Hong-Kyu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61.3-62
    • /
    • 2016
  • An asteroid family is a group of asteroidal objects in the proper orbital element space (a, e, and i),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disruption of a large parent body through a catastrophic collision. Family members usually have similar surface properties such as spectral taxonomy types, colors, and visible geometric albedo with a same dynamical age. Therefore an asteroid family could be called as a natural Solar System laboratory and is also regarded as a powerful tool to investigate space weathering and non-gravitational phenomena such as the Yarkovsky/YORP effects. We carry out time series photometric observations for a number of asteroid families to obtain thei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izes, shapes, rotational periods, spin axes, colors, and H-G parameters based on nearly round-the-clock observations, using several 0.5-2 meter class telescop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BOAO 1.8 m, LOAO 1.0 m, SOAO 0.6 m facilities in KASI, McDonald Observatory 2.1 m instrument, NARIT 2.4 m and TUG 1.0 m telescopes. This study is expected to find, for the first time, some important clues on the collisional history in our Solar System and the mechanisms where the family members are being transported from the resonance regions in the Main-belt to the near Earth space.

  • PDF

정지궤도위성 발사위치와 궤도투입에 관한 고찰 (Geostationary Satellite Launch Site and Orbit Injection)

  • 김동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3
    • /
    • 2024
  • 누리호의 성공과 차세대 우주발사체의 개발 목표를 통하여 국내 정지궤도위성 발사능력은 1톤에서 3.7톤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며 화성, 소행성 등의 우주탐사에도 1톤 이상의 실질적인 능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고흥 우주발사장은 태양 동기궤도 소형위성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타국의 영공을 침범하지 않아야 된다는 필수적인 전제조건으로 인하여 정지궤도위성 발사장으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존재한다. 초기 궤도 투입상태로부터 궤도면 회전을 위한 에너지의 증가가 필수적이며 운용 측면에서의 복잡성과 함께 경제성의 감소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차세대 우주발사체의 개발과 병행하여 지구 적도부근의 해외 지상발사장 또는 해상발사지점의 획득과 최적화된 정지궤도위성 투입에 관한 궤도 구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우주위험 대비를 위한 R&D 대응전략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R&D Response Strategy to prepare Hazardous Space Situation)

  • 김시은;조성기;최은정;홍정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5-32
    • /
    • 2016
  • 기술의 개발은 인류의 활동영역을 넓히고, 기존에 대응하지 못했던 재난 상황에의 대응을 가능케 한다. 한편, 인류의 우주개발 활동은 새로운 종류의 재난인 우주물체에 의한 위험을 인식하게 하였다. 지난 '13년 러시아 첼야빈스크에 추락하여 1천 5백여 명의 인명피해를 낸 소행성처럼 과거에는 혜성 등 자연우주물체만이 위험요소에 해당하였다면, 오늘날에는 '87년 구소련의 원자력 핵전지 탑재 위성 추락, '12년 러시아의 포보스-그룬트 위성 추락 등 인공우주물체의 추락마저도 인류가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위험요인이 된 것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국가차원의 대비책을 마련하고자 '14년에 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을 확정하여 우주위험 예 경보 및 감시 분석 능력 등에 대한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위험을 대비하기 위해 개발해야 하는 기술의 중요성 및 시급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근거로 우주위험감시기술개발 추진을 위한 정책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계 인터넷이 심우주 탐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solar system internet to deep space exploration)

  • 구철회;김창균;류동영;최기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0-246
    • /
    • 2016
  • 근래 우주 과학 및 연구의 가장 뜨거운 뉴스 또는 성과는 2013년 NASA의 화성 로버인 Curiosity, 2013년 중국의 달 착륙선/로버인 Chang'e 3 호, 2014년 ESA의 67P/Churyumov-Gerasimenko 소행성 탐사선 Rosetta, 그리고 2015년 NASA의 명왕성 탐사선 New Horizons 일 것이다. 이와 같은 장거리 심우주 탐사가 현 기술로 가능하다는 것에 매우 고무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런 놀라운 심우주 항행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심우주 데이터 통신 기술 영역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었다. 이 영역은 큰 변화를 현재까지 거부해 왔으나 최근 들어 지상의 우수한 통신 기술들을 심우주 탐사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중에 하나가 본 논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태양계 인터넷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 심우주 탐사에 태양계 인터넷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향후 30년의 장기적 관점으로 한국과 일본의 미래 지질자원기술 분석 (Analysis of Future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Technologies in Korea and Japan over the Next 30 Years)

  • 안은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5호
    • /
    • pp.415-422
    • /
    • 2017
  •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지능정보사회의 미래트렌드에 주목하여 2040~2050년 지질자원기술 관련 분야를 예측할 수 있는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질자원기술 관련 분야로 지질환경 재해 기술과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지질환경 재해 분야 미래기술은 기반지질, 지구물리학적 지질재해, 기상조정 $CO_2$ 저감, 환경재해(방사성 폐기물 처분 포함), 스마트에코시티(자급자족 도시)로 제시된다.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 미래기술은 핵융합 발전이 2050년 정도에 실현되며, 2040년 정도에는 소행성 등 우주자원 개발 및 우주유인기지 구축이 실현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2040년에는 신재료 신자원기술이 적용되어 기존의 에너지자원과 광물자원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능정보사회 관점을 대대적으로 도입하여, 지질자원 분야 관련 분야에서도 새로운 관점의 기술들을 제시하고 있다.

스테인리스강관을 이용한 감람석 합성 (Olivine Synthesis Using Stainless Steel Tube)

  • 정기영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4호
    • /
    • pp.337-343
    • /
    • 2023
  • 감람석은 철감람석과 마그네슘감람석의 완전고용체로서 암석형 행성, 운석, 소행성, 행성간 먼지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감람석은 조성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감람석 함유 시료의 광물정량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성의 감람석 표준물질을 구비해야 한다. 감람석 표준물질을 전기로와 스테인리스강관을 이용하여 1000~1100 ℃ 범위의 온도에서 합성하였다. 엑스선회절분석에 의하면 시료에 따라 합성불순물과 미반응물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전조성 범위를 포함하는 감람석이 합성되었다. 합성 감람석들은 출발물질의 철감람석 몰비에 비례하여 단위포 치수가 선형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절강도도 자연산 감람석과 부합하였다. 그러나 철 함량이 높은 합성 감람석에서 불순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아직 모든 합성 감람석을 표준물질로 사용할 수 없으며, 출발물질의 고순도화, 반응시간 및 온도 조절 등의 합성과정 개선이 필요하다.

누출차단과 식별을 위한 다큐먼트 보안 디자인

  • 장덕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24
    • /
    • 2003
  • 최근, 기업은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업무 효율성 극대화가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필요로 한다고 인식하고, 이를 위한 해결책이 조직원간 정보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식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지식경영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디지털 문서들은 복사 및 전달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업무 효율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기밀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보안 정책을 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기업들의 초창기 정보화 과정에서는 네트웍 보안에 치중하여 대다수의 기업 내부 정보 유출 사레가 내부자의 소행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업무의 효율성이라는 측면과 기업 내부 정보 보안을 위한 보안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누출차단과 식별을 위한 다큐먼트 보안을 디자인함으로써, 디지털 정보보안 체계 확립과 더불어, 디지털 정보자산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발생할 수 도 있는 디지털 정보자산의 불법유출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기업/기관의 노하우 및 정보자산을 안정적인 보호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