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하

Search Result 56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Evaluation of Small Scaled Stream Naturalness for Stream Channel Restoration (소하천 환경조성사업의 평가를 위한 소하천자연도 평가)

  • Ahn, Tae-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5
    • /
    • pp.359-369
    • /
    • 2007
  •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ethod for riverine naturalness proposed previously by other researcher has been modified to assess stream naturalness of small scaled streams. Two evaluation items have been added to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 That is, the modified method for evaluating naturalness of small scaled streams contains 16 evaluation items with two categories - river morphology and river environments. The three evaluation items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stream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To prepare evaluation index for channel configuration of small scaled stream, 55 small scaled streams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sinuosity, wavelength, etc. It has been shown that the values of sinuosity are around 1.2 and one wavelength appears approximately every 500 m in the sample streams. An equation implied diversity for width of normal flow has been proposed to add the evaluation index for diversity of channel width. The every 500 m 1,000 m along small scaled stream is also recommended through the investigation as the interval of evaluation unit. The modified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DangWang stream to estimate the effect of stream rectification project. It ha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would appropriately reflect channel morphology and environments before and after the rectification project.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 수리특성분석)

  • Yeon, Gyu-Bang;Kim, Y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44-448
    • /
    • 2005
  • 자연형 이동소하천 시범사업은 축제공, 배수공, 구조물공, 조경공 등의 공종과 자연석 쌓기, 식생축조블록, 그린리버(환경)블록, 스톤넷, 친환경 돌망태, 식생매트, 환경블록 H형, 반딧불 블록, 지오그린셀, 자연석 3단쌓기 호안 등 9개의 다양한 호안공법이 적용되어 2003년 5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03년 12월에 준공하였다. 본 자연형 이동소하천 정비시범사업에서는 공사 전$\cdot$$\cdot$후에 "수질, 유량, 홍수량 측정 및 수리분석 그리고 생태계, 하천수리"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중에서 유역 내 2004년의 홍수로 인하여 발생한 세굴$\cdot$퇴적 등의 하상변동과 하천형태의 변화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2003년도에 시공되어 설치 완료된 9개의 호안 공법의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소하천 특성을 고려한 올바른 하천정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용하고자 하는 공법들에 대한 치수 안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양한 자연형 소하천 정비실적 및 적용사례가 부족한 국내의 실정을 고려할 때 국내 소하천 특성에 적합한 치수 안전성을 갖추면서 소하천의 환경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하천 정비공법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수리$\cdot$수문자료의 축적을 위한 연구와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PDF

A Small Watershed Monitering Project for TMDL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

  • Kim, Gyeong-Hoon;Cho, Chang-Dae;Park, Jung-Ja;Yoon, Jong-Su;Lee, Jae-Woon;Lee, Jae-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3-117
    • /
    • 2011
  • "환경과 개발"을 함께 고려하는 지속 가능한 유역관리제도 정착을 위해 도입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TMDL)가 총 8년(1차: 2004~2010년, 2차: 2011~201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또한 이 제도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낙동강수계 총 41개 단위유역별 모니터링 사업(유량 및 수질조사)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단위유역 내 지자체간 오염배출부하 기여도 분석을 위해 각 소하천들 중 주요 시 군 경계 소하천 유역 46개 지점을 선정하여 신규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을 2010년 9월부터 수행하고 있다.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의 목적은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내 시 군 경계 지점에 대하여 모니터링(유량 및 수질)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소유역내 유량/수질의 변화추세를 파악하고 오염총량관리제 기본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평가 등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및 활용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에 낙동강수계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에서 수행된 소유역 분석결과 및 유량/수질 측정성과에 대한 평가 및 소하천별 수질오염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vetment Technique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 호안공법)

  • Yeon, Gyu Bang;Kim, Ya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434-438
    • /
    • 2004
  • 본 연구는 소하천의 유형별, 지역별 자연형 하천공법의 파악 및 시범사업의 적용${\cdot}$평가를 통하여 소하천 특성에 적합한 치수구조와 안정성을 갖추면서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고, 친수성과 경관 등 소하천의 환경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공사시행의 설계도서작성과 사전예측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파업내상 이동소하천은 산지지형을 이루고 있는 동쪽의 해발 543m의 칠보산을 중심으로 발원하여 평야지인 서쪽으로 유하하여 금강수계의 보강천 지류인 문방천을 본류로 합류된다. 본 파업의 시점은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이고 종점은 청안면 효근리로서 사업구간은 2.49m 이다. 이동소하천 시범사업은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와 괴산군의 주관 하에 2002넌 3월부터 수 차례의 자문과 현장답사를 시행하고 시범사업 위치를 선정하였다. 이동소하천 시범사업의 호안공사는 자연석 쌓기, 식생축조블록, 그린리버블록, 그린환경블록, 스톤넷, 지오그린셀, 친환경 돌망태, 환경블록, 반딧불 블록, 자연식생매트 등 11개의 다양한 공법이 적용되어 2003년 5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03년 12월에 준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소하천 시범사업의 여러 공종 중에서 이동소하천의 하천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자연형 소하천 시범사업 공사에 선정되어 시공된 각종 호안공법을 비교 검토한 것이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Improvement Priority in a Small River Using GRID Analysis Technology of GSIS (GSIS의 그리드 분석 기법에 의한 소하천 정비 우선순위 결정)

  • 양인태;최영재;오명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8 no.3
    • /
    • pp.233-240
    • /
    • 2000
  • A small rivers take advantage of not only a site of superb scenic beauty, a play space, a rest place but also a momentous waters reservoir, a drainage on territory residents. Likewise, part of the most massed a life space to a region dwellers shall be extremely in harmony with coexistence space in that every kind plant, animal over again a human being and so on. For improvement planning of small river, various way and model are presented. But, it's want of ability for small rivers of a adaption many-side and throwing in a lot of financial resources. Because the improvement planning of small river was designed all small river in a county, the priority must be preprocessed. Now, the counties prioritized for improvement planning of small river are a few, and acquisition and manipulation of the data are time-consum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SIS) is specifically designed to manage and analyze spatial data. It will be to offer the benefit to the determination of the improvement priority in a small r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iority for improvement planning of small river using GSIS. For this purpose, it was developed using Arc/Info software and AML was used as a developing tool.

  • PDF

Developement of Restoration Path Tracking Model for Urban Stream (도시하천 복원경로 추적모형 개발)

  • Lim, Yong-Ho;Eom, Jeong-Seob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5-110
    • /
    • 2007
  • 도시가 성장하면서 도시내의 소하천은 복개되거나 사라져 다른 용도로 토지가 이용되어 도시내의 수공간 부족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도시의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면서 기존에 복개되었던 하천을 복원하려는 사업이 많이 진행이 되고 있으나 도시화과정에서 사라진 소하천을 복원하는 사례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도시화 과정에서 사라진 도시내 소하천을 추적하고 이를 복원할 때 현실적으로 가장 적절한 경로를 찾을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GIS기법으로 사라진 하천의 경로추적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1:1,000 수치지도상의 고도 Point자료를 이용하여 DEM을 만들고 GIS의 공간분석기능으로 사라진 도시내 소하천을 추적하고 그 결과를 고문헌에 의한 구하도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DEM으로부터 추출된 하천의 경로가 고문헌에 의한 하천경로와 많은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되어 GIS로 사라진 소하천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음이 평가 되었다. 찾아진 소하천을 복원하고자 할 때 복원경로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데 GIS를 이용하여 고도, 토지이용상태, 지가를 동시에 고려한 최적 복원경로를 추적하는 모형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환경도시를 계획하고 있는 기존의 도시에서 사라진 하천을 찾아내고 이를 복원할 때 가장 이상적인 경로를 찾는데 기여하여 쾌적한 환경도시를 만드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평가됨.

  • PDF

Comparative Study o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s in Small Stream (소하천에서의 조도계수 산정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 Lee, Yong-Shin;Lee, Sang-Bok;Kim, Keu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85-1588
    • /
    • 2008
  • 조도계수를 산정하는데는 수많은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또는 댐실시설계보고서 등 각종보고서)의 조도계수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기준이 모호한 조도계수정보테이블(Roughness Coefficients Information Table)을 이용하고 있다. 하천의 이용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며 최근 하천정비 사업의 급속한 진행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조도계수 또한 하천형상을 정확히 반영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소하천의 경우 하천정비기본계획 마저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어 조도계수로 인한 하천모의에 영향은 매우 크다. 따라서 소하천의 정확한 모의를 위해서는 소하천에 적합한 조도계수 산정방법에 대한 비교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소하천에서 획득한 실측자료로부터 다양한 조도계수 산정방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 수질 및 유량특성 분석)

  • Yeon, Gyu-Bang;An, Kyung-Su;Yeon, In-Sung;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27-1031
    • /
    • 2006
  • 본 연구는 자연형 소하천의 유형별, 지역별 자연형 하천공법의 파악 및 시범사업의 적용.평가를 통하여 소하천 특성에 적합한 치수구조와 안정성을 갖추면서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고, 친수성과 경관 등 소하천의 환경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공사시행의 설계도서를 작성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자연형 이동소하천정비 시범사업은 축제공, 배수공, 구조물공, 조경공 등의 공종과 자연석 쌓기, 식생축조블록, 그린리버블록 등 11개의 다양한 호안공법이 적용되어 2003년 12월에 준공하였다. 본 자연형 이동소하천 정비시범 사업에서는 공사 전.중.후에 '하천수질 및 유량측정, 홍수량 측정 및 수리분석 그리고 생태계, 하천수리'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을 2003년부터 2006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중에서 유역 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하천수질 및 유량측정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하천수질 및 유량측정은 하천환경계획을 위한 기본조사로서 효과적인 하천환경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천 수질 및 유량측정은 하천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를 택하여 월별 일일 4회(6시간 간격)에 걸쳐 시행되었고, 수질측정 항목은 BOD, DO, TP에 대하여 조사 분석되었다.

  • PD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locked and Anadromous Populations of Hypomesus nipponensis (Osmeridae) (육봉형과 소하성 개체군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바다빙어과)의 생태적 특성)

  • Byeon, Hwa-Ku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2 no.4
    • /
    • pp.249-255
    • /
    • 2010
  •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locked and anadromous populations of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08 to April 2009 in the Soyangho (landlocked population) and Hyangho (anadromous population).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landlocked and anadromous populations were not found. The spawning season was March in the Soyangho and late February in the Hyangho. Individuals of both populations were sexually mature at sizes over 60 mm total length. Gonadosomatic index of the landlocked population (female: 20.5%, male: 3.7%) was higher than in the anadromous population (female: 17.4%, male: 3.3%). Number of eggs in the ovaries was greater in the anadromous Hyangho (7,325) population and fewer in the Soyangho (4,902) population; this corresponded to the greater total length in the former. Condition factor was 0.6 (0.49~0.74) in the Soyangho population and 0.7 (0.47~0.76) in the Hyangho population. Stomach contents of H. nipponensis consisted mainly of zooplankton and aquatic insects, and the size of prey was larger in the Hyangho population than in the Soyangho population.

A Study on Hydrologic and Geographic-Characteristics and Design-Width-Determination of Small Rivers in Korea (우리나라 소하천의 수문지형학적 특성 및 계획하폭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Dong Ryul;Lee, Joo Heon;Choi, Sung Uk;Jeong, Sang M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1 no.3
    • /
    • pp.67-73
    • /
    • 1991
  • To define a small river in Korea. hydrologic- and geographic-characteristics. such as watershed area, channel slope, channel length and time of concentr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ir limits are presented. The current equations of design-width-determination of the small rivers are examined and two equations for the design-width-determination of the small river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A small river in Korea can be defined that watershed area is less than $10km^2$, channel length less than 6 km, channel slope over 0.02. time of concentration less than 30 minutes. As Band Q are defined as a design width and a design flood, respectively, the suggested equation to determine the design width is $B=1.235Q^{064}$ for less than $300m^3/sec$ of design flood. and when B and A are defined as a design width and a watershed area, respectively. the recommended equation is $B=8.794A^{0.56}$ for less than $10km^2$ of watershed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