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를 이용한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연구 (Studying Full-duplex Communication System using Software-defined Radio)

  • 김성환;이웅섭;류종열;반태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90-29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이 전이중 라디오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이동환경에서 동작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를 사용하여 전이중 라디오 원형을 구현하였다. 또한 다중 안테나 기반 전이중 라디오와 서큘레이터기반 전이중 라디오를 모두 고려하여 두 경우의 간섭 제거 성능을 비교하였다. 끝으로 이동성이 전이중 라디오 시스템의 자기간섭제거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이고, 자기간섭제거 필터의 갱신주기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갱신주기를 약 1000배 줄였을 때, 자기 간섭의 전력이 서큘레이터 기반 전이중 라디오는 5.7dB 두 안테나 기반 전이중 라디오는 3.1dB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Modulation / Demodulation system using Software-Defined Radio)

  • 류영빈;이현;김재윤;박창민;지영근;오혁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6-6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Xilinx 사(社)의 Spartan-6 FPGA 와 Analog Devices 社의 Transceiver 칩인 AD9361 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장비인 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USRP) B210 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표준인 ATSC 의 실시간 영상 송수신 시스템을 신호 처리 소프트웨어인 그누 라디오로 구현하였다. ATSC 에서 사용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상 신호가 송신부에서 소프트웨어로 디지털 신호 처리되고 Digital-to-Analog Conversion(DAC) 과정을 거쳐 영상 신호가 송출된다. 본 논문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핵심 기능을 하는 등화기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하여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신부에서는 신호를 수신하여 튜너, 매치 필터, 위상 고정루프, 등화기, 비터비 복호 알고리즘 등의 과정을 거쳐 수신한 후 영상을 확인하였다.

  • PDF

ETSI 표준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뎀 기반 멀티모드 단말기의 표준 개발

  • 안치영;김용;최승원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24권5호
    • /
    • pp.65-72
    • /
    • 2013
  •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TC(Technical Committee), RRS(Reconfigurable Radio Systems)에서는 소프트웨어 모뎀 기반 멀티모드 단말기의 연구 및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모뎀 기반 멀티모드 단말기는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을 바탕으로 단말기 플랫폼에 독립적인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함으로써, 하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다양한 이동통신 표준을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단말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TC RRS에서 정의한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의 리소스 공유 방법과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형태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의 분류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여러 개의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멀티모드 단말기의 아키텍처와 인터페이스에 대해 소개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기 구현에 대한 접근 (Software-defined Radio (SDR): An Approach to Real-Time Video Data Transceiver Implementation)

  • 유동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49-15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SDR: Software-defined Radio)를 활용하여 실시간 동영상 송수신기를 구현하기 위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방형 무선 접속망(O-RAN: Open Radio Access Network)을 연구하고 이를 SDR 장치와 개방형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접근 문턱을 낮추고 새로운 시각과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기반 스펙트럼 센싱 시스템 설계를 위한 단일 보드 컴퓨터 내 연산 분석 및 측정 연구 (Computational Analysis and Measurement for SDR-based Spectrum Sensing System Design on Single Board Computer)

  • 김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650-1658
    • /
    • 2019
  • 최근 IoT 기기 및 플랫폼들의 발전 및 확장과 더불어 IoT 관련 기기 내 연산 성능도 지속해서 향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기 향상과는 별개로 IoT 기기, 특히 소형 단일 보드 컴퓨터의 제한적인 크기 및 연산 자원은 해당 기기 내 통신 시스템 구현 설계를 위한 중요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현재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끔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SDR) 기술을 IoT 기기에 적용 시 소형 단일 보드 컴퓨터의 하드웨어 제한 사항으로 인한 열화 가능성으로 인하여 실제 시스템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 해당 컴퓨터 성능에 대한 분석 및 조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단일 보드 컴퓨터 내 SDR 적용 스펙트럼 센싱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시스템 연산 분석 및 실험을 진행한다. 먼저 단일 보드 컴퓨터를 위한 SDR 기반 스펙트럼 센싱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실험을 통해 조사하며. 이를 통한 중요 고려사항 및 디자인 가이드 절차를 도출한다.

멀티코어 DSP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플랫폼을 활용한 LTE 전송 채널의 구현 (Implementation of LTE Transport Channel on Multicore DSP Software Defined Radio Platform)

  • 이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08-514
    • /
    • 2020
  • LTE (Long Term Evolution) 및 5G와 같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이동 통신 표준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SDR, Software Defined Radio) 개념은 뛰어난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수년 동안, 최고급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시스템 온 칩 (SoC, System on Chip)은 멀티 코어 및 다양한 하드웨어 보조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TI의 TCI663x 칩을 사용해 구현한 SDR 플랫폼 하드웨어에 대해 소개하고, 이 플랫폼 상에서 멀티 코어 DSP를 BCP (Bit Rate Coprocessor) 및 TPC (Turbo Decoder Coprocessor)와 연동하여 구현한 LTE 전송 채널 (Transport Channel)의 성능을 다양한 구현 옵션에 따라 평가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를 활용한 초소형위성용 선박정보수집장치의 수신시험 (Utilizing Software-Defined Radio, Reception Test of AIS Payload Used in a Cube-Satellite)

  • 김신형;이창현;김건우;조동현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2권2호
    • /
    • pp.121-136
    • /
    • 2022
  • 선박 통신에 있어서 선박자동식별시스템(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은 연안 해역의 선박 운항 모니터링, 선박 간의 항해 안전을 위한 정보 교환뿐만 아니라 해상관제 수단에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대략 160 MHz의 very high frequency (VHF) 대역을 사용함과 동시에 지구의 곡률로 인해 통신 거리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인공위성을 통해 해결하고 있지만, 저궤도의 초소형 위성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를 활용하여 초소형위성용 선박정보수집장치의 수신시험을 증명하였다. R820T2 SDR을 활용하여 부산항에 정박해 있는 선박으로부터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Adalm-Pluto와 매트랩 시뮬링크를 활용하여 이를 송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감쇠기를 활용하여 위성까지 신호세기가 약해지는 과정을 모사하였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AIS 탑재체에서 AIS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시연하였다.

USRP와 GNU Radio를 이용한 IEEE 802.15.4 물리 계층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oftware Radio System for IEEE 802.15.4 Physical Layer Using USRP and GNU Radio)

  • 박대현;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214-1219
    • /
    • 2010
  •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라디오 범용 하드웨어인 USRP(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 보드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디오 개발 툴킷인 GNU Radio 패키지를 사용하여 저속, 저전력 무선 표준인 IEEE 802.15.4 표준의 물리 계층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은 IEEE 802.15.4 물리 계층 중 868/915 MHz 대역의 BPSK와 OQPSK 변조 방식의 송수신 물리 계층과 2.45 GHz 대역의 OQPSK 변조 방식의 물리 계층을 지원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소프트웨어 라디오의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각 주파수 대역과 변조 방식을 표준에 정의된 대역 특성, 패킷 구조에 맞추어 설정하고, 송수신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2.4 GHz 대역은 CC2430 모듈과 Smart RF EV 보드를 이용하여 정상 동작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스템의 성능은 송신 신호의 PSD 마스크 조건과 수신 상태의 아이 패턴, PER(패킷 에러율) 테스트 결과로 구현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구현한 시스템이 IEEE 802.15.4 물리 계층 표준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드론을 이용한 항행안전시설 점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Inspection System for NAVAID Using Drone)

  • 이영길;주효근;권달원;박성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0-115
    • /
    • 2018
  • This paper introduces Korea Airport Corporation's own research and development contents and plans for navigation aids check using drone which is actively research and developed mainly in advanced countries. The hardware, algorithm, operating program of the drone system, the drone flight trajectory setting, and real-time measurement results were analyzed and verified. By securing domestic technology for the latest technology utilizing drone, we plan to promote more thorough aviation safety and advanced technology in related field and commercialized it in domestic and overseas.

GPS 관측소 기선 처리에 따른 가강수량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ccording to GPS Observation Baseline Determination)

  • 임윤규;한상옥;정승필;성지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26-6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특별관측기간(2012년 1월 5일에서 2월 29일)동안 강원지방기상청에 설치된 GPS 자료를 이용하여 가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라디오존데 가강수량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GPS 자료를 후처리하기 위하여 Bernese 5.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GANG 단독측위와 GANG, DAEJ의 비교적 짧은 거리의 두 지점만을 이용한 상대측위 결과에 따른 가강수량은 시간에 따른 변동폭이 크고 실제 환산된 가강수량에 비해 5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대류권 절대 오차에 의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Xian Dao (BJFS), Ibaraki-ken (TSKB) 국제 IGS 사이트의 장거리 기선설정으로 GPS 후처리를 실시한 결과 라디오존데 관측값과 상관이 0.93, 평균편의오차가 0.67, 평균제곱근오차가 6.4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GPS 수신기 고도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대류권 상대 오차를 제거하기위해 강원지방기상청과 아주 가까운 지점인 강릉 원주대학교에 설치된 GPS 자료를 추가하여 후처리한 결과 상관이 0.93, 평균편의오차가 0.61, 평균제곱근오차가 5.79로 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