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장애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4초

시각장애인을 위한 일반의약품 복용 방법 제공 애플리케이션 연구 (Application Development to provide General Phrase Medication Guidance for Visually Impaired)

  • 조민석;윤민기;서민수;황영훈;허원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01-208
    • /
    • 2023
  • 시각장애인은 의료 서비스나 의약품 정보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올바른 의약품 복용이 쉽지 않다. 그에 대한 보건법이 마련되어 있지만, 방안이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모든 일반의약품에 적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의약품 복용 방법의 사각지대에 놓인 시각장애인을 위해 이미지 인식 기술과 바코드, QR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일반의약품 복용 방법 제공애플리케이션을 계획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이미지 인식을 위한 카메라 촬영 환경 기준과 UI 및 UX 화면을 최적화하여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편리하도록 개선한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제공한다면 시각장애인의 올바른 일반의약품 복용법 습득에 도움을 줄 것이다.

TDX-10 제어계 이중화 방식 설계 및 구현

  • 전성익;박준철;조주현
    • ETRI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67-79
    • /
    • 1992
  • 본 고에서는 TDX-10 제어계 이중화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전자 교환 시스팀은 높은 신뢰도와 가용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시스팀 차원에서의 고장감내 기능이 요구되는데, TDX-10 제어계에서는 이중화 방식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서 고장감내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구현한 TDX-10 제어계 이중화는 프로세서 고장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 방안을 단계별로 구분, 적절히 조치함으로써 시스팀 및 응용 교환 소프트웨어에 영향과 부담을 최소화 하며 교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해 주고 있다. 이중화 소프트웨어는 상태관리, 상태천이 제어, 장애감지, 장애분류 및 처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으로 구성되어 고장감내를 위한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 PDF

Software-Defined RAID 기반 장애복구 기법과 실증 테스트 (Verification Test of Failover Recovery Technique based on Software-Defined RAID)

  • 차병래;최명수;박선;김종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1호
    • /
    • pp.69-77
    • /
    • 2016
  • 본 논문은 분산 저장환경에 사용되는 RAID와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융합하며 Software Defined Storaging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저장장치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설계함으로써 유연한 제어 및 관리를 제공하여 물리적인 스토리지의 용량과 재해 복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안된 Software-Defined RAID 기반의 장애복구 기법을 실질적인 퍼블릭 클라우드인 AWS와 구글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실증 테스트 및 성능을 비교한다.

아키텍쳐 기술 언어를 사용한 센서 네트?의 적응형 소프트웨어 설계 (A Design of Adaptive Software for Sensor Networks Using an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

  • 김현정;최호진;고인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415-417
    • /
    • 2004
  • 수많은 경량의 센서 노드들이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응용서비스를 수행하는 센서 네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노드의 다량성과 사랑의 접근불가성으로 인해 센서 네트?은 무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배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적응형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기술 언어를 사용하여 노드 장애나 환경 변화에 동적으로 대처하여 스스로를 재구성하는 센서 네트?의 적응형 소프트웨어 설계를 제시한다.

  • PDF

YOLO와 OCR 알고리즘에 기반한 시각 장애우를 위한 유통기한 알림 시스템 (Expiration Date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YOLO and OCR algorithm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김민수;문미경;한창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29-1338
    • /
    • 2021
  • 점자를 제외한 시각 장애우들이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시각 장애우들의 식품 안전성이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장애우의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실시간 객체 인식 알고리즘(you only look once, YOLO) 및 광학 문자 인식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에 기반한 유통기한 알림 시스템을 개발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총 4가지 단계로 시각 장애우에게 유통기한 정보를 전달한다: (1) 표적 제품의 바코드 스캔을 통한 제품 확인 (2)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제품 영상에서 YOLO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유통기한이 표기된 이미지 영역 검출; (3) 검출된 이미지 영역에서 OCR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문자 인식; (4) Text to Speech (TTS) 기술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 성능 평가를 위한 온라인 실험 결과, 앞이 보이지 않는 피험자가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해서 제품의 유통기한을 평균 86%의 높은 정확도로 확인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안하는 시스템이 저시력자를 포함한 시각 장애우들의 식품 안전성 확보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각장애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이미지 분석과 바코드, QR 인식 기술의 연구 및 개선 (Research and improvement of image analysis and bar code and QR recognition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visually impaired applications)

  • 조민석;윤민기;서민수;황영훈;우현;허원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861-866
    • /
    • 2023
  • 시각장애인은 의료 서비스나 의약품 정보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올바른 의약품 복용이 쉽지 않다. 그에 대한 보건법이 마련되어 있지만, 방안이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모든 일반의약품에 적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의약품 복용 방법의 사각지대에 놓인 시각장애인을 위해 이미지 인식 기술과 바코드, QR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일반의약품 복용 방법 제공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현재 나와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지만 이 또한 자신이 복용하는 약이 무슨 약인지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이미지 인식을 위한 카메라 촬영 환경 기준과 UI 및 UX 화면을 최적화하여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편리하도록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제공한다면 시각장애인의 올바른 일반의약품 복용법 습득에 도움을 줄 것이다.

IT 시스템 장애탐지력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monitoring framework for fault detectability enhancement on IT-System)

  • 박석환;손지성;백두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3-1206
    • /
    • 2012
  • 본 논문은 다양한 기기로 구성된 분산 IT 환경에서 보다 신속한 장애 탐지 및 원인 파악을 위한 Monitoring framework을 제안한다. 제안된 Framework은 전통적인 Event Correlation 기법과 전통적 기법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Probing 기법을 혼용한(Hybrid) 것인데, 이를 통해 각각의 기법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장애탐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즉, Event Correlation 기법은 임계영역에서 장애 판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장애 여부를 확신하기 위해 Probe station을 이용하여 Probe를 실행함으로써 장애 판단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Probing 기법은 복잡한 분산 IT 환경에서 Probe Set를 구성하는 어려움이 있는데, 이를 회피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Web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User-Session을 기반으로 추출한 Http Packet를 Probe set으로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상황이야기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the Social Story Application Designed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ASD)

  • 김소리;강옥려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329-3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 콘텐츠를 담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폐성장애 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요구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에 심사를 거쳐 등록하고, 현장 교사 10명에게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교육적 가치, 콘텐츠 구현 기술, 콘텐츠 정보 및 편의성 영역에서 모두 '매우 양호'에 가까운 결과를 얻었으며, 평가 결과에서 제시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반영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지도와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전무한 실정에서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활성화에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tive/Active 클러스터 시스템의 가용도 모델 (An Availability Model for Active/Active Cluster Systems)

  • 박기진;김성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2호
    • /
    • pp.173-181
    • /
    • 2001
  •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 하드웨어의 결함 발생률은 상수 값이거나 점차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하드웨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복잡성 및 크기는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해져가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결함 발생으로 인한 컴퓨터 시스템의 장애 발생 가능성은 점차 더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ctive/Active 클러스터 시스템의 가용도 개선을 위해서 소프트웨어적인 결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능동적 결함허용 기법인 소프트웨어 재활(rejuvenation)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소프트웨어 재활 과정 및 여분서버로 작업전이(switchover) 과정을 semi-Markov 프로세스로 모델링 한 후, 수학적 분석을 통해 구한 Active/Active 클러스터 시스템의 bud형 상태 확률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영 조건하의 가용도 및 손실비용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재활을 통한 Active/Active 클러스터 시스템의 가용도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