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통과 교류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Educating Programming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발달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 An, SangJ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79-18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창의인성을 계발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의 필요 요소를 논의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 학습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목적 상태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여 실행하는 전형적인 문제해결학습의 형태를 띤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확산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간의 의사소통과 교류를 강화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고, 도덕적 논의를 교육 내용에 포함해야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Way Communicatable Application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여행 어플의 설계 및 구현)

  • Yoo, Woo-Jong;Lee, Se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22-42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여행지 소개 어플을 개발하여 여행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효율적인 여행정보를 알려줌과 동시에, 테마별(연인, 가족, 캠핑, 휴양지 등)로 국내 여행지에 관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해주기 위해 이를 요약 정리해주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유사한 어플은 개발자가 서버에 저장해 놓은 내용만 볼 수 있고, 어플 이용자가 저장하고 싶은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어플은 이용자가 여행지 및 여행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저장하여 볼 수 있고, 게시판을 통해 이용자 상호간에 정보교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어플을 설치하여 활용한다면 언제 어디서든지 여행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습득하여 효율적으로 여행을 즐기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tivation to Use of Information Networking Platform for Researchers: The Case of Research Gate (리서치게이트를 통해 본 전문연구자 정보 네트워크 플랫폼의 사용자 동인 연구)

  • Rhee,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6-298
    • /
    • 2019
  • 개방과 협력의 시대로 불리는 현재, 학문분야의 융합과 소통은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되었던 가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오랜 세월 전문 영역의 틀로써 명확히 분리되어왔던 학자들이 다른 영역의 연구자들과 자유롭게 협업 및 교류하는 상황은 쉽게 일어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본 연구는 온라인 네트워크 플랫폼에 주목하였다. 특히 학문 전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을 연결하는 세계적인 플랫폼인 리서치게이트의 사례를 통해 사용자 동인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서치게이트 이용자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 설문 및 FGI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 전문연구자 정보 네트워크 플랫폼 개발 방향에 대해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뇌파를 이용하여 다수의 집중이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Byun-gon;Kim, Myung-Soo;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5-826
    • /
    • 2016
  • 최근 뇌파에 대한 연구가 아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뇌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뇌파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고 뇌파의 주파수 분석 등을 이용하여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NeuroSky 사의 mindwave mobile 뇌파 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여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사람 사이에 교류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뇌파의 공명 현상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보통의 경우 어떤 일을 할 때, 많은 사람의 응원을 받으면 응원을 받지 않는 경우보다 잘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사람의 응원이 한 사람의 집중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한사람이 집중할 경우보다 여러 사람이 같이 집중할 때 집중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 Web Service System for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Among NGOs (NGO 사업 정보 공유를 위한 웹서비스 시스템)

  • Park, Ju-Yeon;Noh, Y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373-376
    • /
    • 2010
  • 정보통신 기술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의 협조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신속하며 정확한 의사소통수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작은 정부인 NGO 역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이루어졌지만 NGO 간의 정보 공유는 미흡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NGO들이 서로간의 사업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웹서비스 시스템인 Smart NGO 시스템을 제안한다. Smart NGO는 현재 대부분의 NGO들이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Smart Tool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이용해 NGO가 쉽게 자신의 사업 정보를 등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이러한 정보들을 Smart Viewer를 통해 NGO나 일반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NGO의 활동에 협조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Smart NGO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Development Using MediaPipe (MediaPipe를 활용한 수어 번역 시스템 개발)

  • Kim, Kyung-Min;Song, Mi-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84-686
    • /
    • 2022
  • 다양한 언어로 소통하고 있는 우리는 다른 언어와 교류하기 위해 번역, 통역의 존재가 필수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음성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즉, 손으로 언어를 표현하는 수어를 번역하는 통역의 존재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ediaPipe와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손의 형태를 인식하고 CNN 알고리즘을 통한 텍스트 데이터화 하여 수어 동작을 학습시켜 이를 번역시켜주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을 이용함에 불편함을 줄이고, 농인의 의사를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번역 시스템 제작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Effect of Teamwork by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서번트 리더십에 따른 팀워크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Ko, Ki-Chul;Kim, Gyeong-Hwan;Cho, Yong-Bum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5
    • /
    • pp.149-163
    • /
    • 2010
  • This study planned study model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drew hypothesis to analyze how teamwork of servant leadership has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iming at full time employee under department head and contract worker of five star hotel in Busan. As a survey term, from April 5th, 2010 to April 23th, 2010, it distributed total 300 questionnaires, 60 questionnaires for each hotel, and then 2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t analyzed data using SPSS WIN Version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interchange which is one of teamwork, it showed that community formation facto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terchange, a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influence on communication which is one of teamwork, I could find out that higher the level of bond of sympathy formation and community formation factor are, higher the communication become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influence on interdependence which is one of teamwork, it showed that community formation, stewardship, vision, commitment to growth facto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terdependence.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influence of teamwork factor on job satisfaction, it showed that all fact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ould find out that member' positive perception on leader in hotel organization can be a basis deriving job satisfaction though teamwork.

  • PDF

The Process of Local Adaptation in the Community with High Foreign Population: The Case of Chinese Ethnic Community in Jayang-Dong, Seoul, Korea (외국인 밀집지역 형성에 따른 지역사회 적응과정 연구 -광진구 자양동 중국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 Cho, Minkyung;Jang, Wo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 /
    • pp.225-241
    • /
    • 2016
  • This paper looks into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a Chinese ethnic place in Jayang-dong, Gwangjin-gu. In doing so, the paper reviews Chinese immigrants with the approach of cultural adaptation. Specifically, in-depth interviews with both Chinese immigrants and Korean native people in Jayangdong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local residents' reaction to the Chinese immigrants, the conflicts between the natives and the Chinese immigrants, and communications among them. Based on the analyses, the paper recognizes the chang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ves and the Chinese immigra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ethnic pla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native people and Chinese immigrants in Jayang-dong turns out to be more positive than that in other Chinese towns. In Jayang-dong, in the early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area, the Korean native people and Chinese immigrants used to have conflicts. However, as time goes by, the conflicts has been resolved and they have embraced each other through interchanges between them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Cultural adaptation in Jayang-dong has occurred in the way that the immigra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the mainstream society based on the connectedness with both the native people and immigrants embracing each other.

  • PDF

Community Recover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nty Towns (저소득층 주거지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공동체 회복)

  • Shin, Haeng-Woo;Kim, Young-Oo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2
    • /
    • pp.97-102
    • /
    • 2016
  • It has recently become a major concern for us contemplating could regain the advantage with a 'village' concept of the traditional in a modern city. The village community recovery project which is one of the flagship projects of seoul is being actively conducted with the aim to form a network between residents and have even appeared positive results. Among the many efforts to recover community, spatial approach may be one solution. To secure a space for people to easily access, may bring about a small but significant effect. Community Space with high visual accessibility has a large effect as a space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residents. Socio-economic efforts to restore the community has a limit. In some cases of poor village, Spatial relationship network was found to be a larg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ocio-economic relations network.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people lived and formed a relationship within the space of traditional forms and space disappeared from rapid social change process. The community recovery efforts are needed through research and experiments for the residential network can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an online robot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Web 2.0 (웹2.0 기반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의 개발)

  • Sung, Young-Hoon;Ha, Seok-W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3
    • /
    • pp.273-280
    • /
    • 2009
  • The internet becomes a new communication tool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the people are expanded at the place of information interchange and exchange of view. In recent robot education institutions provide their own official homepages to introduce the robot educational resources. But because they have restrictive searching the functions and providing general robot education resources and don't offer a place that teachers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share common interests with other users, online community among teachers for robot education and users couldn't have buil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nline Robot Education Community(OREC) that teachers and users in different robot education institutions can interchange or share their technical information, learn robot techniques, participate in discussion of their experiences on work, share their common interests, and be provided updated latest news in real-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