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재선호도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8초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술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Recommender System using Textile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Personalization Technique)

  • 정경용;나영주;이정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5호
    • /
    • pp.541-550
    • /
    • 2003
  • 소재 개발의 프로세스가 고객 중심으로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FDRS)을 제안한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술에서, 사용자들간의 유사도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판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Textile의 대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형용사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다.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FDRS)은 구축된 감성 형용사 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Textile 디자인을 추천한다.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남성셔츠 줄무늬 특성이 감성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ipe Pattern for Men's Shirts on Emotion)

  • 공진희;권영아
    • 감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13
  • 본 연구는 남성셔츠 소재의 선염 줄무늬 특성에 따른 시각적 감성 이미지의 차원을 알아보고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남성셔츠 소재용 줄무늬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남성셔츠 줄무늬 감성은 매력성, 성숙성, 품위성, 실용성, 단순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남성셔츠 소재 줄무늬의 특성이 감성 차원 및 선호도와 구매 욕구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색상, 배열, 간격 등 줄무늬의 특성이 남성셔츠 소재의 시각적 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두 가지 두께의 부등간격 줄무늬 조합이 매력성, 실용성이 높기 때문에 선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되는 복합색의 줄무늬가 매력성이 높으므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트 커버 직물로 선호하는 직물 특징 분석 (Analysis of preferred fabric character as a seat cover)

  • 김한경;박세진;이현영;이영봉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3-156
    • /
    • 1999
  • 본 연구는 시트 커버지로 선호하는 직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직물디자인의 평가 요소 중 pattern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부수적으로 색상에 대한 선호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직물 pattern 디자인은 PP(Primitive pattern)와 RPU(Repeated pattern unit)의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전체 직물패턴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Pattern 특징 평가를 위한 1차 설문에서 소재와 색상의 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sample 직물을 gray-scale image로 제시하여 세부항목을 평가하였다. 1차 설문결과로써 pattern 특성을 대표하는 4개의 직물샘플을 선정하였다. 2차 설문에서 4개의 대표 sample을 열차용 시트에 rendering 하여 선호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색상 선호도 평가는 5가지 색상 군집에 대한 선호를 평가하였다. 선호도 평가 결과 시트 커버지로 선호하는 직물의 특징은 PP의 특징에 상관없이 RPU의 돌출성이 적은 pattern이었다 또한 색상은 초록색과 파랑색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결과를 통한 시트 커버 직물의 디자인 및 선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니트 소재 구성특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 컨조인트 분석 이용 - (Consumer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Characteristics of Knit Fabrics - Using Conjoint Analysis -)

  • 노의경;김성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981-1989
    • /
    • 2008
  • 개개인은 다른 이유를 가지고 동일한 또는 유사한 제품들을 구매한다. 추구 효익이란 동일한 속성에 동일한 상대적 중요성의 수준을 가지는 사람들을 군집하여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니트 소재의 구성특성에 대한 추구 효익에 따라 소비자들을 세분화하고,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선호도에 대한 구성특성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 분석하여 세분화 집단에 따른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효용도에 따라서 양모 섬유를 선호하는 집단, 아크릴 섬유를 선호하는 집단과 긴 편환장을 선호하는 집단, 세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다른 구성특성의 이상적인 니트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들 간에 니트 소재의 혼용률과 편환장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모 섬유를 선호하는 집단은 양모 혼용률이 크고 짧은 편환장을 선호하였으며, 아크릴 섬유를 선호하는 집단과 긴 편환장을 선호하는 집단은 아크릴 혼용률이 크고 긴 편환장을 선호하였다.

색 특성에 따른 니트 소재의 감성에 관한 연구 (An emotional study on the knitted fabrics by color characteristics)

  • 권영아;이지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5-238
    • /
    • 2009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의복의 기능성이 중시되면서, 건강, 감성, 쾌적 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강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와 니트에 관한 선호도 및 감성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건강 니트 소재의 감각 및 감성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키토산 섬유와 서스 섬유의 니트 소재를 편성한 다음 최종 소비자의 감각과 감성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실제 건강 니트 소재를 기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키토산 섬유와 서스 섬유를 회색계열로 변화를 주어 10 게이지의 컴퓨터 자동 횡편기로 5 종의 평편 시료를 편성하였고 20 대 남녀 대학생 69 명을 대상으로 5 종의 시료($20\;cm{\times}15\;cm$)를 랜덤한 순서로 제시하여 눈으로 시료를 보고 직접 만지면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감각 18 개와 감성 22 개, 선호도 3 개의 총 43 개 형용사로 이루어진 7 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건강 니트 소재의 감각 및 감성 이미지를 요인 분석한 결과, 감각요인은 '부피감', '요철감', '신축감', '현시감', 변형감'의 5 가지 요인, 감성요인은 '온유감', '안정감', '고급감', '활동감'의 4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색 속성 중 명도 수준별 감각요인 및 감성요인 중 '요철감'과 '안정감'의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명도, 저명도 수준은 울퉁불퉁하고 오톨도톨하지만 안정적이고 깨끗한 이미지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간 명도수준은 '요철감'과 '안정감'이 감소되었다. 차콜색의 키토산 100%와 연회씩의 서스 100%의 경우 울퉁불퉁하고 오톨도톨하지만 안정적이고 깨끗한 이미지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차콜색 키토산섬유와 연회색 서스섬유를 혼방하여 편성한 경우 '요철감'과 '안정감'이 감소되었다.

  • PDF

직장 남성의 춘추용 드레스 셔츠 착용 실태 및 소재 선호도 (The Wearing Practices and Subjective Fabrics Preferences for Spring and Fall Dress Shirts of Male Office Workers)

  • 김경희;최종명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2호
    • /
    • pp.299-309
    • /
    • 2006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wearing practices and the subjective fabrics preferences for men's dress shirts. It was performed by means of convenience sampling survey of male office workers wearing dress shirts who were living in Seoul, Geonggi, and Chungcheong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using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male office workers owned 5 dress shirts, and blue color dress shirts were preferred to white one.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ore dress shirts at the office almost every day with necktie. The preferred sensations of the dress shirt fabrics were the soft, wrinkle-free, smooth and dry one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male office workers in the wearing practices and subjective fabrics preferences of dress shir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