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재공급부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rrelation of Microstructure with Mechanical Properties by Welding Conditions of Electric Resistance Welding(ERW) (전기저항용접(ERW)조건에 따른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의 연관성)

  • Lee, Kyung-Min;Lee, Dong-Eon;Kim, Sung-Woong;Yoon, Byung-Hyun;Kang, Hee-Jae;Kang, Nam-Hy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27-27
    • /
    • 2010
  • 청정에너지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의 공급로의 역할을 하는 강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소재가공 기술의 발전과 함께 경량의 고장력 강재의 적용은 공급로의 역할을 하는 강관의 비용절감 및 자원의 효율적 이용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을 이어왔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구조용 또는 라인파이프용 강관에서도 고장력 강재의 적용과 함께 고인성 그리고 용접성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개발과 이의 적용이 그간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용도상 반드시 필요한 특성인 고장력, 고인성, 용접성 등 외에도 다양한 강재의 사용에 따른 제조공정상 즉 용접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 변화에 대한 특성 연구 및 기술 연구가 계속 되어왔다. 주로 강관을 생산하는데 쓰이는 ERW (Electric Resistance Welding) 공정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ERW는 높은 생산성과 낮은 제조비용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접 후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 감소로 인한 단점이 있다. 때문에 기계적 특성향상을 위해 최적의 용접조건에 대해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합금강관의 ERW 용접시 용접 입열량의 변화와 용접부의 후열처리를 통한 미세조직의 변화와 기계적 특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4강종 시편의 미세조직을 OM, SEM을 통한 분석 이후 인장시험 및 경도시험 등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시편에서 입열량의 증가에 따라 Ferrite 분율이 증가하였고 용접중앙부의 Ferrite 양이 용접경계부 보다 많았다. Ferrite 집중부의 분포가 극명하게 관찰되었던 DP780 (적정) 강종과 미세하게나마 Ferrite 집중부가 존재하였던 K55 (과소, 과대) 강종에서 나란히 경도 하락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강종마다 고유의 Ceq, 합금 중 Mn 농도, 입열량 등에 의한 복합적인 이유 때문으로 판단된다. 탄소가 0.3~0.4 wt% 함유된 중탄소강인 S45C, K55의 경우 용접중앙부와 용접경계부의 페라이트 분율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용접시 열에 의한 탈탄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robot system for production line automation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한 로봇 시스템 개발)

  • Mim, Byeong-Ro;Kim, Duck-Ki;Jun, Yoo-Hea;Jung, Jun-Hee;Lee, Hwen;Yoo, Su-Ho;Cha, San-Lee;Lee, Dae-Weon;OH, Se-B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9-149
    • /
    • 2017
  • 본 논문은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한 로봇으로 제조업 시장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가격 경쟁력 및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설계하였으며 다양한 소재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퍼를 교체하여 적용이 되도록 하였다. 자동화를 위한 로봇은 소재의 내외경 가공 및 검사까지 모든 공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 져야하며 LCD 모니터에 생산수량 및 불량률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나타내어 효율적인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해 로봇의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부품의 가공은 CNC에 적용하기 위해 자동공급장치를 설계하였다. 가공이 완료된 후 측정한 값을 LCD모니터를 통하여 작업자가 알아볼 수 있게 나타냈다. 외경 1은 40.405, 외경2는 32.201, 내경 1은 23.346, 내경 2는 34.302로 나타났다. 측정결과 불량 측정을 위해 측정부의 결과 값이 나타나며 불량이 발생하면 그래프를 이용하여 어떤 부위에서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과 값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해 100EA를 측정한 결과 외경 1은 40.40438, 외경2는 32.20164, 내경 1은 23.34830 내경 2는 34.30033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측정값의 검증은 하이트게이지로 측정한 결과 0.003 이내의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가 가능하여 인력대체 및 가격경쟁력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Whirling Machines (Whirling machine의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

  • Lee Jung-Ki;Yang Woo-suk;Son Jea-seok;Han Hui-duck;Kim Han-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9 no.10 s.241
    • /
    • pp.1416-1429
    • /
    • 2005
  •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s coupled with higher demands for component quality, whirling machines have been at the cutting edge of the automobile industry for more than 25 years. The hard whirling process can save on machining time and operation elimination. Hard whirling is done dry, without coolant. The chips carry away nearly all of the heat during cutting, leaving the workpiece cool and minimizing any thermal geometry variations. The surface finish and profile accuracy are close to grinding quality. Whirling machines usually consist of four major parts; 1) loading system that requires the necessary axial speeds, 2) head stock that needs high precision clamping and positioning system at the chuck and tailstock, 3) whirling unit that demands the high cutting speeds and cutting power fer cutting deep thread profiles and 4) unloading system that requires an easy workpiece unloading. Also, capabilities of the whirling machine can be improved by attaching a vision system to the machine. Most of whirling machines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are imported from the Leistritz company, Germany and the Hasegawa company, Japan. Tn this paper, a basic research will be performed to improve and enhance the existing whirling machines. Finally, a new Korean whirling machine will be proposed and developed.

A study on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the heat energy harvesting clothing (인체 전력에너지 수확의류 개발을 위한 의복내 온도 측정의 기초적 고찰)

  • Yang, Jin-Hee;Cho, Hyun-Seung;Park, Sun-Hyung;Lee, Joo-Hy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1
    • /
    • pp.125-132
    • /
    • 2013
  • Recently, the consciousness of energy crisis is rapidly growing and sustainable eco-friendly energy sources are becoming issue. Therefo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quires new energy sources for providing continuous power supply and the power energy harvesting system of the human body that enables the power-harvesting research requests anytime, anywhere. One of the sources for energy harvesting is heat energy, which is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of the bod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 tried to analyz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losed portion. And we examin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The analysis showed that we have been able to get different results at parts of the body in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othing. In upper torso of the chest and back,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of 'closed structure' wa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of 'opened structure'. In the section of arm and leg, it was reduce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inside clothing between 'closed structure' and 'opened structure'. It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section of leg.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in both cases of the two materials, 'closed structure' was higher than the 'opened structure' i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terial in the section of leg. In this study, we outlined the basic guidelines for developing heat energy harvesting clothing by exploring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clothing suitable for the heat energy harvesting.

  • PDF

Nano-Powder 제조를 위한 RF Thermal Plasma Torch System 개발 및 Nano-Si 특성 연구

  • Song, Seok-Gyun;Son, Byeong-Gu;Kim, Byeong-Hun;Lee, Mun-Won;Sin, Myeong-Seon;Choe, Seon-Yong;Kim, Se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79-179
    • /
    • 2012
  • 국내에는 나노 분말 제조를 위한 RF 열플라즈마 시스템 제조 기술이 확보되어 있지 않고, 또한 나노 파우더 제조를 위한 공정 기술 역시 외국 업체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분말 제조를 위한 RF 열 플라즈마 토치 시스템 개발과 고품질의 나노 파우더 합성 공정 기술을 확립하여 필요 기관에 제공하는데 있다. 80 kW RF Plasma torch system의 설계 및 제작을 위해 플라즈마 Simulator인 CFD-ACE+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토치 및 반응로 내의 온도 분포, 유체 유동, 열전달 등의 해석을 통해 플라즈마 토치 및 반응로의 반경 및 길이, 구조의 설계 값을 도출하여 반응로를 설계하여 RF 파워, RF 플라즈마 토치(Torch), 반응기(Reactor), 사이클론(Cyclone), 포집부(Collector), 열교환기 및 진공배기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Si 나노 소재의 경우, 이차전지 음극재에 적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소재로서 높음 비용량과 충/방전시 부피팽창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차전지의 고용량 구현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소재중 하나로 많은 관심 재료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Si 원료 powder를 사용하여 고상 분체 공급 장치를 통하여 고온의 플라즈마를 통과시켜 기상화 및 결정화과정을 통해 Si 나노분말을 제조하였다. 공정 변수로서 공정압력 및 플라즈마 power, Gas의 변화량에 따른 나노 분말의 제조 특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후 제조된 나노 분말을 비표면적측정(BET) 및 SEM 측정 결과 분석을 통하여 시스템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제조된 Si 나노 파우더는 이차전지 음극재로서 770 mAh/g의 용량과 93%@50 cycle 수준의 유지율을 나타내었다.

  • PDF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EFECT WITH COMPOSIITE AUTOGENOUS ILIAC BONE AND COSTOCHONDRAL GRAFTS (자가장골 및 늑연골의 복합이식을 통한 하악골 재건술)

  • Chang, Se-Hong;Ann, Jye-Jynn;Soh, Jae-Jung;Park, Chi-Hee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3 no.1
    • /
    • pp.104-109
    • /
    • 1991
  • Loss of mandibular continuity due to neoplasm, trauma, or infection results in major esthetic and biologic compromise. The use of costochondral grafts for reconstru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escribed first by Gillies in 1920, has been accepted as a suitable method for replacing the mandibular condyle, especially in growing children. Autogenous iliac bone graft has been a satisfactory source of mandibular reconstruction since Sykoffs report in 1900. Autogenous bone grafts from the posterior aspects of the ilium provide large amount of PMCB with acceptable donor site morbidity. In timing of reconstruction, initial disease, age, medical history, growth and development, esthetic and psychologic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e present a case of osteosarcoma in the mandible that was treated by a hemimandibulectomy and the defect was reconstructed 20 months later with composite method of costochondral and posterior iliac bone graft.

  • PDF

A Study on Growth of Graphene/metal Microwire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금속/그래핀 이중 구조 와이어의 합성 및 전기적 특성 연구)

  • Jeong, Minhee;Kim, Dongyeong;Rho, Hokyun;Shin, Han-Kyun;Lee, Hyo-Jong;Lee, Sang Hyu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8 no.1
    • /
    • pp.67-71
    • /
    • 2021
  • In this study, graphene layer was grown on metal microwire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difference of carbon solubility between copper and nickel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ono-layer and multi-layer graphene were formed on the surfaces of copper and nickel microwires, respectively. During the growth of graphene at high temperature, copper and nickel were recrytallized and the grain size increased. The ampacity of graphene/copper microwire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27%, 1.91×105 A/㎠, compared to pristine copper microwire. Similar to this behavior, the ampacity of multilayer graphene/nickel microwire was 4.41×104 A/㎠ which is about about 36% improved compared to the pure nickel microwire. The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ene/metal composites are beneficial for supplying the electrical energy to the high-power electronic devices and equipment.

Mechanical Properties Evaluation of GTAW for INCONEL 718 alloy apply to Cryogenic Condition (극저온 환경에 적용되는 INCONEL 718합금의 GTAW 기계적 특성 평가)

  • Kim, Ki-Hong;Moon, In-Sang;Rhee, Byung-Ho;Lee,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619-622
    • /
    • 2009
  • INCONEL 718합금은 상온, 고온 및 저온환경에서 기계적 특성이 아주 우수하다. 상온에서의 모재 강도는 약 900MPa이며, 열처리 후 시효경화처리에 의해 강도가 약 1300MPa까지 증가한다. 이러한 INCONEL 718합금의 기계적 특성은 시험결과에서도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GTAW 용접부의 상온 기계적 특성도 모재보다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온에서의 기계적 특성은 모든 시험조건에서 상온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열처리 모재시편과 용접시편은 1400MPa에 달하는 고강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INCONEL 718합금의 저온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을 증명하였고, 용접성 또한 모재의 특성과 같이 상온 및 저온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INCONEL 718 합금과 STS 316L의 이종접합의 경우에도 $-100^{\circ}C$환경의 인장강도가 상온보다 300MPa 이상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NCONEL 718합금은 $100^{\circ}C$이하부터 일정온도까지는 기계적 특성이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사료되며, 극저온 고압 상태로 공급되는 산화제 배관 제작에 적합한 소재로 판단된다.

  • PDF

골재비축계획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3 s.20
    • /
    • pp.33-36
    • /
    • 1992
  • [ ${\circ}$ ] 건설부는 성수기의 골재 부족 현상과 비수기의 골재생산업체의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골재비축계획을 마련하였음. -골재수요는 건설경기의 계절성으로 인하여 변동폭이 큰 반면 골재공급은 주문생산성 및 비탄력성으로 매년 성수기에 골재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골재생산업체는 비수기의 골재수요 감소로 조업의 중단 또는 단축이 불가피하여 유휴장비${\cdot}$인력의 발생으로 경영의 비효율성 초래 -따라서 비수기의 골재를 비축하므로서 ${\cdot}$ 골재수요를 창출하여 골재생산업체의 유휴장비와 인력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영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cdot}$ 비축골재를 성수기에 방출하여 골재부족현상에서 오는 골재가격의 상승과 부실공사를 방지하고자 함. ${\circ}$ 골재 비축 계획의 주요내용을 보면 -골재 비축자금 : 국민주택기금 100억원(연리 $10{\%}$ -비축자금 대여대상 : 1) 신도시 건설에 참여한 주택건설등록업자 중 현장에 배처플랜트 설치업체 2) 수도권 소재 KS 레미콘 생산업체 3) (주)한국골재산업 -자금대출공고 : ''91. 11. 25${\~}$''91. 11. 30(주택은행) -대상업체 선정 : ''91. 12. 1${\~}$''91. 12. 5(한국주택사업협회, 레미콘 공업협회 및 조합, (주) 한국골재산업이 상호 협의하여 결정) ${\circ}$ 예상 비축량은 매사 1,000천${m^{3}$로 동일조건 일괄공동계약 방식에 의해 12월${\~}$2월에 구매하여 5월${\~}$6월과 10${\~}$11월 성수기에 방출할 예정임.

  • PDF

Emergy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An Uninhabited Island in Korea (무인도서 선갑도의 에머지 환경수용력 평가)

  • Kang,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3 no.1
    • /
    • pp.60-67
    • /
    • 2010
  • For sustainable use of the resources of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their ecological economic potential needs to be fully integrated into their management policy and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islands should be evaluated before using or developing them. The emergy methodology was us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economic value and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which is an uninhabited island in Incheon, Korea. The system boundary for the emergy evaluation of the island included the sea area within 1km from the high tide level, following the management boundary for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stipulated in the Law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Uninhabited Islands. The total renewable emergy input to Sungap-do was $1.04{\times}10^{20}$ sej/yr from tidal energy. The annual ecological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island was evaluated high at 29.9 billion Em₩/yr. If Sungap-do were developed to the national average, its carrying capacity was 6,586 persons at the current living standard of Korea. The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scenario was 2,337 persons at the same living standard as in the developed scenario. When only emergy contribution of the land area was considered, the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sharply decreased to 14 persons for the developed scenario and 5 person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scenario.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including Sungap-do, thus,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he initial stage of utilization or development projects to sustain the ecosystem benefits and their sustainable 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