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의 종류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active noise control ventilation tube (능동 소음 제어 통풍관의 개발)

  • Ha, Sang-Mo;Park, Seung-Kyu;Ahn, Ho-Kyun;Yoon,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815-1816
    • /
    • 2006
  • 소음은 환경 오염원의 하나로서 사람에게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에 소음 제어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하였고, 그 중에서 제어가 까다롭고 고비용을 요구하는 저주파 소음 제어 기술의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주파의 주기적인 특성을 가지는 1차원 평면파 소음에 대한 능동 제어를 위해 기존의 적응 피드포워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적응 피드백 방법을 이용한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능동 소음 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음원과 제어 음원을 가지는 덕트 형상의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제어기 설계를 위해 전파 소음을 예측하는 선형 예측법을 적용한 적응 디지털 필터를 구성하였으며 적응 알고리즘으로 Filtered-X LMS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제어기는 제어 알고리즘을 프로그램화하여 DSP에 입력함으로써 구성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소음은 500[Hz] 이하의 단일 주파수의 정현파 소음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음압 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능동 소음 제어의 기술을 개발하여 하드웨어(덕트)의 모양 및 구조, 제어기의 종류 및 처리 속도, 주파수나 크기와 같은 특성이 급격히 변하는 소음의 경우에 능동적으로 소음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주파 소음을 발생시키는 관형 연소기와 같은 장치 및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Transportation noise annoyance in a simulated environment (가상의 음 재현 환경에서의 교통소음에 대한 주관적 반응)

  • Kim J.;Lim C. W.;Jeong W.;Hong J.;Lee S.;Jeung W.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5-228
    • /
    • 2004
  • 환경소음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음노출지역에 대한 소음 측정 및 사회적 조사(Social Survey)를 토대로 이루어 졌다. 이는 장기간 소음에 노출된 사람에 대한 소음평가의 수단뿐만 아니라 소음관련 법안 제정에 있어서 규제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음에 대한 순간적인 반응 즉, 짧은 순간의 소음노출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방법적 측면(Methodology)에서의 제약으로 인하여 가상의 음 재현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청감반응실험을 할 수밖에 없다. 먼저 항공기, 기차, 자동차 소음의 샘플을 녹음하여 일련의 신호처리 과정을 통하여 청감반응실험에 사용될 음원을 만들고, 청력검사를 통하여 청각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피검자의 데이터는 배제시킨 후 실험을 행하였다. 이러한 청감반응실험을 통하여 소음원의 종류, 성별, 연령, 소음 민감도 등에 따라 소음에 대한 성가심, 불쾌감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Performance Properties of Quiet Pavement (저소음 포장의 공용성 연구)

  • Kim, Wan Sang;Kim, Young Jin;Lee, Suck-Hong;Kim, Jun Hy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9-179
    • /
    • 2011
  • 이동의 편리함과 주행안정성을 주기 위해 개발된 도로가 소음을 발생시켜 운전자 및 소비자의 쾌적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도거리확보 또는 방음벽 등의 소음억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미관을 저해하고 용지사용이 비효율적이어서 외국의 경우 저소음 포장 연구를 통한 근본적은 소음 발생원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도시 개발 등으로 도로건설에 따른 급속한 교통량 증가 및 차량의 고속주행으로 인하여 도시소음의 주요인으로 부각되고 있고 시민들의 높은 생활수준과 소음 환경에 대한 기본생활권 추구 성향이 증대되어 지역 주민의 교통소음 저감 대책 및 보상에 대한 법적 소송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차량 주행 소음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방음벽 설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도시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도로사업의 환경성 강화는 국토해양부의 2009년 주요도로정책 중 하나일 정도로 국가정책의 중요한 지침으로써, 향후 추진되는 신도시 및 단지조성공사 시 도로 환경성과 소음, 진동, 그리고 생태통로에 대한 친환경 도로설계 및 시공 등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교통소음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통소음 발생 요소를 파악하고 신도시 및 단지조성시 주변도로에 친환경적 포장공법 설계기술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단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저소음 포장공법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quantitative analysis of aerodynamic noise by sound sources from a nozzle inflow (노즐 내부 유동 소음원에 의한 공력 소음의 정량적 분석)

  • Kwongi, Lee;Cheolung, Cheong;Kyeonghun, Par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6
    • /
    • pp.698-704
    • /
    • 2022
  • In this paper, the radiated aerodynamic noise generated from sound sources of a nozzle inflow is quantitatively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of externally radiated noise. A high-resolution unsteady compressible Large Eddy Simulation (LES) technique is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internal and external flow of three types of nozzle shape. Through using the vortex sound source for sound sources, the geometry of nozzle neck is identified as most significant aerodynamic noise sources. For valida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vortex sound source intensity of internal nozzle flow is compared with results of external radiated noise of calculation and experiment.

EEG Analysis of Human exposed to interior noise of KTX and Saemaul-ho (KTX 와 새마을호의 실내소음에 노출된 인간의 뇌파 분석)

  • Ryu, S.A.;Jang, Y.S.;Park, K.C.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5
    • /
    • pp.20-25
    • /
    • 2012
  • 오늘날 고속 철도는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행거리 단축을 위해 직선 선로를 만드는 것이 불가피해 졌고 그에 따라 터널과 교량의 구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터널 통과 시에 발생되는 실내 소음은 운행 속도, 운행 구간 레일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야기되어 진다. 실내소음으로 인해 철도를 이용하는 승객의 쾌적한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TX와 새마을호의 터널 통과 시 발생되는 소음이 피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EEG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터널 통과 시 KTX와 새마을호의 실내 소음을 실제로 측정하여 크기, 주파수별로 분석하였다. 측정된 실내 소음을 피험자에게 제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EEG를 측정하였다. EEG의 분석에 대해서는 불안, 긴장 등 스트레스를 받을 때 강하게 나타나는 ${\beta}$파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Railroad Noise and its Impact (철도소음과 그 영향)

  • 강대준;나진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00-109
    • /
    • 1995
  • 철도는 대량수송 및 정시제 운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철도연변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소음공해를 미쳐 정온한 생활환경을 누릴 권리를 침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도소음을 관리하는 기준이나 대책등이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향후 5년 내에는 고속철도의 등장도 확실하지만 기존 재래식 철도에 대한 소음 실태 자료마저 충분치 않아 철도연변의 소음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 수단인 소음 기준 제시를 위해서는 폭넓은 기초 자료확보와 새로운 관련연구가 요청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전기기관차를 중심으로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경인선, 경원선 및 대도시 도심지를 관통하는 호남선 및 경부선 중에서 측정환경이 양호한 22개 지역을 선정하여 기존 철도의 구간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가소음도를 측정하였고 선로의 조건, 열차의 종류 및 속도, 거리권별 등에 따른 개별열차 통행시의 소음특성을 조사하여 철도소음의 기준 설정과 방지대책 강구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열차 통행속도로부터 최고소음도를 추정하여 주변지역의 등가소음도를 산정할 수 잇는 예측식을 도출하여 측정방법 개정에 활용하고, 그리고 선로변에 위치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층별 철도소음 노출도와 열차통과시의 공동주택 실내.외의 소음도를 비교조사하여 벽체 차음 효과를 조사하였고 철도소음에 대한 주민반응 조사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