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의 종류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oise Reduction Problems of Air-Conditioner (에어콘의 소음저감 문제)

  • 김장권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2
    • /
    • pp.171-182
    • /
    • 1993
  • 소음을 현저히 저감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원가상승, 고효율화 및 상품의 외곽크기 콤팩 트(compact)화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Q(품질 : quality), C(가격 : cost), D(납기 : delivery)를 만족하는 기술개발과 상품개발의 노력이 매우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국내 . 외 가전업체에서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심도있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상품 출시도 매우 빠 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글에서는 에어콘 저소음화에 관련한 각종 기술자료 및 논문 들을 토대로 하여 가정용 에어콘에서의 소음발생의 종류 및 각각의 소음발생 원인에 대해 소개 하고, 그 저소음화 대책 기술 동향을 매우 제한된 범위내에서 서술하였다.

  • PDF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현상과 지상시험

  • 김희대
    • Journal of KSNVE
    • /
    • v.7 no.5
    • /
    • pp.725-728
    • /
    • 1997
  • 본 글에서는 위성체가 겪게 되는 여러 가지 환경 중에서도 특히, 발사체가 이륙되어 천이궤도 진입시까지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 현상과, 이와 같은 발사 환경에 의해 위성체설계에 하자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서 지상에서 행해지는 시험의 종류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저소음 도로 표면 개발의 필요성

  • 박철희
    • Journal of KSNVE
    • /
    • v.5 no.2
    • /
    • pp.147-152
    • /
    • 1995
  • 본 글에서는 현재 유럽과 우리나라와 유사한 도로사정을 가진 일본, 홍콩 에서 행해지고 있는 타이어/도로 소음에 관한 연구 실태와 그 자료를 소개함으로써 자동차 자체의 소음뿐 아니라 환경 소음 관절에서 간과할 수 없는, 타이어/도로 소음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를 제시하였다. 본문에서 살펴본 각 국의 노력과는 별도로 유럽 공동체(EC)는 1991년에 타이어/도로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제한 할 수 있는 기준이 1995년 10월 이전에 결정될 수 있다고 발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 표면과 자동차의 종류에 따른 소음 측정 방법에 대한 표준을 연구하기 위하여 ISO내에 ISO/TC 43/SC 1/WG 33라는 그룹이 1991년 설립되었다. 이와 같이 유럽에선 과거부터 행해온 실제도로 표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미래를 내다본 제도적인 측면에 까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바와 같이 다공성 도로 표면에 따른 초기 소음 감소량이 5dB(A) 이상이고 도로 수명이 다함에 따라 그 감소량은 0dB(A)가 된다. 그러나, 이 소음 감소량은 저소음 도로 표면에 대한 연구 동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제 국내에서도 자동차 자체의 소음의 제어나 차음벽의 설치뿐 아니라 조소음 도로 표면에 대한 연구 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resent Condition on Noise Level and Types Including Residents' Living Noise in Apartment Units (아파트의 내부 생활소음레벨 및 소음종류 실태)

  • Choi, Yoon-Jung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8.04a
    • /
    • pp.427-430
    • /
    • 2008
  •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improving the dwelling quality of apartment house as a kind of multi-family hou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 on noise level and types including residents' living noise in apartment units. The method was field survey consisted of field measurements on equivalent noise level, observation on noise type, and interview on residents'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verages of indoor noise levels of subject houses were measured as $43.9{\sim}62.2\;dB(A)_{Leq5min}$, the average of each house except one was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45 dB(A). 2) The noise types observed were mostly residents' living noise and classified as 'water hammer', 'living equipment noise', 'noise by family', 'hood noise', and 'kitchen noise' in own unit, 'walking and talking noise in stairs and corridors', 'noise by neighborhood house', 'noise by the upper story' in building, and outdoor noise. 3) The residents show slightly non-positive responses at 'noise by the upper story', 'noise by neighborhood house', 'water hammer', and 'noise by fami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lan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sound environment quality by residents' living noise in own unit as well as by neighborhood houses.

  • PDF

가전기기의 저진동, 저소음 기술 - 저소음화 기술

  • 임무생
    • 전기의세계
    • /
    • v.44 no.10
    • /
    • pp.23-27
    • /
    • 1995
  • 가전기기의 진동과 소음은 제품의 고품질화에 상당히 저해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이나 소음에 의한 진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 소리를 음이라 하며 음의 발생을 매질의 움직임에 의한 에너지 전달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음은 파동을 가지게 되어 음파(sound wave)로 불리우는 파에 의해 이동되며 이동시 주위의 매질에 압력 파동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목욕탕등에서 나는 소리는 매질의 다른 성질(공기밀도)에 의해 다르게 느껴진다. 일반적으로 음의 주파수라하면 1초동안 음의 고저가 몇번 발생하였는가를 의미하며 사람이 소리로서 느끼는 주파수 범위를 20Hz에서 20kHz로 나타내어 가청 주파수라 한다. 그러나, 소리중에서도 사람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고통까지 유발시키는 원하지 않는 소리가 있는데 이를 소음(noise)이라 부른다. 가전기기의 중요 소음 발생원이 유체소음, 전자기소음, 기계적소음, 연소소음등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저소음기술을 해석하는데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용조건별 설정기준을 정하고 설정기준에 따른 현상소음 lavel보다 약 10dBA보다 낮은 소음 목표치로 설계되어야 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Proximity Noise Measurement Method (CPX) and Roadside Measurement Method (SPB) for Road Traffic Noise (도로교통소음에 대한 근접소음 측정법(CPX)과 통과소음 측정법(SPB)의 상관관계)

  • Yoo, In-K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310-319
    • /
    • 2020
  • Korea estimates the traffic noise by measuring the total traffic noise when the traffic passes (SPB; Statistical Pass-By). Another method (CPX; Close Proximity) directly measures the tire/road noise by installing a microphone near the tire. The CPX method is not a formal test method in Korea.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between CPX and SPB.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estimating SPB, using the CPX, which is easy to measure. This study used the results of a large-scale test conducted b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 and a research paper on CPX in this section. The results by the KEC showed that the low noise pavement has a noise reduction of 10.4dB. In CPX research, the noise reduction was 10.7dB and was similar to 10.4dB in SPB. This study shows why the noise reduction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position, the reason that the amount of noise reduction is similar, the difference of the nois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using the concept of noise summation and distance reduction. This study shows that including the CPX as a variable in the traffic noise prediction program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noise prediction reliability.

A Numerical Study on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Intake Noise in the Reciprocating Engine (엔진 흡기계의 소음발생 및 전파에 관한 수치연구)

  • 김용석;이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0a
    • /
    • pp.65-70
    • /
    • 1996
  • 엔진소음을 소음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공력소음(Aerodynamic Noise), 연소소음(Combustion Noise), 기계적인 소음(Mechanical No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배기계소음(Exhaust System No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배기계소음(Exhaust System Noise), 흡기계소음(Intake System Noise), 냉각계소음(Cooling System Noise), 엔진표면소음(Engine System Noise)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소음중 엔진 내부의 유동에 의한 흡배기계통으로의 소음방출은 자동차 실 내외 소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 그 동안 소음기 등의 서브시스템의 형태와 그 위치조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이 비용 또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질적인 소음원을 규명해 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흡배기계의 소음은 엔진의 흡입, 배기행 정시 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팽창 및 압축파 형태의 압력파(pressure wave)로 발생하게 되고, 밸브근방에서는 유동의 박리(separation)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소음기 등의 서브시스템에서도 유동의 박리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특히 배기행정시 발생하는 압력파는 비선형영역에 있게된다. 흡기소음은 배기에 비해 그 크기가 작아서 그동안 등한시 되어왔으나 이것이 소비자의 불평요인으로 작용하므로써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어야 한다. Bender, Bramer[1]는 흡배기계 소음의 외부 방사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기술하였고 Sierens등[2]은 흡기계에서 1차원 MOC(Method of Characteristics)방법으로 비정상 유동해석을 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J.S.Lamancusa 등[3]은 흡기 소음원을 실험을 통해 예측하였고, 흡기소음도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고 밝혔다. Yositaka Nishio 등[4]은 새로운 흡기실험장치를 고안하여 공명기(resonator)의 위치 변화에 의한 저소음 흡기계를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적용하려 하였다. 일반적으로 흡배기계의 복잡한 형상 때문에 대부분 실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고, 수치해석은 피스톤의 운동을 배제한 단순화한 흡배기계의 정상상태 유동해석이 주를 이루어왔다. Taghaui and Dupont 등[5]은 KIVA코드를 사용하여 흡기포트와 연소실 그리고 밸브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한 수치해석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밸브의 운동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한 이동격자는 격자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 격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서 밸브의 완전개폐를 해석할 수가 없다. 강희정[6]은 단일 실린더와 단일 배기밸브를 갖는 문제로 단순화하여 피스톤과 밸브의 움직임을 고려하므로써 배기행정 후 소음이 어떻게 전파해 나가는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최소밸브간격과 최대밸브간격 사이에서만 계산이 가능하나 흡기의 경우는 밸브가 닫힐 때 생기는 압력파가 중요하므로 실린더와 밸브사이에 벽면조건을 주어 밸브의 개폐를 모사하였다.

  • PDF

Study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Small AC Motor (AC 소형 모터의 소음 특성 연구)

  • 유원희;오상경;이상조;박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47-52
    • /
    • 1991
  • 주거환경을 침해하는 소음의 주된 요인은 가전제품으로서, 대부분의 가전제 품은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전기모터는 가전제 품에 기진력을 주는 한편 공기중으로 소음을 방사함으로서 조용한 주거환경 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조용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확보를 위해서는 가전제 품용 구동모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해야 한다. 모터의 소음 원은 그 모터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약간씩은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크게 기계적 소음, 공기 역학적 소음, 전자기 소음, 열/전기 화학적 소음 등 으로 분류된다. 이들 중 모터의 소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기계적 소음, 공기 역학적 소음, 전자기 소음이며 열/전기 화학적 소음은 매우 작은 편이 다. 또한 공기 역학적 소음은 모터에 팬이 부착될 경우에만 큰 문제가 될 뿐 이며, 팬이 부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계적 소음과 전자기 소음이 주된 소음 원이 된다. 기계적 소음과 전자기 소음은 어느 것이 주된 소음원인지는 일반 적으로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개별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파악해야 한 다. 기계적 소음은 주로 회전자의 불균형 회전에 의한 진동 및 그로 인한 외 부 프레임의 진동으로 대별되며, 전자기 소음은 주로 공급(Air-Gap)에서의 투과파(permeance wave)와 기자력(magneto-motive force)에 의한 반지름 방향의 힘에 의해 주로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소음과 전자기 소음 중 모터 소음에 영향이 큰 소음원을 판별해 내고 모델 실험을 통하여 감소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직사각형 통에 설치된 축류 홴의 소음 특성

  • 최정명;구정호
    • Journal of KSNVE
    • /
    • v.1 no.2
    • /
    • pp.102-106
    • /
    • 1991
  • 최근의 사회적 경제적인 급속한 발전에 따라 환경 소음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람들이 항상 접촉하게 되는 가전 제품 에 대한 소비자의 욕수도 제품의 성능적인면도 물론이지만 소음진동 및 디자인에 대하여도 지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가전 제품에 있어서 주된 소음원은 홴 및 압축기 덮개의 진동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홴은 냉각용, 송풍용으로서 거의 모든 가전제품에 쓰여지고 있다. 냉각용으로 사용되는 형식은 주로 축류 홴이다. 축류 홴은 다른 종류보다 소음이 크기 때문에, 저소음 축류 홴의 BPF(Blade Passing Frequency; 날개 통과 주파수)가 갖는 소음 특성을 연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축류 홴의 날개 갯수를 조절하면 설치된 통내에서의 BPF가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저소음화 대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홴은 그 덮개에 대하여 유량 및 소음에 관한 최적의 위치가 존재하는데, 문이 잠겨 있을 때에는 그 소음 레벨의 편차가 몹시 크게 된다. 한편 날개 갯수, 모터의 회전속도 및 통의 전달 함수 등을 감안하여 날개 통과 주파수(BPF)를 조정하면, 각종 가전 제품의 홴에 의한 방사를 저감시킬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