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시험장치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Performance Test of a Rotor Balancing Machine (회전체 밸런싱 장치의 성능 평가 시험)

  • 이영섭;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65-70
    • /
    • 1992
  • 오래전부터 회전체 질량의 불균형에 의한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전용 밸런싱 장치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1-5]. 그런데 밸런싱 장치는 센서로부터 측정 된 진동 신호를 이용하여 밸런싱을 함으로 밸런싱의 반복성과 정밀도 등에 따라 그 장치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국제 표준기구(ISO)에서도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시험 규격들을 제시, 권장하고 있다[6]. 본 연구 에서는 강성 회전체의 밸런싱을 위해 연구실에서 제작한 탄성 베어링 밸런 싱 장치에 대해 ISO 규격에서 제시하는 성능 평가 시험들을 기초로 회전체 밸런싱과 여러가지 시험을 수행하고 장치의 특징과 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Test Equipment to Measure the Acoustic Stiffness of Resilient Mounts (마운트의 음향강성 측정을 위한 시험장치 개발)

  • 배수룡;정우진;함일배;김두기;이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530-53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마운트의 음향 강성계수를 실험적으로 구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개발된 시험장치를 소개하였으며,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구한 마운트의 음향 강성계수 측정결과를 수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ise reducing device installed on the top of noise barrier for 400km/h class high-speed railroad (400km/h급 고속철도 소음저감용 방음벽 상단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Je Won;Kim, Yonng Chan;Jang, Kang Seok;Hong, Bynng Kook;Eum, Yo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708-71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400km/h 급 고속철도 소음저감용 방음벽 상단장치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장에서의 소음측정을 통한 400km/h 급 고속철도(HEMU) 및 300km/h 급 KTX의 주파수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석적 기법(BEM) 및 시작품 제작을 통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3dB(A) 이상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상단장치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단장치 시작품을 제작하여 옥외시험실에서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고속철도의 주파수특성을 반영한 상단장치 설치 전후의 감음량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Laboratory Test Devic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weight Impact Sound (경량충격음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실용 시험장치 개발)

  • 양수영;홍병국;송화영;김범수;이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5-508
    • /
    • 2004
  • 단열완충재 제품간의 경량충원 저감성능 평가를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실험실용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EVA계열 및 EPPㆍEPS계열의 단열완충재들에 대한 경량충격원 시험에서 제품간의 성능비교가 가능하였으며,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측정과 병행함으로써 제품들간의 우열성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Cavitation and Noise Characteristics of High-Speed Propellers with Geometric Variations (고속 프로펠러의 형상변화에 따른 캐비테이션 및 소음 특성)

  • Jong-Woo Ahn;Young-Ha Park;Il-Sung Moon;Ki-Sup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8 no.3
    • /
    • pp.23-30
    • /
    • 2001
  • The cavitation noise of high-speed propellers was experimentally studied using new measurement device in KRISO cavitation tunnel. A series of cavitation noise tests were carried out for 6 propellers with various sections, loading distributions, and a different area ratio.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noise characteristics for various cavitation patterns and the noise performance for a series of propellers were analyzed. These can be used for full-scale prediction study of the noise and optimum design of high-speed propellers.

  • PDF

Launch Environmental Test for Dual Thrust Module of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다목적 실용위성(KOMPSAT)의 추진 장치(DTM)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

  • 김홍배;문상무;이상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75-80
    • /
    • 1997
  • 1999년 한반도 상공에 발사되어 21세기 한국의 우주 시대를 열어나갈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인 KOMPSAT의 개발이 한국 항공 우주 연구소를 주관 기관으로 국내외의 여러 기업 및 연구기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체의 설계, 제작 및 시험의 국산화 일환으로 국내에서 제작된 이중 추진 장치(Dual Thrust Module)의 발사 환경 시험에 대한 과정 및 결과에 대하여 언급코자 한다. 일반적으로 목표 궤도에서 발사체로부터 분리된 위성체는 자세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저궤도 위성의 경우 궤도상에 존재하는 공기등의 저항으로 인하여 빈번한 궤도수정이 필요하다. DTM은 이러한 궤도수정 업무를 담당하는 중요한 위성체의 부품이다. 그러나, 지상에서 발사시 발사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킬 우려가 있음에 따라, 제작된 DTM은 위성 본체에 장착되기 전 반드시 발사 시와 동일한 환경하에서 고유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 절차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TM의 발사 환경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위성체 및 부품의 시험기술을 축적하여 국내 위성 개발 분야에 기여코자 한다.

  • PDF

Study for Prediction of Contact Forces between Wheel and Rail Using Vibrational Transfer Function of the Scaled Squeal Noise Test Rig (축소 스킬소음 시험장치의 진동전달특성을 이용한 차륜/레일의 접촉력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Junheon;Kim, Jiyong;Ji, Eun;Kim, Daeyong;Kim, Kwa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9 no.1
    • /
    • pp.20-28
    • /
    • 2016
  • Curved squeal noise may result when railway vehicles run on curved tracks. Contact between the wheels and the rails causes a stick-slip phenomenon, which generates squeal noise.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the squeal noise systematically, a scaled test rig has been fabricated. Knowledge of the contact forces between the wheels and the rail rollers is essential for investigating the squeal noise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re contact force. In this study, contact forces have been calculated indirectly according to the modal behavior of the subframe that supports the rail roller and the responses at specific positions of that subframe. In order to verify the estimated contact forces, the displacements at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wheels and rail rollers have been calculated from the estimated forces; the resulting value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measured displacement values. The SPL at the specific location has been calculated using the estimated contact forces and this also has been compared with the SPL, measured in a semi-anechoic chamber. The comparisons in displacements and SPLs show good correlation.

Development of a Helicopter Rotor Test Rig and Measurement of Aeroacoustic Characteristics (헬리콥터 로터 시험장치의 개발 및 공력소음특성의 측정)

  • Rhee, Wook;Choi,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3
    • /
    • pp.10-16
    • /
    • 2004
  • In this paper the ae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helicopter main rotor system is measured by using a pair of scaled rotor blades. A low noise rotor test jig is developed for noise measurement and the rotational speed, thrust and torque are measur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match the aerodynamic conditions with the full scale rotor. The accuracy of the force measurement device was checked through a calibration procedure. The measured thurst and torque with a 1.2m rotor a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analytical prediction and showed that the thrust data at various rotational speed followed the prediction relatively well, but the torque data considered less accurate. It is also found that the background noise level of the test rig is sufficiently low, and the measured noise level from the rotor can be scaled with rotor tip speed. However, the Mach number dependancy and the directivity changes depend on the noise source characteristics.

The Design and Performance test of the Acoustic enclosure for Diesel engine (기관 소음원 차폐장치 설계 및 성능시험)

  • 서종수;전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167-17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차폐구조 내부에 위치한 소음원의 체적이 비교적 큰 근접 음향 차폐구조로 취급하여, 구조 내부의 공간적 음장분포해석(spatial sound distribution analysis)은 하지 않고 단지 소음원의 표면과 차폐 벽면 간의 공기층에 의한 간섭 영향을 고려하면서, 차폐로 인한 음압의 상승(build up)효과를 고려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차폐구조에 부착되는 각각의 벽면들의 음향 삽입손실(Insertion Loss, IL) 특성을 전달매트릭스 기법(Transfer Matrix Analysis, TMA)을 이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벽면들에 대한 이론 해석의 결과로 제작된 벽면들의 음향차폐특성을 시험을 통해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Optimization of Noise Reduction of Auxiliary Power Unit for Military Tracked Vehicle (군용 궤도장비 보조동력장치의 소음저감 최적화 연구)

  • Lee, Ju-Seung;Kim, Byeong-Ho;Kim, B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8
    • /
    • pp.336-342
    • /
    • 2018
  • Noise reduc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auxiliary power unit(APU) of tracking equipments for using military.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tested reduction methods of structure borne noise and airborne source noise at the auxiliary power unit. From the bench test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noise reduction is about 22 dB(A) if the silencer is redesigned, which is the rescue structure. However, the influence of noise reduction by air is insufficient.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noise reduction is excellent when structure borne noise redu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We expected that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to reduce the noise of other tracking equipment developed l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