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유 여부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ffec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md Related-Party Transactions on Firm Value (대주주 소유구조 및 연계거래 여부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Lee, Won-Heu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3 no.1
    • /
    • pp.69-100
    • /
    • 2006
  • We examine the effec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tructure and related-party transactions(hereafter 'RPT') of publicly traded companies on their firm values during the post-IMF period.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control variables such as firm size, capital structure, investment, dividend, profitability and industry dummy that might affect firm values, we find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values proxied by Tobin's Q, and also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RPT and the firm values. Those evidences seem to suppor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expropriation hypothesis. Additionally, we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rim value through the piecewise regression analysis. We find a significant 'inverse' U-shape pattern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values. This resul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teratures that have usually reported an U-shape pattern. In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do not support the notion that the ownership concentration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does negatively affect the firm values monotonically.

  • PDF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owned Banks and Firm Size (정부소유 은행과 거래 기업 규모의 관계)

  • Lee,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4895-4900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Government-ownership of banks on the firm size using South Korean data. The impact of Government ownership of banks as both the largest lender of government banks and the bank loan dependency of firms on government-ownership bank were measured. Empirical models considering endogenous problems and various effects of firm size were developed. All results in this paper showed that government-ownership of the main banks might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smaller firms. In addition, the bank loan dependency of firms on government-ownership banks might have effects on the firm size. A higher loan dependency of firms on government-owned banks resulted in smaller firms. This study used micro firm level data to analyze, from several persp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owned banks and firm size. The existing studies go as far as inferring the effects of government-owned banks showing theoretical evidence, performing surveys, or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 data.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analyzed in a direct manner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owned banks on both the firm size.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privatization of government-owned banks.

Impact of channel cross-section data on flow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하천단면 자료가 유량 및 수질 모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an, Jeong Ho;Lee, Seoro;Gum, Dong Hyuk;Lim, Kyoung Jae;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1-2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WAT 모형을 대상으로 하천 단면 관련 입력변수가 유량 및 수질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상류 충주댐 유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충주댐 유역 내 소유역 중에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국내 하천을 대상으로 구축한 한국형 Reach File(KRF) 내 실측 하천단면 정보가 존재하는 소유역에 대하여 실측 하천단면 정보를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사용자가 구축한 소유역별 하천단면 정보 입력 자료를 통해 수문 및 수질 모의가 가능하도록 기존 SWAT 모형의 엔진 소스코드를 개선하였다. 유역 최종 유출구와 KRF의 실측 하천단면 정보를 적용한 소유역의 유량과 수질(유사량)에 대해서 실측 하천단면 정보 적용 전과 후의 모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유역 최종 유출구에서는 유량 및 유사량 모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체 유역 중 실제 하천단면 정보를 적용한 소유역의 비중이 작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하천단면 정보를 적용한 소유역에서는 유량 및 유사량 모두 적용 전/후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저유량 부분에서의 유사량이 큰 변화를 나타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실측 하천단면 정보를 적용한 소유역은 유량 및 수질관측소가 위치하지 않는 미계측 유역으로써 실제 유량 및 수질 모의 정확도 향상 여부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향후 유량 또는 수질 관측이 이뤄지고 있는 계측 유역을 대상으로 실제 모형 모의 정확도 향상 여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conomic Valuation of Green Open Spaces: The Effects of Homeownership and Residential Types (도시녹지의 경제가치 평가: 소유 여부와 주택유형의 영향)

  • Choi, Andy Sungnok;Cho, Seong-Ho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3
    • /
    • pp.395-433
    • /
    • 2021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ownership and residential types on the economic values of urban green spaces. Green open spaces as public goods provide positive externalities that are comprised of pecuniary and technological externalities. Seoul, South Korea, is used as a case study using choice experiments, with split-sample online respondents of 1,000. The study results evidenced tha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externalities is imperative for equitable provision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various urban open spaces. There is a positively significant and substantial impact of homeownership for apartment dwellers, ceteris paribus, but not for house dwellers. For apartments, the efficiency loss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green spaces up to the critical point where the marginal cost is at equilibrium with tenants' marginal values. For non-apartment houses, it is not homeownership but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menity value. In general, public benefits from green spaces are equivalent to 16% to 33% of the current residential prices on average for a view or access. Different residential types do not caus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cess values. Residential profiles for green spaces were developed, together with tailor-made policy suggestions.

How Does the Concentration of Ownership Impact R&D Investments? Evidence from Korean Pharmaceutical Firms (소유 집중도가 기업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 Han, Kyul;Moon, Seongwuk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2
    • /
    • pp.157-183
    • /
    • 2014
  •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centration of ownership in firms influences the R&D investment decision and whether the type of a firm's management (i.e, the owner-manager or professional manger) different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ship concentration and R&D investments by using data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between 2004 and 2008. The results show that the share of the largest shareholder and R&D investment have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and whether a CEO is an owner or a professional manager affects the curvature of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Specifically, when a firm's CEO is a professional manager and the share of his stock is small, increase in the CEO's share increases the R&D investment in the larger amount than when a firm's CEO is an owner.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ownership reduces agency cost; However, when the share of his stock is large, the increase in CEO's share decreases R&D investment in the larger amount than when a firm's CEO is an owner. This is because a professional manager gets concerned over excessive risk exposure more than an owner-manager does.

The Effect of Ownership Structure on Corporate Performance -Centering around comparison between construction firm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소유구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설업과 제조업 비교를 중심으로-)

  • Kim, Dae-Lyong;Lim, Kee-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579-582
    • /
    • 2011
  • 기업의 소유구조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는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에서 분석되고 논의되어 왔으나, 일반 제조업과는 상이한 업종상 회계상 특성을 가진 건설기업의 경영성과를 소유구조에 따라 구분하고, 그 성과를 일반 제조기업과 비교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의 주요 지분율의 증감과 경영성과와의 동질성여부, 소유구조에 따른 제조기업과 건설기업과의 성과 차이, 건설기업중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자간 성과 관계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지분율의 증가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MTB)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내부 및 외국인의 지분율의 증가는 기업의 효율적 운영과 동질적 상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 및 제조기업에 있어서 주요 지분율의 증감은(내부 지분율, 외국인 지분율, 기관투자자 지분율) 기업 경영성과 측정 지표인 MTB, ROA에 대하여 업종간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설기업에 있어서,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은 전문경영자가 경영하였을 경우가 소유경영자가 경영하였을 때보다 높은 반면 얼마나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였는가를 측정하는 ROA지표는 상이한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였다.

  • PD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Unit Basin on Soil &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Yeongsan River Basin (토양 및 지형학적 특성에 따른 영산강유역의 소유역 분류)

  • Sonn, Yeon-Kyu;Hyun, Byung-Keun;Jung, Suk-Jae;Hur, Seong-Oh;Jung, Kang-Ho;Seo, Myung-Chul;Ha,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46-252
    • /
    • 2007
  • 농업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보전이나 수자원 관리는 유역단위로 하여 농업적 관리뿐만 아니라 수질 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도 유역단위 특히, 소유역의 토양특성을 포괄하는 단위로 체계적으로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남서쪽에 위치한 영산강유역의 50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토양도, 지형도, 하천도 및 유역도를 이용하여 만곡도, 산림의 비율, 평탄지의 비율, 다른 소유역으로부터의 유입이 있는지의 여부 등 토양학적으로 중요한 4개의 특성을 가지고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개의 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 구분의 적합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Mantel test를 한 결과 r = 0.81825로 나타나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와 같이 토양과 지형특성을 포괄하는 소유역의 분류 및 유사성에 따른 그룹화는 농업에서의 최적영농관리나 오염물질에 따른 수질관리, 수문모형의 적용성 확대 및 수자원 관리에 합리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며 체계적 관리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 PDF

기업집단(企業集團)의 금융겸업구조분석(金融兼業構造分析)을 통한 금융산업(金融産業)의 소유구조정책방향(所有構造政策方向) 모색(摸索)

  • Jwa, Seu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4
    • /
    • pp.47-80
    • /
    • 1994
  • 본 연구는 우려나라 기업집단(企業集團)의 비용함수분석(費用函數分析)을 통해 제조업과 금융업간의 기술적 생산조건을 규명함으로써 제조산업(製造産業)과 금융업겸영(金融業兼營)의 효율성여부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금융소유지배규제정책방향(金融所有支配規制政策方向)을 모색하고 있다. 기업집단의 비용함수분석결과에 의하면 비금융제조업(非金融製造業)과 증권업(證卷業)간에는 범위(範圍)의 경제(經濟)(상호효율증진효과(相互效率增進效果))가 있는 반면 제조업(製造業)과 은행업(銀行業)이나 기타금융업과(其他金融業)의 사이에는 그런 관계가 부재(不在)하며, 우리나라 기업집단(企業集團)들은 평균적으로 규모가 과대하여 비효율(非效率)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 경제(經濟)의 개방화(開放化)와 금융자율화(金融自律化) 그리고 세계경제(世界經濟)의 통합화(統合化)가 진전됨에 따라서 제조업(製造業)과 증권업(證卷業)의 겸영(兼營)및 소유지배관계(所有支配關係)는 지속강화(持續强化)되겠지만 제조업(製造業)과 은행업(銀行業)과의 관계는 오히려 그 연계(連繫)가 약화(弱化)되며, 기업집단(企業集團)의 평균규모도 축소조정(縮小調整)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금융소유규제정책(金融所有規制政策)은, 우선은 은행업과 제조업간의 소유지배를 허용하든 금지하든 어느 경우나 뚜렷한 자원배분(資源配分)의 왜곡(歪曲)이나 효율증진효과(效率增進效果)가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정부가 특정 소유구조를 강제하기보다는 은행(銀行)이나 기업(企業)들이 자체판단(自體判斷)에 의해 최적소유구조(最適所有構造)를 결정(決定)하도록 하되, 특정 소유지배관계(所有支配關係)의 형성이 금융산업 및 경제내에 경쟁저해적(競爭沮害的) 효과(效果)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경쟁정책적(競爭政策的)차원에서 접근(接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소유집중(所有集中)에 따른 은행(銀行)의 안전(安全) 건전성(健全性) 저해효과(沮害效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동일인(同一人) 여신한도(與信限度)의 엄격한 운용(運用) 등 건전감독기능(健全監督機能)을 보강해야 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Parents' Homeownership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Its Offspring (부모의 자가가 자녀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Ju Young;Kim, Jin
    • Korea Real Estate Review
    • /
    • v.28 no.3
    • /
    • pp.7-19
    • /
    • 2018
  • Prior studies concerning the analysis of parents' homeownership on its offspring usually focus on the transmission of tenure between two generations. This study adopted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on this topic so the effects of parents' homeownership were analyzed through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ir sons. Korean labor panel data were used to test hypotheses 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s' homeownership. The period covered years 2000 to 2014, consisting of about 862 samples, while many socioeconomic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a filter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three hypotheses showed the following consequences. First, parents' homeownership was a meaningful factor in determining their son's housing tenure. Second, parents who are homeowners tended to have more educated sons. Third, parents' homeownership did not affect their son's annual income. This study showed more extensive effects of homeownership, and government strategy must consider this additional benefit in homeownership policies.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n Firm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wnership Concentration (기업지배구조가 한국기업들의 국제화수준에 미치는 영향: 소유지분 집중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Yang, Young-Soo;Park, Young-Ryeol;Lee, Jae-Eu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7 no.4
    • /
    • pp.23-42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n firms. Using the data from 454 Korean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Fge (KSE) from 1999-2006, we analyzed the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n firms, including Chaebols (Korean business groups) and family firm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centration of ownership on internation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 Chaebols and family firms and internationalization. Interestingly, the influence of ownership concentration overpowered the ambivalent behaviors of Chaebols, leading to less internationalization. We conclude that corporate governance in Chaebols and family firms is important to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