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유구조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apital Structure on Corporate Diversification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상호관계가 기업다각화에 미치는 영향)

  • Kim, Byoung-Gon;Park, S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2
    • /
    • pp.57-7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34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상호관계가 기업다각화에 미치는 영향을 2단계 최소자승법(2SL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기업의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996년부터 1999년까지의 전기간 분석에서 우리나라 기업은 소유구조와 자본구조 정책을 서로 연계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MF 경제위기 전후기간으로 구분하여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IMF 이전기간에는 소유구조와 자본구조가 상호의존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IMF 이후기간에는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상호영향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내부자는 부채사용에 따른 재무위험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레버리지 비율이 높으면 내부지분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부지분율이 높으면 내부자는 자신이 부담해야 하는 재무위험을 줄이기 위해 레버리지 비율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상호관계가 기업다각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상호관계가 기업다각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PO기업의 소유구조와 기업가치

  • Hwang, D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7 no.1
    • /
    • pp.99-118
    • /
    • 2001
  • 일반적으로 기업공개는 소유구조를 분산시키며, 소유구조의 분산은 경영자의 유인에 변화를 가져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공개후 IPO 기업의 가치가 상장전년도와 비교해서 하락하는지를 검증해보고, 가치의 하락이 소유구조의 분산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검증 결과 공개후 기업의 소유구조가 분산되었으며, 가치가 유의적으로 하락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가치의 하락이 소유구조의 분산과는 별다른 관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미국의 기업가치에 대한 부채와 기업 소유구조의 영향에 관한 소고

  • 김종권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325-337
    • /
    • 2005
  • 기존의 논문들은 단순히 기업가치(firm value)가 부채(debt)에 의한 요인들(determinants)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보았으며, 기업의 소유구조(managerial ownership)와 기업가치는 별개(exogenous)로 간주하여 왔다. 이 번 논문에서는 기업 가치를 좌우하는 요인들에 부채 이외에 기업의 소유구조를 내생변수(joint endogenous)로 추정하고, 통계방법으로는 수단변수를 사용하여 GMM(generalized method of moments)를 통하여 추정하기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는 부채와 기업 소유구조 사이에 밀접한 상호작용(interrelated)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부채와 기업의 소유구조를 내생화시킴으로써 이번 연구에서는 부채가 기업가치에 약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의 소유구조는 기업 가치에 강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부채와 기업가치의 약한 부정적인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Shea(1997)과 Hahn and Hausman(1999)이 있다. 또한, 기업가치는 시장점유율(market power)과 주가(treasury stock)와 양(+)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Modeling Network Market Structure Uuder Imperfect Information Considering Regulation (불완전 정보 하에서 규제를 고려한 네트워크 산업의 시장구조 모델링에 관한 연구)

  • 이용길;김태유;김연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64-482
    • /
    • 2000
  • 이 논문은 상류복점, 하류복점의 시장구조에서 네트워크산업의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되고 있는 규제와 불완전정보를 고려하여 네트워크산업의 시장구조에 대하여 모델링을 시도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고려하고 있는 시장구조는 독립적 소유구조(Independent Ownership), 부분적 수직결합구조(Partial Vertical Integration), 평행적 수직결합구조(Parallel Vertical Integration)로서 각 시장구조별로 가격, 공급량, 이윤, 불완전 정보로 발생하는 오인보고량(Misreport)의 크기를 따져보고 있다. 공급량, 총이윤은 평행적 수직결합구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 부분적 수직결합구조, 독립적 소유구조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과 오인보고량의 크기는 독립적 소유구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 부분적 수직결합구조, 독립적 소유구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규제와 다른 변수와의 관계를 고려하고 있는데, 규제당국의 규제능력이 향상할수록 서비스의 가격과 오인보고량의 크기가 떨어지고 망소유 기업의 이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총 공급량과 서비스만 제공하는 기업의 이윤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규제와 다른 기업의 보완전 구성요소의 사용량의 관계에 있어서는 규제당국의 규제수준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부분적 수직결함구조와 평행적 수직결합구조에서 보완적 구성요소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규제수준이 향상될수록 이 사용량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이 논문만의 독특한 결론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재벌기업의 소유구조 결정요인

  • Jeong, Gyun-Hwa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339-368
    • /
    • 1998
  • 우리나라 재벌기업은 소유집중에 의한 소유경영과 비관련사업다각화를 경영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정부는 경제력집중의 완화와 재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공정거래법 등을 통하여 소유분산과 업종전문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부의 재벌정책에 방향을 제시코자 재벌기업의 기업지배형태를 고찰하고 30대 재벌기업의 1997년 자료를 이용하여 그룹차원과 개별기업차원으로 나누어 재벌기업의 소유구조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룹차원에서 소유구조결정요인은 상장비중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요인이 식별되지 않아 그룹차원에서는 대주주가 지분관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기업차원에서는, 먼저 대주주의 총지분은 개별기업의 특성과는 거의 무관하게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의 지분은 상장후 경과년수 및 기업규모와 부의 유의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법인지분은 기업규모와는 무관하나 상장후 경과년수와는 오히려 정의 유의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주력기업에 대하여는 대주주가 개인지분을 높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음도 드러났다. 또한 총지분을 종속변수로 사용한 경우의 모형의 설명력이 개인지분이나 법인지분을 종속변수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나 향후의 소유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종속변수로서 총지분을 사용하고자 하려면 면밀한 사전분석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 PDF

The Structure of Corporate Ownership and the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기업의 소유구조와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 Choi, Jong-Yoo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8 no.1
    • /
    • pp.19-41
    • /
    • 2005
  • The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to investors may be used as a measure of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ownership structure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both of two variables, the reliability of earnings reflect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and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information sources. Earnings manipulation may mi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ccounting earnings and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alternative information sources decrease the value of accounting earnings as an information. Thus ownership structure could influence the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This paper classifies ownership into three categories, management or inside ownership, institutional investors and large outside blockholders, and diffuse outside ownership and examines theoretically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effectiveness under each ownership structure. The earnings manipulation hypothesis supports the assertion that the separation of ownership from control motivates earnings manipulation. And differential information hypothesis suggests that more non-accounting information of firms with institutional or concentrated outside ownership is provided. Outside blockholders have alternative information sources that make accounting manipulation ineffective. While most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 of ownership on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from earnings manipulation hypothesis, this study is motivated by both earnings manipulation hypothesis and differential information hypothesis.

  • PDF

Managerial Ownership and Debt Choice (경영자 소유구조와 부채선택)

  • Choi, Jeong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177-188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how managerial ownership structure affects the borrower's choice of private versus public debt using 2,608 firm-year data for 2006-2008.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structure and debt choice. Managerial ownership is measured using number of stocks and unexercised stock-options and debt is classified public and private debt. The results find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private debt dependence and also find that when firms finance additional funds, higher managerial ownership leads managers to choose private debt not public debt. Since private debt can be classified into bank debt and non bank deb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a choice of bank debt. The results indicate that managers with higher ownership are more likely to use bank debt over public debt and non bank debt.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a debt choice, this paper has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managerial ownership affects the choice of the source of financing using three different proxies of managerial ownership. Second, this study classified private debt into bank debt and non-bank debt and provide the evidence of preference toward private debt especially bank debt among other financing sources. Finally, there are extensive studies related to capital structure and managerial ownership, but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the debt choice and managerial ownership. Thus, this paper adds to literature by exploring the effects of managerial ownership on a debt choice.

The Effect of Ownership Structure on Corporate Performance -Centering around comparison between construction firm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소유구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설업과 제조업 비교를 중심으로-)

  • Kim, Dae-Lyong;Lim, Kee-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579-582
    • /
    • 2011
  • 기업의 소유구조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는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에서 분석되고 논의되어 왔으나, 일반 제조업과는 상이한 업종상 회계상 특성을 가진 건설기업의 경영성과를 소유구조에 따라 구분하고, 그 성과를 일반 제조기업과 비교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의 주요 지분율의 증감과 경영성과와의 동질성여부, 소유구조에 따른 제조기업과 건설기업과의 성과 차이, 건설기업중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자간 성과 관계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지분율의 증가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MTB)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내부 및 외국인의 지분율의 증가는 기업의 효율적 운영과 동질적 상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 및 제조기업에 있어서 주요 지분율의 증감은(내부 지분율, 외국인 지분율, 기관투자자 지분율) 기업 경영성과 측정 지표인 MTB, ROA에 대하여 업종간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설기업에 있어서,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은 전문경영자가 경영하였을 경우가 소유경영자가 경영하였을 때보다 높은 반면 얼마나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였는가를 측정하는 ROA지표는 상이한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s of Broadcast Journalists' Perception on Work Autonomy by Ownership and Revenue Structure (방송사의 소유와 재원 구조 차이에 따른 기자의 자율성 인식 비교 : 자원의존이론을 중심으로)

  • Pae, Jung K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148-159
    • /
    • 2018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influence of ownership structure(public/private) and revenue structure (high dependency on advertisement/low dependency on advertisement) of broadcasting companies upon journalists' perceptions regarding the degree of freedom in news reporting, the factors that limit freedom of press, satisfaction with the work autunomy and satisfaction with company's policies of news reporting and editing in light of resource dependency theory.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ownership structure and revenue structure of broadcasting companies influenced the journalists' perception regarding the degree of freedom in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It was also confirmed that only the revenue structure affect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work autonomy whil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s policies on editing and programing was influenced by the ownership structure. The perception of the factors that limit the freedom of press was found to be influenced only by the ownership structure, as did the satisfaction with policies on editing and programing. These results are very significant as they show that the level of dependence on advertising revenue affects journalists' news reporting, and that journalists of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are influenced by the dependence on government or other political powers as well as on advertising revenue.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and Outside Directors) and Firm Value in KOSDAQ (코스닥 상장법인의 소유구조 및 사외이사와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 분석)

  • Park, Bum-J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4 no.4
    • /
    • pp.45-73
    • /
    • 2007
  •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relation to effects of ownership structure on firm value, there i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major(and foreign) shareholder's holdings and firm value. So the results(the compromise hypothesis) by prior researches(Morck et al. 1988 and so forth) is supported. However Institutional shareholder's holdings do not show the significant results. Second, In relation to effects of outside directors on firm value, equally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es(Vafeas 2000, Choi et al. 2004), the higher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in the board, the higher firm value. Also there i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outside directors ratio and firm value. Furthermor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outside directors election in the board, the higher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value. As the economic importance of KOSDAQ is more increase, the researches of KOSDAQ should be more realiz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