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외 학생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rtual Space Design Using the Blended Education Method - A La Carte Model Based on the Creation of Infographic - (블렌디드 교육방식을 활용한 가상공간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알 라 카르테 모델 (A La Carte) 인포그래픽 가상공간 제작을 중심으로-)

  • Cho, Hyun Ky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279-284
    • /
    • 2022
  • As a study of the blended learning method on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 would like to propose that more advanced learner-led customized design education is possible. Understanding in face-to-face classes and advantages in non-face-to-face classes can be supplemented in an appropriate way in remote classes.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echnology can provide personalized and subdivided learning materials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tailored to learners' levels and interests based on quantified data in design classes. In this paper, it was propos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class by applying a method that exceed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proposal of the A La Carte model (A La Carte). It is a remote class that can be heard anytime, anywhere, and it is also possible to bridge the educational quality and educational gap provided to students living in underprivileged areas. As the goal of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type future talents, it is changing with a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speed. It is necessary to adapt to the change in learning methods in line with this. An analysis of the infographic virtual spac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the A La Carte model (A La Carte) proposal was presented. Rather than simply acquiring knowledge, it is expected that knowledge can be sorted, distinguished, learned, and easily reborn with its own knowledge.

A Christi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Christian school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 Sungsoo Hong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72
    • /
    • pp.273-291
    • /
    • 2022
  • The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great development to the whole human history by the improvement of productive capacity. However, high speed development absorbed just on growth gave rise to resource depletion attack and economical inequality. If it might be neglected human society will meet unsustainable development situation. So UN has made effort to make sustainable development(SD) through global band together. SD concept considers it important to promote current development not giving damage to next generation's development. Then economy, environment and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harmonized and it demands governance for its actualization. SD gets to be a matter of common interest in education. New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ake African poor countries that are in blind spots of development advance toward gradual sustainable development by supporting programmes to these countries. Thu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SDE) is for future. It has an aim to give suitable education for all people who are all over the world. SDE tries to make health society and successful economical life for all. The concept of SD is found in the essential aims of Christian school and Christian education seeking justice and shalom. Christians are called as transformers for servant mission giving recover in corrupt world. Firstly, Christian school practise this mission making students think on Christian perspectives. Then it makes students serve for environment, economical fairness, social integration with servant mission. Also Christian school has a mission to seek both justice and shalom as a praxis beyond the intellectual dimension of education until fulfilling justice and shalom for all who are all over the world. Thus it can be that Christian school is an importa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realiz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at it is always to seek justice and shalom through restoration on th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Rsearch Trends of Papers in th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한국치위생과학회지 게재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 Lee, Sun-Mi;Ahn, Se-Youn;Han, Hwa-Jin;Han, Ji-Youn;Lee, Chun-Sun;Kim, Chang-Hee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1
    • /
    • pp.67-73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548 pieces of these, which we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of having been published from 2001 to Vol. 12, No. 6 in 2012. In conclusion, as for analysis of research design, first, it was the largest in cross sectional research.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of survey theses were higher in order of dental hygienist and dental hygiene student. Third, number of thesis authors was the largest in order of two persons and three persons. Fourth, statistical method was in order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earch theme was in order of dental health behavioral science and clinical dental hygiene. Fifth, as for research-expense benefit, only 17.7% was supported research fun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should be a research on thesis of diverse designs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of being performed actively a research on alienated classer or special subjects as well as a research on activity related to dental hygiene.

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 OF BULLYING & VICTIMIZED SCHOOL CHILDRENS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

  • Jhin, Hea-Kyung;Kim, Jong-Won;Choi, 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2 no.1
    • /
    • pp.94-102
    • /
    • 2001
  • Bullying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Bullying, which is defined as a phenomenon that one particular student is intensively and continuously harassed or ostracized by a group of students, is apt to produce harmful effects on bullies as well as victims. Bullying has many causes including those originated from the personality of victims and bull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trait between victims, bullies, victims/bullies, and nei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115 male and 100 female) 6th-grade students in the primary school in Seoul. Questionna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nd their carers. The student carers were also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for a survey called the Korean Personality Invertory for Children(KPI-C). SPS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information;ANOVA, post hoc scheff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sted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victims, bullies, victims/bullies and neither totaled respectively 11(5.1%), 56(26.0%), 11(5.1%) and 137(63.7%). 115 were male and 100 were female. 2) The frequency of victimized is as follows:1 time is 15(7.0%), 2 times is 4(1.9%) and more than 3 times is 3(1.4%). The frequency of bullying is as follows;1 time is 40(18.6%), 2 times is 17 (7.9%) and more than 3 times is 10(4.7%). 3) The differences between froups in KPI-C test is as follows. (1) The ESR(p=.00)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ctims group than in the neither group and the HPR(p=.00) scale and PSY(p<.01)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2) The ESR(p=.00)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ctims/bullies group than in the neither group and the SOM(p=.00) scale and HPR(p=.00)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aer than in the latter. (3) The SOC(p=.00) scale, PSY(p<.01) scale and AUT(p=.00)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ctims group than in the bullies group. (4) There i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bullies group and the neither group. To conclusion, Victims need to learn how to cope with harsh situations, or they will have to fac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Even after they experience bullying, they may not realize why they have been bullied, or speak out for themselves.

  • PDF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County Extension Committees (군 농촌지도위원회의 효율적 운영 방안)

  • Martens, Daniel C.;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6 no.2
    • /
    • pp.75-84
    • /
    • 1999
  • Minnesota state law requires County Extension Committees (CECs). The County Board of Commissioners appoints committee members. Extension Educators are responsible for using CECs to assure the value of Extension work in the County. This paper will explore underlying values, principles and practices that can effect the utilization of CECs in ways that benefit the work of Extension and make the process a good experience for CEC members and Extension Educator. The paper is based primarily on readings in the Journal of Extension, interviews with two Extension Educator,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Service for CEC members.

  • PDF

Funds of Knowledge and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Hybrid Space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cus on 7th grade Biology (과학 수업의 혼성공간에서 드러나는 중학생의 지식자본 및 교수학습 특성: 7학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Lee, Minjoo;Kim, Heui-Ba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8
    • /
    • pp.731-744
    • /
    • 2014
  • Extracting students' own culture and resources as main sources in science class, we begin a research 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s that are more responsive to adolescents.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explore the funds of knowledge that students bring into middle school science class. It also focused on the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s that stimulated the autonomous inflow of students' funds of knowledge as resources of science learning.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7th grade stud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We found that students' funds of knowledge were formed from their family life, neighbor communities, peer group, and pop culture. The funds of knowledge based on peer culture emerged as the most salient factor of students' enhanced participation and utterance. Common features of classes that stimulated the inflow of funds of knowledge were analyzed to be: (1) hybrid spaces for learning designed in advance: (2) sharing and enlargement of the funds of knowledge that has been brought into the class: and (3) common orientation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for knowledge co-construction and shared outcomes.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students' potential resources to actual sources of science class. It also discussed students'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specifically among the generally marginalized students.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funds of knowledge of students offer an increased possibility of knowledge co-construction through the hybridized interactions of student's everyday lives and science knowledge and lead to mor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