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수 잔존치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전방 임플란트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이용한 전악 보철 치료의 3년 경과 관찰 증례 (Three-year follow-up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nterior implant surveyed bridges and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 길기성;이효경;김경아;이정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8-226
    • /
    • 2018
  •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소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인 위치에 식립하여 추가적인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를 제작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치료한 여러 증례와 임상가이드라인을 보면 후방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구치부의 심한 치조골 흡수나 해부학적 이유로 외과적 수술(상악동거상술, 골 이식술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후방의 무치악 부위는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되, 소수의 치아가 잔존하는 전방 무치악 부위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여 지대주로 활용하는 치료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구치부 치아의 상실과 잔존치열에 중등도 이상의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 대한 증례로 상악 전방부에 3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잔존하는 상악 전치부 자연치와 더불어 각각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상악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그와 함께 손상된 하악 자연치는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수복하였다. 이로써 감소된 수직고경 및 붕괴된 교합평면을 회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지속적인 경과관찰 중이다. 본 증례를 통해 전방부 임플란트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에 의한 보철치료 증례의 3년 경과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McLean의 기능 인상법에 기반한 새로운 인상채득법 (An alternative impression technique based on McLean's functional impression concept)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2-37
    • /
    • 2017
  • 본 증례에서는 소수 잔존치를 가진 환자에 있어 새로운 인상 채득법을 이용해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McLean의 기능인상법의 개념에 따라 임시 의치를 이용한 기능 인상채득 후에 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로 overimpression을 채득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모델링 컴파운드를 사용한 변연 형성의 필요성이 없으며, 짧은 시간에 과연장되지 않은 의치 인상을 채득할 수 있으며 개인 트레이가 정확하게 적합된다는 유용성이 있다.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을 이용한 후방연장 국소의치 수복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nterior Implant Prostheses: Case Report)

  • 나현준;강동완;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437-447
    • /
    • 2011
  • 오랜 기간 국소의치를 장착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치아가 결손된 부위는 점진적인 치조골의 흡수가 발생되는 반면, 잔존 지대치 부위는 치조골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차후 잔존 지대치를 상실한 후에도 치아 상실의 시점에 따라 수직적인 골 높이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체 치아 발거 후 상하악 악간 거리가 좌우측 또는 전후방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이나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제작 시 여러 가지 보철적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구치부 결손으로 인해 오랫동안 국소의치를 사용했던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잔존 치조골의 높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로서 잔존 치조골 량이 많아 악간거리가 짧은 전치부는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오랫동안 치조골의 흡수로 인해 악간거리가 긴 구치부는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본 증례에서의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는 부가적인 수술이 없이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환자에게 기존 보철물의 양식과 유사한 보철물을 제공함으로서 경제적이고 편안한 치료결과를 보여주었다.

엇갈린 교합에서 implant와 magnetic attachment를 이용한 국소의치 증례 (Implant supported removable dental prosthesis with magnetic attachment in crossed occlusion: A case report)

  • 이유진;이성복;이석원;박수정;안수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3-60
    • /
    • 2017
  •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위한 보철 계획을 수립할 때, 잔존하는 치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대합이 상실된 소수의 잔존치가 불안정한 교합을 야기하는 엇갈린 교합의 경우, 대합 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지지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발치 후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의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악 잔존치에 대응하는 하악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유지장치(magnetic attachment)를 연결하는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악 전치의 돌출과 하악 입술 지지도가 부족한 것을 개선하고 싶어한 환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상악 전치부 보철적 수복 및 하악 의치를 통해 심미적 안모를 회복하였다. 5개월 정기검진 결과,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하였고 의치의 안정성 또한 잘 유지되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의 가철성 보철을 이용한 전악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A case report)

  • 최유라;강정경;김나홍;장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8-45
    • /
    • 2017
  • 엇갈린 교합을 가진 가철성 국소의치에서는 하중시 의치의 다양한 움직임과 불리한 안정으로 인해 환자의 만족감을 얻는 것이 어렵다. 편측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는 안정적인 양측성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임플란트 식립 또는 잔존치근을 이용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증례에서는 고혈압, 협심증, 고령 등의 전신질환을 고려하여 가철성 국소의치를 치료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엇갈린 교합으로 인해 수직고경이 상실된 환자에게 수직고경을 회복해 주기 위해서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며, 근신경계에 대한 적응을 파악해야만 수직고경을 회복해 줄 수 있다.

다수치아를 상실한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Locator^{(R)}$ attachment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using single implant supported with $Locator^{(R)}$ attachment in a crossed occlusion patient: a case report)

  • 신운철;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3-118
    • /
    • 2013
  • 다수 잔존치를 상실한 경우 잔존치간의 관계가 역학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환자가 의치에 관한 거부감이 없을 때, 이러한 경우 피개의치를 고려할 수 있지만,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이용함으로써 역학적인 불리함을 극복하고 국소의치의 지지, 안정, 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증례는 소수 잔존치간에 엇갈린 교합을 보이는 환자로 상악 치아에 대합되는 하악의 무치악 부위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Locator^{(R)}$ attachment를 연결하여 상하악 국소의치로 치료하였다. 기존의 기울어진 교합평면을 이상적으로 재설정하여 환자의 심미적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치료 이후 6개월간의 임상 관찰에서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A conversion to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failed fixed implant prosthesis of mandible: A case report)

  •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61-168
    • /
    • 2020
  •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실패는 과도한 교합스트레스와 같은 생역학적인 요인과 세균 감염, 염증과 같은 생물학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임플란트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악화되어 심한 골흡수가 일어난 임플란트는 제거되어야 하며, 제거 후 잔존 치아와 잔존 임플란트 및 잔존 치조제를 고려하여 새로운 치료를 계획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무치악부에 약 10년 전 식립한 하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중 일부를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하여 제거하게 되었다. 추가 임플란트 재식립을 위한 잔존 치조골의 상태를 재평가 하고 소수의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지대치로 하는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최종 치료하였다. 이를 통해 실패 이후 저작기능을 다시 회복하고 구강위생 관리에 유리한 조건으로 전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와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부분 피개의치 수복 증례 보고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Milled-Bar and Attachment in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정윤수;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12-41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의 구강회복을 위해서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크게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과 가철성 임플란트 보철물로 나뉠 수 있으며, 골 흡수가 심한 환자의 경우 심미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 가철성 임플란트 보철물이 치료 옵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소수의 임플란트에 Milled-bar와 부가적인 유지장치를 이용한 보철물 제작 시, 임플란트 고정체 간의 연결고정 효과 및 의치의 유지력과 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의치상을 통한 구순 지지를 통해 심미적인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골의 심한 골 흡수를 동반한 소수의 잔존치를 갖는 부분 무치악 환자로 전치부 및 소구치부위에 임플란트를 3개 식립 후 캐드캠을 이용하여 제작된 Milled-bar와 ADD-TOC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부분 피개의치로 치료하였다. 그 결과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clasp 제거 및 의치상을 이용한 구순 지지를 통해 심미성을 높였으며, Milled-bar를 통한 교합력 지지와 의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환자의 이물감 해소를 위해 구개부 피개량을 줄인 금속 구조물의 피개의치를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소수 잔존치를 가진 상악에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치료 증례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 few remaining maxillary teeth and locator bar system: A case report)

  • 김성종;배은빈;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8호
    • /
    • pp.528-536
    • /
    • 2017
  • Treatment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effective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ho are unable to obtain sufficient retention and stability for functional and esthetic restoration. There are several cases reporting the improvement of retention and stability of the partial denture using a small number of implants.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the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 small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the bar locator system. The bar locator system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ould compensate the angle of insertion of removable prosthesis on implant with inconsistent placement angle due to anatomical constraints compared to when using the locator only.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patient with $Parkinson^{\circ}$Øs disease who was treated with the Locator bar system using two previously placed implants and two remaining teeth on maxilla. No additional implants could be placed because of the medical and economic condition of the patients, and the angle of one of two implants could not be matched with the direction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insertion. Considering the angle of the implant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implant-assisted RPD using the Locator bar system and had satisfactory results in the aspect of esthetics, masticatory function, and oral hygiene maintenance.

  • PDF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간장의 발효미생물(醱酵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제2보(第二報))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간장의 담금중(中)에 있어서의 발효미생물군(醱酵微生物群)의 소장(消長)에 관(關)한 연구(硏究)-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 이우진;조덕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37-148
    • /
    • 1971
  •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메주를 전국(全國) 5개도(個道)에서 수집(收集)하여 메주 표면부분(表面部分), 내부부분(內部部分), 재래식(在來式) 메주 및 일본식(日本式) 방법(方法)을 도입(導入)한 개량식(改良式) 메주로 간장을 담그어 담금 중의 미생물(微生物) 소장(消長)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하고 이들 미생물(微生物)의 flora에 영향(影響)을 주는 pH, 총산(總酸), 식염농도(食鹽濃度), 총질소(總窒素)를 조사(調査)하였다. 아울러 한국전성(韓國全城) 14개(個) 지방(地方)에서 현재(現在) 식용중(食用中)인 재래식(在來式) 간장을 수집(收集)하여 microflora 및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을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간장의 주발효미생물군(主醱酵微生物群)을 구명(究明)한 결과 호기성(好氣性) 세균군(細菌群)은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pumilus 유산균군(乳酸菌群)은 Pediococcus halophilus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그리고 효모군(酵母群)은 Rhodotorula flava, Torulopsis datila 및 Saccaromyces rouxii이었다. 2.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간장, 담금 중의 발효미생물(醱酵微生物)의 소장(消長)은 먼저 호기성(好氣性) 세균(細菌)이 담근후 2주(週)까지 증가(增加)하고 다음 호기성(好氣性)이 3주(週)쯤에 최고(最高)의 증식(增殖)을 보여 유균(乳菌) 등(等)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을 높이고 pH를 5,4부근(附近)으로 강하(降下)시킨 다음에 효모(酵母)가 증식(增殖)하기 시작(始作)하여 발효(醱酵)에 참여하고 있다. 유산균(乳酸菌)은 생산(生酸)에 의(依)해 자신(自身)과 호기성(好氣性) 細菌)과 생육(生育)을 조해(阻害)하고 있으며 담금 2개월(個月) 후(後)엔 모든 발효미생물(醱酵微生物)이 감퇴기(減退期) 내지(乃至) 사감기(死減期)에 접어들고 달인 뒤에는 대부분(大部分) 사감(死減)하고 소수(少數) Bacillus sp.만이 잔존(殘存)하나 담금액(液)의 조성(組成)에 따라 효모(酵母)와 유산균(乳酸菌)이 극소수(極少數) 잔존(殘存)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3. 담금중의 microflora에 영향(影響)을 주는 성분(成分)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바 간장의 전(全)담금 기간(其間)을 통(通)하여 총산(總酸), 식염농도(食鹽濃度) 및 총질소(總窒素)는 점차 증가(增加)하고 있으며 pH는 약(約) 4.5 정도(程度)까지 강하(降下)하고 있다. 4. Microflora는 주(主)로 식염농도(食鹽濃度)와 pH에 지배(支配)되는 것 같았다. 호기성세균(好氣性細菌)은 포자(胞子)의 형성(形成)으로 가장 생존력(生存力)이 강(强)한 것 같으며 유산균(乳酸菌)은 식염농도(食鹽濃度) $23{\sim}26%$, pH 4.8에서 생육(生育)이 조해(阻害)되었으며 효모(酵母)는 담금액(液)의 pH가 5.4 이하(以下)에서 비로소 발육(發育)을 시작(始作)하였고 pH $4.5{\sim}4.7$에서의 한계식염농도(限界食鹽濃度)는 26% 전후(前後)로 보였다. 5.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간장 재활과정중(製活過程中)의 지징(持徵)인 장시간(長時間)의 장달이기는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에서 보면 살균(殺菌) 단백질(蛋白質)의 응고(凝固) 식염(食鹽) 및 기지(基地) 성분(成分)의 농축(濃縮) 등(等)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效果的)인 방법(方法)이라는 것이 명백(明白)하다. 달인 후(後)의 간장의 숙성(熟成)은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화학적(化學的) 숙성(熟成)이 주(主)가 되는 것이라고 인정(認定)되었다. 6. 전국(全國)에서 수집(收集)한 한국재래식(韓國在來式) 간장의 발효미생물(醱酵微生物)의 평균생균수(平均生菌數)는 호기성세균(好氣性細菌) $53{\times}10^2$개/ml, 유산균(乳酸菌) 34개/ml, 효모(酵母) 14개/ml이었고 제화학성분(諸化學成分)의 평균치(平均値)는 식염농도(食鹽濃度) 28.9%, pH=4.79, 총산(總酸)(유산(乳酸)) 0.91g/100ml, 총질산(總窒酸) 1.09g/100ml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