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셜프레즌스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메타버스 쇼핑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O-R 모델을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User Intention towards Metaverse Shopping: An Application of the S-O-R model)

  • 진유정;김은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303-321
    • /
    • 2023
  • 메타버스 쇼핑은 새로운 형태의 소셜커머스로 최근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O-R 모델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쇼핑의 사용자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텔레프레즌스, 엔터테인먼트, 개인화 추천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메타버스 쇼핑에서의 플로우 경험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만족도와 플로우 경험은 사용자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메타버스 쇼핑의 사용자 경험 개선과 사용자 이용 의도 증대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메타버스 취업 면접 훈련의 효과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이모지 역할 연구 (Examining the Role of Emoji and Gender during Job Interview Training within Metaverse)

  • 송원철;정동훈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1-62
    • /
    • 2021
  •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진행한 취업 면접 훈련 상황에서, 성별에 따른 이모지 사용이 사용자 경험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이모지 사용, 면접관 성별, 그리고 사용자 성별의 2 × 2 × 2 혼합설계 실험을 통해 사용자가 느낀 친밀감, 상호이해, 그리고 대화에의 집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이모지의 사용이 보다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불러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현실의 환경에서 진행하는 훈련과정에서, 적절하게 사용한 이모지가 취업 면접 훈련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더욱 긍정적인 능력을 이끌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육대학원생의 비대면 온라인 강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예측 요인에관한연구 (A study on prediction influence factor of Graduate Students in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persistence, recommend intention)

  • 김재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17-532
    • /
    • 2022
  •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관한 주관적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추천 의향의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들을 실증적 검증하였다. 이에 서울권에 위치하고 있는 E모 대학교의 교육전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N=417)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비대면 수업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현존감, 인지된 유용성, 정보시스템품질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지된 유용성과 사회적 현존감으로 나타났고 인지된 유용성의 영향력이 매우 컸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학습자의 주관적인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만족스러운 태도를 형성한다고 해서 학습지속의향이란 행동으로까지 연결되지는 않음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만족도는 타인 추천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또한 학습지속의향 역시 타인 추천 의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주목할 점으로 학습만족도가 타인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컸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대학원 학습자 개인이 인식하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주관적 태도인 만족도가 최종적으로 타인에게 교육대학원을 추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살펴보았고,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 반영되어 비대면 온라인 수업 커리큘럼과 콘텐츠 구성의 기초 자료로서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