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 행위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7초

소비자의 취미와 미적판단 (Taste and Aesthetic Judgement of Consumers)

  • 송복희;윤한경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7년도 한국감성과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 /
    • pp.28-32
    • /
    • 1997
  • 가전제품들의 제조기술과 기능 및 성능 등의 개선을 주도하뎐 국내 기술수준은 포화되어 발전 속도의 둔화가 가속화되므로, 경쟁력이 강화된 제품으 개발과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제품의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 중심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인간의 감성요소를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로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1)}$ 사용자의 감성 연구에서 심리학적, 미학적 접근방법의 적용은 사용자의 감성을 더욱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심리적 측면에 의한 개인차와 환경적 요소들의 영향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들에 대한 충족여부가 취미와 가치판단의 변인으로써 작용하고, 그 취미와 가치판단은 구매행위 등의 행동특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취미와 가치판단의 기준이되는 요소와 변인들은 행동특성을 야기시키는 요인들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켜 경쟁력이 강화도니 제품의 개발을 위하여 소비자들의 감성과 미적 판단이 상품의 구매를 위한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제품에 대한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의 분석에 의하면 소비자의 취미돠 미적판단 기준은 내면적요소와 외부환경적요소로 구분되며 재면적 요소는 감성분류와 성격분류에 의해 분석할 수 있으며, 내면적 요소가 제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품의 제품선택의 변인이되며, 제품에 대한 형용사적 표현은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양질의통신수단임을 입증하였다.

  • PDF

부산지역 홈마트 신개념 서비스창출에 관한 연구 (Create New Service for Hometown Mart)

  • 이성필;형성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5-158
    • /
    • 2008
  • 오늘날 다양해지는 산업구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서비스는 국가의 미래전략사업으로 현재 각 국가들은 서비스를 중요한 이슈로 타 학문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서비스란 국가의 생활환경과 문화 수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신 개념의 서비스는 접근방법에 있어서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조건을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서비스라는 공통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동양에서의 서비스란 단순히 무료로 가치를 보상받지 않고 육체적, 물리적 가치를 상대에게 제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반면, 서양에서 서비스 개념은 가치를 제공함 으로서 합당한 대가를 돌려받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서비스의 개념은 디자인을 서비스라는 시각에서 볼 때 소비자에게 가치의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지금까지 많은 기업 및 산업체에서는 디자인을 실시하는 행위가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실제 디자인에서 서비스 접근방법은 명확한 기준과 근거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부산 관광자원의 중요 요소인 쇼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부산시 마트(Mart)를 중심으로 이용자에게 좀더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실제 마트(Mart)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심리분석과 문제점, 행동분석을 통해 쇼핑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에게 편리한 제품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여 마트(Mart)의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찾아본다.

  • PDF

물류기능을 포함한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 만족과 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연구: 중국소비자의 한국 직구매와 한국소비자의 국내 온라인쇼핑 간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 왕고봉;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0-231
    • /
    • 2016
  • 한국경제의 장기 침체로 인해 한국 소비자들 중 양질의 제품을 보다 싼 가격에 구매하기 위해 해외에서 직접 구매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제품을 직접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다. 국제 결제시스템의 등장과 같은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함께 비용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구축으로 이들 국가 소비자들의 해외 직접구매행위는 앞으로 증가할 것이다.'전자상거래'와 '물류' 양자를 종합적으로 본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가 드문 상태에서 한국과 중국 간의 전자상거래 해외 직구매에 관련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물류 서비스관점에서 서비스품질과 고객관계품질, 고객만족, 고객충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cdots}$ (중략)${\cdots}$.

  • PDF

그린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와 행위적 특성분석 (Analysis of recognization and Behaivor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for Green Fashion Products)

  • 김문숙
    • 복식
    • /
    • 제50권
    • /
    • pp.145-16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recognization and behaivor characteristcs of customers in Korean fashion market. The study is analyzed through questionary paper to the domestic female group of more than or equal to age of twenty living in Seoul. The collected questionary paper is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and the method of statistical analysis used for this study 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orsstab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of recognization and behaivor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involves the following: Firstly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between the environment-friendly customer group and non-envirnoment-friendly customer group in relation to green fashion produc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ly when observing the average of the two according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ir activities of purchasing advertising in relation to green clothes it showed that environment friendly customers saw and heard relatively much more advertisements for green fashion product. These serial processes of research have the meaning in confirming that segmented market for environment-friendly customers exists in the domestic fashion market and these will not only set up the basis of research on the market of green fashion product but also be able to contribute to propos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 PDF

Sensibility by Weather and e-Commerce Purchase Behavior

  • Hyun-Jin Y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77-182
    • /
    • 2024
  • 소비자의 많은 의사결정은 제품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일어나며, 마케팅에서는 이러한 다듬어지지 않은 반응을 정서(Affect)라고 칭한다. 정서에는 평가(evaluation), 무드(mood), 감정(emotion)과 같은 반응 유형도 있으나, 무의식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감성(Sensibility) 또한 이에 포함된다.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기상요소들은 사람들의 이러한 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기상요소들이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정보와 SNS상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위치기반 텍스트 정보를 활용, 기상정보를 통한 감성 예측 모형을 만들어내고, 이러한 감성 모형이 실제 온라인 쇼핑몰 구매자들의 주소 정보와 매칭한 구매자들의 구매 시기 날씨 정보와 결합하여, 기상요소들이 구매자들의 구매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본 연구 결과 일 강수량, 합계 일조시간, 평균 지면 온도, 평균 상대습도를 사용한 모형이 온라인 구매 행위 빈도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pple의 폐쇄적 SDK정책 포기의 함의: 반독점성 시비의 회피와 전략적 결정 (Apple eases up on SDK policy: Avoiding antitrust? or strategic decision?)

  • 김준영;박진경;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5-144
    • /
    • 2010
  • 최근 발표되었던 폐쇄적인 Apple의 새로운 Software Development Kit(SDK) 정책으로 인해 Adobe가 자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AppStore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불가능해지자 반독점행위라고 주장하게 되었고 Department of Justice(DOJ)와 Fair Trade Commission(FTC)에 반독점행위 여부를 조사해 줄 것을 요청했던 바 있었다. 1998년에 있었던 Microsoft의 반독점 소송과 비교하면서 Apple이 스마트폰 시장을 독점하려 한다는 주장도 있으나 본질적인 내용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과연 Apple의 선택적인 iPhone과 iPad용 애플리케이션 개발프로그램 지정이 반독점적인 상황인지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시장의 양면시장적 성격 때문에 시장획정을 어떻게 하든 Apple의 iPhone이 휴대전화시장 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갖지는 않을 수 있지만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반독점적 성격이 전혀 없다고 보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나 지난 9월 Apple은 자발적으로 SDK개방정책을 새롭게 발표하게 되었고 이는 시장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DOJ, FTC 등 미국의 규제기관들이 성급하게 끼어들기 보다는 시간을 두고 사업자들의 상호작용을 지켜보면서 시장실패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이해관계에 해가 되는지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신중함을 보인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히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Adobe가 소비자와 개발자들의 선택의 자유를 표방하면서 Apple을 공격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관점에서 Apple이 반독점적 행위를 하고 있는지, 그 행위에 의한 피해를 플랫폼의 양쪽에 있는 개발자와 소비자들이 겪게 되어 시장의 실패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종합적 분석에 근거한 결론이 필요하다.

혁신성과 기술 수용 특성이 디지털 콘텐츠 선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모바일 쿠폰을 중심으로- (Using the Innovation and Technology Adoption Attributes as Predictors of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Focused on Mobile Coupon-)

  • 이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356-365
    • /
    • 2013
  • 선물 증여 행동은 소비자의 기본적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의 하나이며 최근 스마프폰의 대중화와 함께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전송되는 바코드 형태의 모바일 쿠폰 선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모바일 환경에서의 선물 증여 행동이 어떠한 동기요인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소비 행태가 어떠한 가에 대하여는 충분히 연구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선물 증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품 혁신성과 소비자 혁신성의 혁신성 차원 및 소비자 기술수용 특성이 선물 증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PLS를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제품 혁신성과 기술 수용 특성은 소비자의 모바일 쿠폰 선물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소비자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가 소비자 혁신성이 낮은 소비자 보다 제품 혁신성과 모바일 쿠폰 선물 태도의 관계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기사형 광고의 허위 및 과대·과장광고로써의 법률적 접근과 해석 (A lega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article typed advertisements of online sport media as exaggerated advertisements)

  • 마윤성;황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91-402
    • /
    • 2016
  • 온라인 언론에 매일 같이 등장하는 선정적이고 사실이 왜곡된 광고에 주목한 이 연구는 온라인 언론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사형 광고의 과대과장광고에 대한 위법성 여부를 밝히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온라인상에 게재되는 각종 광고의 허위, 과대, 과장 등 다양한 불법행위에 대한 법률 당사자 간의 관계와 법률상 의무와 책임 관계를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언론이 게재한 허위 과대과장 광고는 온라인 언론의 자산이며, 이는 진실되고, 신속해야 하는 여타의 기사 및 광고와 동등한 의무와 책임을 가진다. 둘째, 온라인 언론이 게재한 허위 과대과장광고와 관련된 법률 주체는 광고 행위 주체인 온라인 언론과 광고주 그리고 이를 접하고 향후 소비행위 여부를 결정하는 소비자로 규정한다. 셋째, 온라인 언론이 게재한 허위 과대과장 광고는 우리나라 법의 제재를 받는다. 넷째, 이러한 광고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법인 민법 제 750조에 의거, 피해자는 손해배상청구권을 갖는다. 다섯째, 허위 과대과장 광고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 제한적으로 온라인 매체 또한 책임을 부과할 수 있다.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소비자의 적극적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감정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Consumers Vigorous Complaining Behaviors in the Internet Web Site Explained By Integrat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Anger)

  • 조승호;조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0-229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 불만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적 반응 (Anger)이 소비자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이론 중에 하나인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결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삼성 핸드폰 애니콜 사용자들이 개설한 '소비자의 힘'이란 웹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감정적인 부분과 인지적인 요인들의 결합을 통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힘" 웹 사이트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위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감정적 반응인 분노와 계획행동이론의 변인들(주관적 규범, 태도, 행동의도, 행위)과 함께 불평행동 하나인 서명운동의 유무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품 서비스에 대한 감정적 반응(Anger)과 행동이론의 결합이 소비자 행동을 보다 잘 예측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불평행동의 적극적 참여 의도는 서명참여 유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온라인 사용후기에 대한 법적책임의식에 관한 (Consumers' Perception on Legal Liability of the Online Reviews)

  • 김소연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3-27
    • /
    • 2015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후기 중에는 과격한 표현이 포함되거나 사업자에게 불리한 내용이 포함된 것들이 많아서, 후기 작성자와 사업자 간에 마찰이 빚어지거나 심지어 법률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부정적이고 과격한 표현이 담긴 사용후기관련 사례를 분석한 후, 사례에 나타난 사용후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윤리적, 법률적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 따르면, 대법원 판례는 행위자의 주요한 동기나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부수적으로 다른 사익적 목적이나 동기가 내포되어 있더라도, 후기 작성이 상대를 비방할 목적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한 바 있다. 사례 요지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업자에게 불리한 내용의 사용후기일지라도, 응답자들은 대체로 작성자의 법률적 책임수준보다는 이러한 행위에 대한 지지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사용후기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정보제공에 더 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허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해서, 연구대상 사례에 대한 대법원 판결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후기에 대한 윤리의식과 함께 법률적 책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으나, 표현의 자유가 과도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