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 지향성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An Exploratory Study on the Hierarchical Model of Consumer Orientation

  • Seungbae Park;Jaewon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17-227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19 한국 소비자 시장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소비자 의사결정 여정(CDJ) 관점에서 소비자 시장평가 항목을 계층화하고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즉, 소비자시장평가 항목을 선택비교단계, 선택결정단계, 구매 후 경험단계로 구분하고 CDJ 모형의 경험에 해당하는 불만피해 여부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를 계층화한 모형을 제시 및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지향성을 평가하는 소비자시장 평가지표 변수들간의 관계는 소비자 의사결정 단계에 따라 계층화할 수 있으며,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피해경험의 유무에 따라 소비자시장평가(신뢰성, 가격)가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Extending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 김봉철;최명일;이진우
    • 광고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79-201
    • /
    • 2014
  • 본 연구는 확장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창의성이 있다고 평가된 광고물을 대상으로 광고 창의성 평가척도로 타당성이 확보된 독창성, 적합성, 명료성, 상관성에 대해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광고주와 제작자 사이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제작자와 소비자 사이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일치도는 광고주 차원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제작자 차원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정확도의 경우는 제작자 인식과 광고주가 생각하는 제작자 인식, 소비자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소비자 인식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나 광고주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광고주 인식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주나 광고 제작자는 광고 창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생각을 많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의 온·오프라인 채널이동 유형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Switching On·Off-Line Channels for Consumers)

  • 전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45-256
    • /
    • 2013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정보탐색과 구매단계에서 온 오프라인 채널을 이동하는 유형을 온온(온라인 탐색 ${\rightarrow}$ 온라인 구매), 오프오프(오프라인 탐색 ${\rightarrow}$ 오프라인 구매), 온오프(온라인 탐색 ${\rightarrow}$ 오프라인 구매), 오프온(오프라인 탐색 ${\rightarrow}$ 온라인 구매), 온오프온(온라인 탐색 ${\rightarrow}$ 오프라인 탐색 ${\rightarrow}$ 온라인 구매)으로 분류하고,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1,040명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채널이동 유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가격지향성, 구매가격 등 가격 변수와 편의지향성과 위험회피지향성 등의 소비성향 변수, 그리고 온 오프라인 채널 친숙도 변수로 나타났다. 온 오프라인 채널을 이동하는 크로스채널 소비자는 실물확인과 안전한 구매를 위하여 채널이동의 번거로움을 감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온 오프라인 채널을 운영하는 기업담당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 채널이동과 관련된 소비자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품절 상황에서의 청바지 제품 소비자의 상표전환행동 (Blue Jean Consumers' Brand Switching Behavior in Out-of-ostock Situation)

  • 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86-1097
    • /
    • 1999
  • 본 연구는 청바지 제품 소비자가 쇼핑시 제품이 품절된 상황에 접했을 때 보여주는 상표 전환행동에 관한 것이다. 의류 매장 관리자의 적시 적량의 제품 입고 관리 능력이 부족할 때 발생하게 될 손실을 유추해 보고 어떤 유형의 소비자가 상표 전환을 쉽게 일으키느니를 규명하는 것은 더욱 효과적인 매장 운영 소비자 만족과 고객 관리를 위해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1) 제품 품절시 소비자들은 어떤 상표전환 행동을 보이는지 밝힌다. 2) 제품 품절시 대체 상표제품을 구매할 경우 대체 상표 제품의 가격의 영향력이 상표전환 행동과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 밝힌다. 3) 소비자의 쇼핑지향성, 상표충성, 애고 행동, 인구통제적 특성(성별)이 상표전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1997년 3월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소재한 버지니아 주립대학교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한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남녀학생 모두가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청바지를 선택하여 상표전환 행동에 대한 설문에 답하게 한후 t-test 와 카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20%의 응답자가 품절기 상표전환 행동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쇼핑시간과 편의성을 덜 중요하게 여기거나 강한 상표 충성을 보이고 의류전문매장이나 백화점을 주로 이용하는 여성 소비자들의 경우 상표전환을 쉽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류제조업자 및 소매업자의 제품입고에 과한 제언을 하였다.

  • PDF

미(美)의 암묵적 이론과 외모지향성이 다목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Implicit Theory of Beauty and Appearance Orientation on Consumers' Perceptions of Multi-Purpose Products)

  • 최주혜;전정룡;전유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1-134
    • /
    • 2024
  • 다양한 업계에서 한 번에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다목적' 제품을 출시하는 브랜드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다목적 제품과 이를 제공하는 브랜드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미(美) 에 대해 갖고 있는 암묵적 이론이 다목적 제품 관련 지식과 브랜드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외모 지향성이 높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미(美)에 대한 증가(vs. 실체) 이론(즉, 본인의 아름다움은 타고난 것이 아닌, 노력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는 믿음)이 강할 수록 다목적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는 전반적인 브랜드 평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제품/브랜드 관련 지식경영에 있어, 소비자들의 암묵적 이론과 그에 따른 선호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외식업체 셀프서비스기술에 대한 소비자 저항 및 만족 (Consumer Resistance and Satisfaction with Restaurant Self-service Technology)

  • 유교영;이진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15-1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서비스기술(SST)의 특성과 소비자 특성이 외식업체에서의 SST에 대한 소비자의 저항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식업체에서 SST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일반 소비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43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편의성과 기술통제성이 낮을수록, 복잡성, 사회적 위험, 관계지향성이 높을수록 SST에 대한 소비자 저항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편의성, 유희성, 기술통제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험과 관계지향성이 낮을수록 SST에 대한 소비자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저항을 낮추는 동시에 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가 있고, SST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점들을 참조하여 SST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인 반응을 심도 있게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6차산업에서의 고객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경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변지유;이상곤;강순빈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40
    • /
    • 2018
  • 인간의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위협하고 있는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오염 문제는 글로벌 경쟁시대의 기업 경영에 있어 강력한 제재요인 중 하나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환경문제가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데, 특히 인류생존에 필수적인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농업분야는 더욱 깊은 연관성을 갖는다. 정부는 이러한 농업분야에 대하여 도시와 농촌 간 소득 불균형이나 농촌인구 노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발전시키고자 6차산업화 인증 제도를 시행 중에 있으며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최근 기업의 환경을 포함하는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려는 소비자의 특성 변화에 따라 6차산업화 인증을 받은 기업들도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 활동의 근간이 되는 소비자 니즈에 더욱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기업의 새로운 성장 방안으로써 고객과 환경에 집중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화 인증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관계에서 환경지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환경지향성은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즉, 6차산업화 인증기업이 경영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변화와 기업이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을 명확히 인식하여, 소비자 니즈기반의 환경보존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공유하려는 친환경 지향적인 새로운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현장직원의 서비스 지향성이 GWP에 미치는 영향 (A Study for Service Orientation's of Field Staff Effect on the GWP)

  • 김영순;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1-15
    • /
    • 2015
  • 서비스는 경쟁업체와 차별화시킴으로써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기업에 대한 고객의 충성심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중교통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요구도 과거에 비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의 서비스를 바라보는 소비자의 눈높이도 당연히 높아지고 있다. 기업이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충성고객의 확보와 함께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내부고객인 직원의 사기를 높이고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서비스 지향성을 갖추고 고객을 응대해야 하며 이러한 서비스 지향성이 내부직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드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운영기관의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서비스 지향성이 GWP를 조성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향후 많은 기업에서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드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출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과 브랜드지향성이 기업역량 및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MEs'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Orientation on Firm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in Export Markets)

  • 이유림;정재은;정소원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5-203
    • /
    • 2017
  •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에 입각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과 브랜드지향성이 기술역량, 마케팅역량, 수출경쟁우위 및 수출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상공회의소의 DB를 바탕으로 수출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86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은 기술역량과 마케팅역량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점하고 높은 재무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지향성은 기술역량과 마케팅역량을 통해 경쟁우위와 재무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술역량과 마케팅역량 모두 중소기업이 해외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게 하여 재무성과를 내게 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시장지향성과 브랜드지향성이 국내 중소기업의 역량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이들의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성과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