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43초

현대카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별화 마케팅 (HyundaiCard: Differentiated Marketing Based on Consumer Lifestyle)

  • 문병준;김재일;유창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3호
    • /
    • pp.83-98
    • /
    • 2004
  • 본 사례는 신용카드업계에서 시장추종자의 지위에 있던 현대카드가 기존의 현대 [M] 카드의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하여 「현대카드 M」의 재출범을 필두로 하여 새롭게 추진해오고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토대로 한 시장세분화 및 차별적 마케팅 전략을 분석한다. 기존의 현대 [M] 카드는 경쟁 신용카드에 비하여 서비스매력의 열세, 상품의 강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한 취약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비효율적 채널전략 및 그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의 저조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동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대카드 M」으로 재탄생시킨 후 현대카드 S, 현대카드 T, 현대카드 U, 현대카드 A, 현대카드 K를 잇달아 출시함으로써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상징하는 알파벳별로 카드상품을 차별화하여 제공하는 차별화 마케팅전략의 하나인 소위 알파벳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 PDF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역량,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 (The differences of dietary behaviors, dietary life consumer education related current situations·competencies and dietary lifestyles between baby-boom and echo generations)

  • 박종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53-167
    • /
    • 2018
  • 연구목적은 베이비붐세대와 그의 자녀 세대인 에코세대를 대상으로 세대 간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 및 역량, 그리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세대 간 차이를 고려한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측면에서의 함의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2,474명 (베이비붐세대 1,304명 52.7%, 에코세대 1,170명 47.3%)을 대상으로 분석하되, 남성, 여성을 구분하여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식행동으로, 집/집에서 만든 도시락으로 식사를 하는 빈도는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높은 반면, 단체급식, 카페 베이커리, 편의점, 배달 테이크아웃으로 식사를 하는 빈도는 에코세대가 더 높았다. 지난 일주일 동안 함께 한 식사동반자로써 가족은 남녀 공통으로 아침, 점심, 저녁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높은 반면, 친구 동료와 함께한 식사빈도는 남녀 공통으로 아침을 제외한 점심, 저녁 시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보다 높은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혼자 식사를 하는 빈도는 남녀 모두 두 세대 간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주빈도는 여성 집단에서, 외식빈도는 남녀 모두 에코세대가 더 높았다.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 분석결과는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소비자교육 경험률은 매우 낮아, 식품관련 소비자교육 경험자는 전체의 1.6%, 정부주최 식품관련 홍보행사 혹은 소비자단체의 식품관련 행사 경험자는 전체의 1.1%, 1.6% 수준을 각각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 경험이 식생활에 주는 도움 정도는 전체 응답자의 경우 5점 리커트의 3.54점 수준을 보였으며, 식품관련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는 5점 리커트의 3.55점 수준을 보였다. 식생활 관련 1순위 정보원은 베이비붐세대가 주위사람인 반면, 에코세대는 방송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블로그 혹은 SNS를 1순위 정보원으로 선택한 경우는 남성, 여성 모두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 혹은 소비자단체의 홈페이지를 정보원으로 선택한 경우는 두 세대 모두 거의 없었다. 식품구입 시 정보이용역량은 여성의 경우, '식품구입 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음' 측정문항에서만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이외의 측정문항은 남녀 모두 세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한 식생활 역량은 지식수준의 경우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천수준은 남녀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한 식품 (국내산, 지역산, 친환경,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도는 남녀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가격이 비싸더라도 구입하겠다는 구매실천의지는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개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남녀 모두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은 베이비붐세대에서 에코세대보다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난 반면, 간편추구, 맛 품질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에코세대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가격)추구와 소량구매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세대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 특성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ssert Cafes on Consuming Behaviors according to Dietary Life Style)

  • 임현호;양동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48-1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디저트 카페를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창업자들의 디저트카페의 품질 특성이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디저트 카페를 방문하는 218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5일부터 15일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수인 미각추구형, 편의추구형, 건강추구형으로 3가지를 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인 서비스 품질은 신뢰성과 공감성으로 2가지 변수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으로 실시한 결과, 먼저 종속변수인 신뢰성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3개의 하위변수인 미각추구형(${\beta}=.371$, p<.001), 편의추구형(${\beta}=.401$, p<.001), 건강추구형(${\beta}=.474$, p<.001)으로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에 대하여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비스 품질의 공감성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미각 추구형(${\beta}=.145$, p<.001), 편의추구형(${\beta}=.208$, p<.001), 건강추구형(${\beta}=.236$, p<.001)으로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의 하위변수인 신뢰성과 공감성으로 2가지의 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인 소비행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투입된 2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신뢰성(${\beta}=.313$, p<.001), 공감성(${\beta}=.228$, p<.001)으로 소비행동에서 신뢰성과 공감성에 대하여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비자가 주도하는 세상, 단 1%를 위한 선택

  • 이금희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5호
    • /
    • pp.14-17
    • /
    • 2007
  • 21세기는 소비자 중심 시대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워지면서 정보화 시대의 소비자들은 똑똑해졌다. 최근 10년간 일본에서는 가족 구성원이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주거 형태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고, 미국과 영국의 고급 세컨드하우스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더 이상 생활이 아닌 상품 가치가 중요시되는 주거상품의 향방을 가늠해보자.

  • PDF

웰니스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개인맞춤형웰니스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Personalized Wellness Management System Using Wellness Information Analysis Algorithm)

  • 김현주;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8-560
    • /
    • 2013
  • 통신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스마트 시대로의 진입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콘텐츠 및 문화를 보급, 창출해내며 우리 사회 전반적인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특히 국민소득의 증대로 건강에 관한 소비자 욕구가 증대하면서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웰니스가 급부상함에 따라, 치료 중심이 아닌 예방과 케어, 힐링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와 플랫폼, 분석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받던 수동적인 과거 소비자 형태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내는 능동적 소비자의 모습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러한 움직임은 앞으로 단순히 서비스 제공의 측면이 아닌, 웰니스 증진을 위해 특화된 스마트 디바이스와 컴퓨터,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기술로 발전되어갈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강은 물론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포함한 라이프로그 기반의 다차원적인 정보 수집과 체계적 분석, 그를 통한 모니터링과 맞춤형 서비스를 실현하는 개인화웰니스기록을 활용한 개인맞춤형웰니스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업체 배달서비스의 품질 지각 및 만족도 연구 (Research on the Consumer's Delive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Food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Types of Food-related Life-style)

  • 고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06-415
    • /
    • 2014
  • 본 연구는 급성장하고 있는 외식업체 배달서비스 시장에 관한 연구로, 배달서비스 품질의 차원을 도출하고,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따라 외식업체 음식 배달서비스 품질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건강추구형', '유행 추구형', '미각 추구형', '안전 추구형', '편의 추구형'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군집분석 결과 '맛 추구형', '식생활 고관심형', '편의 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배달서비스 품질은 '음식품질', '경제성', '주문 편의성', '직원품질', '위생', '주문 품질'로 6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는데 그 중 '음식품질'과 '경제성'에서 소비자 유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주문 품질', '음식 품질', '위생' 등의 순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자동차의 칼라를 중심으로한 선호추세분석 (Preference Tendency Analysis for the Colors of Compact Cars)

  • 정선화;홍정표;김태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6-67
    • /
    • 1999
  • 생활주변에서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제품 중의 하나인 자동차는 다른 제품에 비해 스타일과 컬러의 선택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날로 감성화, 개성화, 컬러화되어 가고 있다. (중략)

  • PDF

중국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에 따른 선호 용기 형태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hape of popular container that the university girl students with different lifestyles are interested in - Focused on basic cosmetic cases -)

  • 손성;정성환;홍정표;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531-540
    • /
    • 2008
  • 본 연구는 중국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기초 화장품 용기디자인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여대생 라이프스타일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군집1은 용기 가운데의 폭이 넓은 형태로 단골점포 신뢰의 독립적 성향과 관련성이 있다. 군집2는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용기형태를 선호하며 적극적 투자, 외국어 중시, 인터넷 쇼핑을 선호하는 성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3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의 유기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큰 점포 신뢰, 점포구경취향, 자기취향에 맞는 제품을 추구의 성향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4는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내려갈수록 날씬해지지만 하단부에서 다시 넓은 형태를 선호하며 가정의지, 브랜드와 디자인 중시하는 성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소비자들은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 다양하고 소비자들은 용기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감성이미지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디자인에 있어서 이러한 세분화된 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세분화된 제품 형태에 대한 연구 들이 서로 상관요소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소비자 시장의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도 보다 세분화된 분석방법들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글로벌 소비자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한 종적연구 - 미국, 중국, EU 소비자를 대상으로 - (A Longitudinal study on Fashion Lifestyle Variable of Global Consumer - Comparison among US, China and EU -)

  • 고은주;장정현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1호
    • /
    • pp.26-4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shion lifestyle variable of global consumers and to compare among US, Chinese and EU consumers. The data were collected in US(n=749), China(n=702) and EU(n=1083) from 2008 to 2010. For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of SPSS 18.0 a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shown that significant lifestyle factors of global fashion consumers are "adventure seeking", "fashion-oriented", "conspicuous consumption", "leadership", "brand-oriented", and "DIY".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lifestyle types, four cross-national market segments are identified. These segments can be labeled as follows: "conservative fashion-oriented group", "passive consumer group", "neutral consumer group", "active fashion-oriented group". Second, findings also reveal that fashion lifestyle segments ha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nationality and by year. Third, the US consumers tended to have conservative fashion-oriented lifestyle in 2008, however global consumers were changed to have active fashion lifestyle in 2010.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to global brands in planning marketing strategies by offering specific information for global consumer fashion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