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 가치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31초

동태적 쇼핑 경험이 경험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쇼핑과 TV 홈쇼핑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Dynamic Shopping Experience on Experiential Perception of Value : Internet Shopping and TV Shopping)

  • 이승창;유수연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9-175
    • /
    • 2003
  •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기술의 발달로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 카탈로그 쇼핑, 모바일 쇼핑 등과 같은 새로운 소매업태가 등장함에 따라 각기 다른 소매업태, 즉 각기 다른 쇼핑 환경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가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지 심리학의 한 이론인 인지 연속성 이론의 동태적 과업시스템을 소비자의 쇼핑 행동에 적용하였다. 즉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소비자와 쇼핑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동태적 과업으로 간주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치지각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 쇼핑 경험의 구성요소로서 내ㆍ외면적 특성인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쇼핑 환경을 정의하였으며 소비자의 경험가치에 있어서는 Holbrook의 경험가치 척도를 적용하여 소비자의 동태적 쇼핑경험이 쇼핑가치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경험가치척도는 경제적 가치, 효율성, 내면적 즐거움, 현실도피성과 같은 추구 가치와, 시각적 매력, 엔터테인먼트 가치, 서비스 우수성과 같은 수동적 가치로 구분되며 실증분석 결과 이러한 경험가치들은 각각 동태적 쇼핑 경험의 내ㆍ외면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받는 것이 검증되었다.

  • PDF

소비자 조절초점이 명품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s on The Luxury Brand Preference Depending on Consumers' Regulatory Focus)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73-92
    • /
    • 2011
  • 명품브랜드의 대중화는 소비자가 명품브랜드를 이용하는 방식과 소비하는 목적과 동기가 다양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품브랜드 시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다양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명품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선호도간 관계에서 조절초점 조절효과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명품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품질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향상초점 소비자집단보다 예방초점 소비자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난 반면에 심리적 가치는 예방초점 소비자 집단보다 향상초점 소비자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상초점 소비자일수록 과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명품브랜드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일수록 품질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수용과정에 따른 소비자혜택과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Benefi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reating Shared Value(CSV) Based on Consumer Perception)

  • 황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3
    • /
    • 2018
  •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의 수익과 경쟁중심적 전략에서 벗어나 기업의 활동이 사회적 가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경영전략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어떠하며 이러한 기업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창출전략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실천가능성인식, 혜택인지가 소비자의 공유가치창출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가치창출활동의 실천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기업혜택인지의 수준을 높이고 이것이 다시 소비자혜택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직접효과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혜택과 소비자혜택에 대한 인지수준이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측면에서의 실용적인 성과를 높게 인지할 때, 그리고 이러한 기업혜택이 소비자혜택으로 연결된다고 여겨질 때 참여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박태희;이명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3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구매시 백화점 및 시장에서 구매한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교하며, 이들 변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의복 소비 가치와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피험자는 서울 및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여성 364명이었다.

  • PDF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 및 가치가 소비자 애호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estaurant Franchise Brand Equity and Value on Customer Loyalty and Customer Satisfaction)

  • 김찬우;김동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222-2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가치가 소비자 애호도와 소비자 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11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설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가치는 소비자 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 애호도는 소비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가치는 소비자 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Eco Friendly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 강현경;조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62-571
    • /
    • 2021
  • 본 연구는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치가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 그리고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공분산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 친환경 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20대 이상 여성 소비자로 2020년 5월 17일부터 5월 30일까지 온라인 전문조사기관의 패널을 통해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치로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녹색 소비가치가 도출되었다. 사회적 가치와 녹색소비가치는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가치는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환경문제에 대한 지각수준(소비자 효과성, 시장 영향력)이 가지는 중요성을 규명하였고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친환경 제품 개발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쇼핑몰상황에서 인지된 쇼핑가치와 쇼핑의도에 대한 성별과 인종의 영향 (Gender and Ethnic effect on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Shopping Intention in the Mall Context)

  • 김지영;김연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5-154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 쇼핑몰 내에서의 소비자행동에 관한 것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핑가치 및 쇼핑의도와의 관계를 모델검증을 통하여 밝혔다. 우선 쇼핑가치와 쇼핑의도 하위차원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비자가 인지한 쇼핑가치를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 가치로 구분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와는 달리 쇼핑의도 변수에 있어서는 다차원적인 구조의 접근을 시도하여 쇼핑의도의 차원을 경제적, 외식, 기분전환, 서비스 이용 의도로 분류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소비자가 인지한 쇼핑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가치는 소비자의 쇼핑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인 모델을 검증해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시된 쇼핑가치 및 쇼핑의도의 차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인종 및 성별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쇼핑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가치는 쇼핑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의 구조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쇼핑 가치의 인지에 있어서 백인과 흑인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쾌락적 쇼핑 가치에서는 차이를 보여 흑인이 백인보다 쾌락적 쇼핑가치를 더욱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에서는 쾌락적 쇼핑가치뿐 아니라 실용적 쇼핑가치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반응을 보였다. 또한 쾌락적 및 실용적 쇼핑가치 모두 쇼핑의도의 전체 차원들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결과를 보여, 실용적 쾌락적 쇼핑가치를 더욱 인지하면 할수록 경제적, 외식, 기분전환, 서비스 이용의 쇼핑의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가치와 E-WOM 의도에서 판매자의 영향력은?

  • 최은지;전성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5-139
    • /
    • 2022
  • 현재 COVID-19 전염병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오프라인 상점 대신 소비자는 전자 상거래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에 실시간 상호작용과 상거래의 통합인 '라이브 커머스'가 각광받고 있다. 국내 라이브 커머스 시장규모가 2023년에는 10조원이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에 비하여 연구가 현저히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선 라이브커머스의 가치와 소비자의 동기가 적극적인 소비자 행동인 E-WOM 의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라이브 커머스의 가치로는 쾌락적가치, 실용적가치, 상징적가치와 감정적가치로 분류하였다. 또한 수단-목적사슬 이론 및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종속변수인 E-WOM 의도와에 사이에서 라이브커머스의 주역할을 하는 판매자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때 판매자의 상호작용성과 신뢰도로 구분짓고 연구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위험성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지각된 가치들과 판매자의 사이에서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였다. 본 연구의 설문 응답 대상은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 이용 대상자 4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PDF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전략이 쇼핑가치, 관계 결속, 및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 제품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Tactics on Shopping Value, Commitment, and Product Satisfaction -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duct -)

  • 김재훈;신종국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4호
    • /
    • pp.41-60
    • /
    • 2019
  • 과거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제품 간에는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 구매 후 제품 서비스에도 큰 차이가 났다. 이러한 요소들은 많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브랜드 가치를 고려하는 주된 이유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력 및 서비스의 차이가 많이 줄어들면서, 브랜드 자체보다는 누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치를 선점하는지에 따라 경쟁 우위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까지 연구자들이 판매행동과 관련하여 다루었던 주요 개념은 적응 판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이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이 소비자의 쇼핑 가치, 판매원과의 결속 및 소비자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판매원을 통해 중소기업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경남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도구로는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첫째, 판매원의 역할은 소비자의 쇼핑가치, 소비자와의 관계 결속과 제품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은 소비자의 쇼핑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고 제안 할 수 있으며, 또한,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은 실용적 쇼핑 가치가있는 소비자보다 쾌락적 쇼핑 가치가있는 소비자에 더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판매원과 소비자의 결속은 소비자의 제품 만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온라인과 비대면 마케팅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시장 환경에서, 기업들에게 판매원의 중요성과 판매원을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접근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의 시장실패 요인에 관한 구조적 연구 - 소비자의 넷북 미수용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a new type of Computer Market Failure Factors - Focusing on Consumer not Acceptance of Netbook -)

  • 권순홍;임양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405-40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제품을 대체하고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가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실패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제품실패의 원인을 소비자가 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에 두고, 가치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여 얻게 되는 혜택과 제품을 사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넷북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한 결과 소비자가 신제품의 가치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은 사용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가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에 대해 지각하는 비용은 신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자가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에 대해 혜택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더라도 이는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