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자의 혁신성

Search Result 3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전문적 지식이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Kim, Young-Ky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7
    • /
    • pp.187-198
    • /
    • 2012
  • Consumer innovativeness is a force that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of consumer and it is crucial for companies to understand the innovativeness in association with the new innovative product adop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herent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consumers's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model has been set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1) consumer innovativeness would not influence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2) vicarious innovativeness had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3) product involvement had a affect on both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4) product expertise had a affect on vicarious innovativeness and yet had no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하이테크 신제품 구매에 있어 브랜드 혹은 성능 위주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연구

  • Kim, Sang-Hun;Im, Jae-Yeon;Park,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5-1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하이테크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와 제품 성능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영향 요인들은 크게 제품 요인과 소비자 요인으로 분류하였는데, 제품 변수로는 제품의 평가 용이성과 제품의 혁신성을 고려하였고, 소비자 요인으로는 소비자 관여도, 소비자 지식, 소비자 혁신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제품의 쾌락성/이성성 정도와 제품의 노출 정도에 의해 4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제품의 유형이 변수들의 영향력에 미치는 조절적 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테크 제품 전반적으로 소비자 혁신성, 소비자 지식, 제품 평가의 용이성, 제품의 혁신성이 제품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의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평가 용이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혁신성이 낮을수록 브랜드 위주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쾌락성 정도에 따라서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달라지는데, 쾌락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나, 실용재의 경우에는 제품 평가의 용이성과 제품 혁신성, 그리고 소비자 혁신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 제품 평가 용이성, 제품 혁신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개인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지식과 제품 평가 용이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

  • PDF

A Study on Rejection and Acceptance for Innovative Produ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 Based on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of Mobile Phone Users -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와 수용에 관한 연구: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의도를 중심으로)

  • Kwon, Soon-Hong;Lim, Y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11-2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혁신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소비자가 수용하는 과정에서 혁신 제품의 유용성 기대와 혁신제품에 대한 거부의 요인에 의해 사용의도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혁신 제품의 수용과정을 연구하였다. 휴대전화 사용자들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기술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유용성 기대는 사용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감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 기대는 거부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에 대한 유용성 기대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요인이 있었고,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은 유용성 기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소비자의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과 소요되는 노력 예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소비자가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해 유용성을 기대하더라도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면 해당 제품을 사용할 의도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 PDF

Using the Innovation and Technology Adoption Attributes as Predictors of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Focused on Mobile Coupon- (혁신성과 기술 수용 특성이 디지털 콘텐츠 선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모바일 쿠폰을 중심으로-)

  • Lee, Han-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356-365
    • /
    • 2013
  • As a form of reciprocity or exchange, gift giving is one of the processes that integrate a society.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research on gift giving behavior in the communication area. Recently with the advent of digital environment,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behavior became a prevalent social custom.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f an individual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of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Drawing on the innovat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gift giving literature, the author take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effect of innovation attributes on mobile coupon gift giving behavior. The result showed that innovation attribute did positive influence to mobile coupon gift giving behavior. Furthermore, consumer innovation attribute mode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innovation and mobile gift giving attitude.

The Study on the Structural Effects of Cognitive Age on Consumer Innovativeness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Easy of Use of Mobile (모바일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매개효과를 통한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효과 연구)

  • Son, Young-seok;Na, Ky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8
    • /
    • pp.140-148
    • /
    • 2022
  • This study focuses on the finding out the structural effect of consumers' cognitive age affecting consumer innovativeness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asy of use of mobil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For this study, a self report survey i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 parallel double-mediated effect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process macro of SPSS for the analysis. In the study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cognitive age of consumers directl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onsumer innovativenes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asy of use of mobil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it is shown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innovativeness. Through thi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it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in the process of consumers' cognitive age affecting consumer innovativeness.

Ads Impact of Communication Convergence Platform's Creative Strategy and Personal Attributes (커뮤니케이션 융합플랫폼의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개인적 성향에 따른 광고효과)

  • Kim, Jea-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9
    • /
    • pp.99-107
    • /
    • 2020
  • The new characteristic of Millennial High-Tech Media is breaking the existing standardized creative grammar. The destructive form of high-tech media is differently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tendency or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uidelines for effective creative strategy creation of high-tech media. In consumer psychology, consumer innovation is a key factor in evaluating the creativeness of high-tech media. The results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persuasive communication on consumer innovation and advertising creative type are as follows. Informative(image) creative type showed higher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prior intention to consumers with high innovation than consumers with low innovation.

A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the Consumer Innovation Confi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Demand (혁신의 수요측면에서 소비자의 혁신 신뢰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Cho,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33-36
    • /
    • 2011
  • 혁신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혁신의 공급 측면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혁신의 공급측면 대신 수요 측면에 초점을 맞춰 혁신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혁신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연령과 소득수준, 개인적 네트워크, 기회인식, 역량 자신감을 선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2,000명의 설문 응답자를 기반으로 한 창업 분야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인 GEM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Customer Based Planned Obsolescence on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Focus- (소비자관점에서 계획적 진부화가 스마트폰 교체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Byun, Chung-Gyu;Sung, Chang-So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1
    • /
    • pp.143-15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nned obsolescence and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ls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use on the relationship of planned obsolescence and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From total 205 survey analysis, this study finds the positive relationship planned obsolescence and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unctional obsolescence had positive effects on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conomic obsolescence had positive effects on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obsolescence had positive effects on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also shows that consumer innovativene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obsolescence and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Effects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Evaluation of the Online Fashion Advertisement Sustainability (온라인 패션광고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대한 소비자 혁신성 효과)

  • Son, Mi Young;Yoon, Nam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2
    • /
    • pp.43-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evaluation of online fashion advertisement sustainability and on purchase intentions of advertising products. Online survey have been conducted of 573 people who had experience of online advertisemen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s were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the t-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of online fashion advertisement consists of four sub-elements of the objectivity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the non-harmfulness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non-infringement of web use. Secondly, the group that has a higher consumer innovativeness shows a significantly higher experience of online advertisements as well as more many internet use hours than those who have a lower consumer innovativeness. In addition, comparing with the group that shows lower consumer innovativeness, the group who has higher consumer innovativeness shows a significantly higher recognition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non-infringement of web use and the objectiveness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among the sub-elements of online fashion advertisement. Lastly, the objectiveness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and the non-infringement of web use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s of the group that has high consumer innovativeness to purchase advertised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ose who have low consumer innovativenes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objectiveness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농식품 쇼핑물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Mi;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3-95
    • /
    • 2021
  •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